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사대교 |
|
---|---|
공식이름 | 천사대교 |
교통시설 | 국도 제2호선 (천사대교로) |
횡단 | 황해 |
국적 | ![]() |
관리 | 익산지방국토관리청 |
설계 | 현수교, 사장교 |
건설 | 1공구: 대우건설 컨소시엄 (사장교 2공구 : 대림산업 컨소시엄 (현수교 |
길이 | 7.26km |
폭 | 11.5m |
착공일 | 2010년 9월 15일 |
완공일 | 2019년 4월 4일 |
개통일 | 2019년 4월 4일 |
위치 | |
위치 | ![]() |
천사대교(千四大橋)
전라남도 신안군에 있는 국도 제2호선의 교량으로, 압해읍의 압해도와 암태면의 암태도[1]으로 총연장은 10.8㎞이며, 2019년 4월 4일 개통을 했다.[2]
천사대교는 신안군 비금도, 도초도, 하의도, 신의도, 장산도, 안좌도, 팔금도, 암태도, 자은도
암태도
목포에서 서쪽으로 28.5km, 서남단 해상에 위치한 암태도는 총 40.08km2의 면적 중 유용 농경지가 13.25km2나 되며, 섬 한복판에 승봉산(해발 355m)이 늠름한 기백을 자랑한다. 암태도는 돌이 많고 바위가 병풍처럼 섬을 둘러싸고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9개의 큰 해수욕장을 갖고 있는 이웃섬 자은도와 달리, 변변한 모래사장 하나 없어 내세울 것이 마땅치 않은 암태도는 본래 쌀 한톨 구경하기 힘든 척박한 땅이었다. 그러다가 마명 방조제를 쌓아 드넓은 갯벌이 옥토로 바뀌게 되었다.
암태도는 전라남도 신안군 암태면에 있는 섬으로 동경 126°07′, 북위 34°49′에 위치하며 면적 37.429km2, 해안선 길이 39.8km, 연평균 기온 14.1℃, 강수량 1,172mm이다. 인구는 959가구, 1,945명(2013년 기준)이다.
목포 갓바위
전라남도 목포시 용해동에 있는 바위. 천연기념물 제500호. 해수와 담수가 만나는 영산강 하구에 위치해 풍화작용과 해식작용의 결과로 형성된 풍화혈(風化穴; tafoni)로서 삿갓을 쓴 사람의 특이한 형상을 하고 있다.
목포 유달산
높이 228m. 유달동 ·대반동(大盤洞) ·온금동(溫錦洞) ·북교동(北橋洞)에 걸쳐 있고, 유달산 동쪽 기슭을 중심으로 목포시가 자리잡고 있다. 산은 비록 해발고도다도해修道寺) ·관음사(觀音寺) 등 사찰이 많다. 서쪽 산록은 바다에 임하며, 길이 365m, 너비 20~40m 규모의 유달해수욕장이 있다.
두륜산 케이블카
두륜산 케이블카는 천년고찰 해남 대흥사를 비롯하여 고산 윤선도의 녹우당, 우항리 공룡화석지, 우수영 명랑대첩지, 땅끝 마을 등을 연계하는 관광코스로 알려져 있으며, 1.6km 선로를 이용하여 초속 3.6M으로 8분간(편도시간) 케이블카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해남 대흥사
대둔사(大芚寺)라고도 한다. 대한불교 조계종 제22교구의 본사이다. 이 절의 기원은 426년 신라의 승려 정관(淨觀)이 창건한 만일암(挽日庵)이라고도 하고, 또 544년(진흥왕 5)에 아도(阿道)가 창건했다고도 하며, 일설에는 508년(무열왕 8)에 이름이 전하지 않는 비구승이 중창(重創)했다는 등 여러 설이 있으나 모두 확인할 길이 없다. 그후의 역사에 대해서도 자세히 전하지 않으며, 임진왜란 이전까지는 이렇다 할 사찰의 규모를 갖추지 못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이 절은 임진왜란 때 서산대사(西山大師)가 거느린 승군(僧軍)의 총본영이 있던 곳으로 유명하다. 1604년(선조 37) 서산이 자신의 의발(衣鉢)을 이 곳에 전한 후 크게 중창되었다고 한다. 그후 1665년(현종 6) 심수(心粹)가 대웅전을 중창하고, 1669년에는 표충사(表忠祠)를 건립하였으며, 1813년에는 불탄 천불전(千佛殿:지방유형문화재 48)이 재건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억불(抑佛)의 탄압 속에서도 많은 인재를 길러내어 의심(義諶)·삼우(三遇)·도안(道安)·문신(文信)·추붕(秋鵬) 등 13인의 대종사(大宗師)와 원오(圓悟)·광열(廣悅)·영우(永愚) 등 13인의 대강사(大講師)를 배출시킨 명찰이다. 경내에는 대웅보전·침계루(枕溪樓)·명부전(冥府殿)·나한전(羅漢殿)·백설당(白雪堂)·천불전·용화당(龍華堂)·도서각(圖書閣)·표충사·서원·서산대사기념관·대광명전(大光明殿)·만일암 등 기타 많은 당우(堂宇)가 있으며, 보물로 지정된 응진전전(應眞殿前) 3층석탑, 북미륵암(北彌勒庵) 3층석탑이 있고 국보로 지정된 북미륵암 마애여래좌상(磨崖如來坐像)이 있다. 또한 서산대사를 비롯한 여러 명승의 부도(浮屠)와 탑이 있으며, 특히 서산대사의 유물과 이광사(李匡師)·김정희(金正喜)·이삼만(李三晩) 등 역대 명필들의 필적으로 된 각종 현판도 남아 있다.
두륜산 고계봉
1박2일’에도 나와 화제가 되었던 곳이기도 하다.
해발 638미터의 두륜산 고계봉.
험난하지만 빼어난 산세를 수월히 구경하며 올라 10분 정도만 걸으면 고계봉 전망대에 도달할 수 있다.
다녀온 영상
암태도 승봉산 정보
다녀온 사진들
|
첫댓글 수고 하셨 습니다
이번 산행 준비하시느라
고생 하셨읍니다
감사합니다
부산 알피니스트 산악회
http://cafe.daum.net/pa3043
총무 박성원
수고많으셨어요
감사합니다
부산 알피니스트 산악회
http://cafe.daum.net/pa3043
총무 박성원
이번 전남신안 천사대교
1박2일 준비하너라 회장및 집행부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을
기대하면서 회원모두가
단합된 모습정말 고맙습니다
고문주석진
모두 협조해 주신 덕분입니다
모든 회원님들께
찬사를 드림니다
감사합니다
부산 알피니스트 산악회
http://cafe.daum.net/pa3043
총무 박성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