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7월 중순 금 원자재 가격 전망
글: 유동수 (주)불리온뱅크 대표이사, (사)한국금협회 회장 |
국제 금 가격은 7월이 시작되면서 초반에는 소강상태를 보이다가 중순에 접어들면서 상승 흐름을 이어갔다. $2,360/oz 선에서 잠시 숨 고르기를 한 이후에 2,400/oz 선을 급격하게 돌파하는 상승기류를 형성했다.
미 연준 파월의장의 입장 변화
FOMC 회의에서 파월의장과 연준위원들이 기준금리 인하에 대해 소극적인 입장을 표현한 이후에 최근 소폭 기준금리 인하를 염두에 두고 있는 입장으로 선회한 것이 국제 금 값의 상승 흐름에 크게 영향을 주었다. 특히 경기가 후퇴 또는 침체되기 전에 다소 선제적인 조치가 필요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표출한 것이 국제 금 가격에는 매우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다. 그 시기와 횟수에 대해서는 언급을 하지 않았지만, 9월 이후 2차례 또는 3차례까지도 기준금리를 인하할 수도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미국 인플레이션 둔화 및 고용과 실업지표 악화
최근 미국의 경제지표는 경기 둔화 또는 침체의 신호를 일부 보내고 있다. 특히 구인율과 실업률 간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배버리지 곡선의 흐름이 다소 악화된 것으로 나타나면서 이러한 우려감은 더욱더 가속화되었다. 특히 인플레이션과 실업률과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필립스 곡선의 변화가 뚜렷해지고 있기 때문에 실업률 상승 이전 조치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우위인 상황이 국제 금 가격에는 우호적인 요인으로 작용했다. 경기와 실업률에 대한 우려감으로 인해 금 가격은 상승 흐름을 이어갔다.
전망
최근 경제지표의 흐름은 인플레이션 상승률이 완화되고 있고, 실업률도 소폭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어 금값에는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또한 금리 인하에 따른 미 달러화의 약세 흐름도 국제 금 가격에는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최근 인플레이션 상승률이 둔화되고 있고, 주요 경제지표 발표 흐름도 다소 부정적인 결과가 발표되고 있기 때문에 경기 연착륙을 위한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한 상황이 형성되고 있는 것도 금 가격의 상승 흐름에 영향을 줄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여전히 중동과 러-우 지역의 분쟁이 진행 중이고, 유럽의 정치적 불안도 해소되지 못한 상황이기 때문에 금 가격의 하방 압력보다는 심리적 지지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현재 매우 높은 가격 수준과 추가적인 상승 동력을 찾지 못한다면 $2,400/oz 위에서 차익실현 매물이 출현할 가능성을 배제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실시간 시황은 유튜브, 실시간 시세는 플레이스토어에서 ‘불리온 뱅크’ 검색하여 보실 수 있습니다.
귀금속경제신문(www.diamond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