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뿌리읽기] 角(뿔 각)

角은 갑골문에서 짐승의 뿔을 그렸는데, 무늬가 든 것이 특징이며, 모양으로 보아 소뿔로 보인다.
뿔은 머리에 달려 있기 때문에 頭角(두각)에서처럼 ‘머리’를, 뾰족하거나 모난 모습 때문에 角度(각도)를, 머리를 뿔 모양으로 맸다는 뜻에서 總角(총각)을, 뿔피리로 쓰였기 때문에 五音(오음)의 하나를 지칭하게 되었다.
뿔은 표면이 단단하지만 안은 부드러워 속을 파내면 잔이나 악기는 물론 다양한 장식물로 쓸 수 있다.
먼저, 가공하기 위해서는 뿔을 뽑아야 하는데, 解(풀 해)는 소(牛·우)의 뿔(角)을 칼(刀·도)로 해체해 내는 모습이다.
옛날 제사를 지낼 때 짐승을 잡아 바쳤는데, 희생물로 쓸 짐승을 묶어(束·속) 놓고 배를 가르고 뿔(角)을 뽑으려 할 때 ‘죽기를 두려워하는 짐승의 모습’을 그린 글자가 속(角+束:곱송그릴 속)이다.
이렇게 분리해 낸 뿔은 표면을 장식하여 고급 잔으로 사용했는데, 觚(술잔 고)는 아래 위가 나팔처럼 벌어진 큰 키의 잔을, 觥(뿔잔 굉)은 빛(光·광)을 발하듯 겉면을 화려한 무늬로 장식한 코뿔소의 뿔로 만든 잔을 말했다.
그런가 하면, 觱(악기이름 필)은 서역에서 중국으로 수입된 가로로 된 피리를 음역한 글자인데, 음역 과정에서 모두 함께[咸:함] 들을 수 있는 뿔을 깎아 만든 뿔피리(胡角·호각)처럼 생긴 악기라는 의미를 담았다.
나머지, 觸(닿을 촉)을 구성하는 蜀(나라이름 촉)은 원래 머리 부분이 크게 돌출된 애벌레를 그렸고 이후 지명으로 가차되자 虫(벌레 충)을 더해 촉(나비 애벌레 촉)으로 분화한 글자이다.
그렇다면 觸은 애벌레(蜀)에 돌출된 뿔(角)처럼 생긴 觸手(촉수)를 말하며, 이로부터 ‘接觸(접촉)’의 의미가 생겼을 것이다.
하영삼 경성대 교수 ysha@ks.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