의협 회장에 임현택 대한소아청소년과의사회장 당선
“의대증원, 되레 500~1000명 줄여야”
투쟁 전권 위임 등 논의 가능성
“전공의·의대생 다치면 총파업”
대한의사협회(의협)는 제42대 회장으로 임현택 대한소아청소년과의사회 회장이 당선됐다고 26일 밝혔다. 임기는 오는 5월 1일부터 3년간이다.
의협에 따르면 임현택 당선인은 전날부터 이날 오후 6시까지 이어진 회장 선거 결선 전자투표에서 총 유효 투표수 3만3084표 중 2만1646표(65.43%)를 획득해 당선이 확정됐다. 함께 결선 투표에 후보로 오른 주수호 의협 비상대책위원회 홍보위원장은 1만1438표(34.57%)를 얻었다. 임 당선인은 지난 20일부터 22일까지 진행된 1차 투표에서도 3만3684표 중 1만2031표(35.72%)를 얻어 1위를 차지했다.
'입틀막(입을 틀어막힘)' 당한 채 끌려 나가는 모습.(왼쪽) 임현택 회장 제공. 임현택 신임 대한의사협회장이 26일 오후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에서 열린 결선 투표에서 당선된 후 당선증을 들어보이고 있다. (오른쪽)연합뉴스
임 당선인은 2016년부터 현재까지 4번째 연속으로 소아청소년과의사회 회장을 맡고 있다. 회장직을 수행하며 지난해에는 소아청소년과 개원 의사들을 대표해 ‘수입 감소에 따른 폐과 선언’ 등을 주도했다. 또 최근 사직서를 제출하고 병원을 떠난 전공의에 법률 자문을 지원하고 복지부 장·차관을 고발한 의사단체 ‘미래를생각하는의사모임’ 대표이기도 하다.
특히 지난달에는 성남 분당서울대병원에서 대통령 주재로 열린 민생토론회를 찾았다가 자리를 옮기라는 대통령 경호처 직원의 요구에 불응한 혐의로 검찰에 송치되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본인이 대통령 경호처 직원들에게 ‘입틀막’을 당한 채로 끌려 나갔다고 주장하며 해당 상황을 찍은 사진을 공개했었다.
14만 명의 회원을 둔 대한의사협회(의협)가 ‘초강경파’ 회장을 선출하면서 의사들의 대정부 투쟁 수위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27일 의료계에 따르면 전날 의협 회장으로 선출된 임현택 당선인은 이날 오후 김택우 의협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 위원장과 만나 비대위 운영 방향 등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과거 전례에 비춰보면 의협 비대위가 대의원총회를 통해 부여 받은 투쟁의 전권을 당선인에게 위임하는 방안이 이르면 이날 혹은 조만간 논의될 가능성이 있다.
26일 임 당선인은 ‘제42대 의협 회장 선거’ 결선투표 직후 기자들과 만나 “아마 제가 비대위원장을 맡아 끌고 가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있다”면서 “내일 김택우 비상대책위원장과 상의해 본격적으로 논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임 당선자는 전날 의대증원 사태와 관련된 의정 간 대화의 전제 조건으로 ‘의대증원 원점 재검토’, ‘책임자 처벌’, ‘대통령 사과’ 등을 제시했다.
42대 대한의사협회장에 당선된 임현택 소아과의사회장이 26일 오후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에서 열린 결선 투표에서 소감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임 당선자는 “우리나라는 지금도 동네 사거리에 수 없이 많은 전문의가 운영하는 병의원들이 있을 정도로 의료 접근성이 좋아 오히려 의대정원을 지금보다 500명 내지 1000명 줄여야 한다”며 입장을 밝혔다. 의대 2000명 증원을 고수하고 있는 정부와 입장차가 커 향후 대정부 투쟁 수위가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 지난 20일 정부가 대학별 의대 정원을 발표하자 성명을 내고 “의사들은 파시스트적 윤석열 정부로부터 필수의료를 지키기 위해 끝까지 투쟁할 것”이라며 목소리를 높이기도 했다.
또 “이번 사태에 책임이 있는 보건복지부 장·차관과 대표적인 폴리페서인 김윤 서울대 의대 교수를 파면하고 대통령은 사과해야 한다”면서 “이번 사태 기획자인 안상훈 전 대통령실 사회수석의 경우 국민의힘의 위성정당 국민의미래 비례대표 후보 공천을 취소해야 하고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도 백지화해야 한다”며 증원 철회와 더불어 대통령의 사과와 책임자 파면 등을 주장하고 있다.
임 당선자는 전공의와 의대생, 의대교수들이 의대증원 사태로 불이익을 받을 경우 총파업도 불사하겠다고 밝혔다. 임 당선자는 ‘총파업 돌입 시점’에 대해 “(정부가)전공의, 의대생, 교수들에 대해 행정처분을 하거나 민형사 소송을 제기하면 결코 좌시하지 않겠다”면서 “14만 전체 의사들이 모두 하나돼 투쟁할 것”이라고 말했다.
당면 과제인 ‘의대증원 원점 논의’ 뿐 아니라 공약들도 의정 간 입장차가 커 향후 대치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김경호 기자 stillcut@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