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집 녀 여자가 다소 곧이 앉아 있는 모습을 본 따 만든 글씨이다.
길흉화복(吉凶禍福)이 모두 조상신(祖上神)과 관련 있다고 믿은 고대 중국인은, 종묘(宗廟)나 사당(祠堂)에서 돌아가신 조상에게 제사(祭祀)를 지내는 것이 일상 생활에서 매우 중요한 것이었다. 또한 제사(祭祀)는 남자가 지내야하기 때문에 남아(男兒)를 선호하게되고, 이로 인해 극단적인 남존여비(男尊女卑) 사상까지 생겨났다.
하지만 BC 3세기 무렵에 씌어진 여씨춘추(呂氏春秋)에는 "태고의 백성은 어미는 알아도 아비는 몰랐다"는 구절이 있다. 즉 고대 중국은 모계사회였으나, 은(殷), 주(周)시대에 들어오면서 부계사회가 정착되었다. 일부 학자들은 한자에 모계쪽 호칭은 많으나 부계쪽 호칭이 별로 없는 것이 모계사회였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한자가 정착되면서 부계사회로 접어 들었기 떄문에 신빙성은 없어 보인다. 하지만 성씨를 뜻하는 성(姓)에 여자(女)가 들어 가는 것을 보면 예전에는 여자 성을 따르지 않았나 생각한다.
남존여비의 영향으로, 계집 녀(女)가 들어가는 글자에는 부정적인 의미의 글자가 많다. 여자들은 간사하다는 의미의 간(姦)이나, 시기할 질(姪), 질투할 투(妬), 요망할 요(妖), 방자할 방(妨) 등에 모두 계집 녀(女)가 들어 간다.
집에 여자가 있으면 편안하다는 의미의 편안할 안(安)이나, 즐겁게 노는 자리에는 여자가 있어야한다는 놀 오(娛)와 같은 글자에는, 여자를 집안일을 하거나 오락(娛樂) 대상으로 삼는 옛 중국인들의 생각(우리나라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이 엿보인다.
■ 여자의 호칭
▶ 母 : [상형]어미 모, 계집 녀(女) + 젖꼭지를 의미하는 두 점 상형문자를 보면 계집 녀(女)자의 가슴 부분에 젖꼭지를 의미하는 두 점을 찍어 만든 글자이다. - 모자(母子) : 어머니와 아들 ▶ 婦 : [회의]아내 부, 계집 녀(女) + 빗자루 추(帚) 빗자루(帚)를 들고 집안 청소하는 여자(女)가 아내(婦)이다. - 부부(夫婦) : 남편과 아내 ▶ 姑 : [회의]시어머니 고, 고모 고, 시누이 고, 계집 녀(女) + [옜 고(古)] 시어머니는 옛날(古) 여자(女)이다. - 고부(姑婦) : 시어머니와 며느리 - 고모(姑母) : 아버지의 누이 - 고식지계(姑:시어미 고 息:숨쉴 식 之:갈 지 計:꾀 계) : "시어머니(늙은이)와 자식(어린이)의 계책"이란 뜻으로, 임시 변통이나 일시 미봉하는 계책. ▶ 妻 : [회의]아내 처, 계집 녀(女) + 열 십(十) + 고슴도치 머리 계(彐) 다른 사람(여종)이 손(彐)으로 여자(女)의 머리(十)를 다듬는 모습을 본따 만든 글자이다. - 처가(妻家) : 아내의 친정 ▶ 妾 : [회의]첩 첩, 계집 녀(女) + 매울 신(辛→立) 매울 신(辛)은, 죄인이나 노예라는 표시를 위해 얼굴에 문신을 새기던 침의 모습을 본따 만든 글자이다. 고대중국에서는 잡혀온 여자의 얼굴에 문신을 새겨 첩으로 삼았다. - 첩실(妾室) : 첩을 점잖게 이르는 말 ▶ 姨 : 이모 이, 시누이 고, 계집 녀(女) + [오랑캐 이(夷)] 이모가 여자니까, 계집 녀(女)가 붙는다. - 이모(姨母) : 어머니의 자매 ▶ 嫡 : 정실 적, 계집 녀(女) + [밑둥 적(啇)] 정실(첩이 아닌 본 마누라)은 여자(女)니까 - 적자(嫡子) : 정실(正室)의 몸에서 태어난 아들 ▶ 妹 : 손아래 누이 매, 계집 녀(女) + [아닐 미(未)→매] 손아래 누이가 여자니까, 계집 녀(女)자가 들어간다. - 매부(妹夫) : 누이의 남편. 자형(姉兄) ▶ 姐 : 누나 저, 언니 저, 계집 녀(女) + [공손할 저(且)] 누나가 여자니까, 계집 녀(女)자가 들어간다. -소저(小姐) : 아가씨의 뜻으로 젊은 여자를 일컫던 말 ▶ 嫂 : 형수 수, 계집 녀(女) + [찾을 수(叟)] 형수는 여자니까, 계집 녀(女)자가 들어간다. - 형수(兄嫂) : 형의 아내 ☞ 搜 : 찾을 수, 손 수(扌) + [찾을 수(叟)] 손으로 더듬거리며 찾으니까, 손 수(扌)자가 들어간다. ▶ 姪 ; 조카 질, 계집 녀(女) + [이를 지(至)→질] 고대 중국에서는 모계사회였기 때문에 여자의 조카를 일컬음 - 질녀(姪女) 조카딸 ▶ 婆 : 할미 파, 계집 녀(女) + [물결 파(波)] 할머니는 여자니까, 계집 녀(女)자가 들어간다. 머리에 물결 모양의 주름살이 있어서 물결 파(波)자가 들어 갔는 이야기도 있다. - 노파(老婆) : 늙은 할머니 ▶ 孀 : 과부 상, 계집 녀(女) + [서리 상(霜)] 과부가 여자니까, 계집 녀(女)자가 들어간다. - 청상과부(靑孀寡婦) : 남편을 여읜 젊은 과부 ▶ 娘 : 아가씨 낭, 계집 녀(女) + [어질 량(良)→낭] 아가씨가 여자니까, 계집 녀(女)자가 들어간다. - 낭자(娘子) : 처녀를 점잖게 이르는 말 ▶ 孃 : 계집애 양, 계집 녀(女) + [도울 양(襄)] 계집애가 여자니까, 계집 녀(女)자가 들어간다. - 영양(令孃) : 남의 딸을 높이 일컫는 말 ▶ 妃 : 왕비 비, 계집 녀(女) + [몸 기(己)→비] 왕비도 여자니까, 계집 녀(女)자가 들어간다. - 왕비(王妃) : 임금의 아내 ▶ 妣 : 죽은 어미 비, 계집 녀(女) + [견줄 비(比)] 죽은 어미가 여자니까, 계집 녀(女)자가 들어간다. ▶ 姉 : 손위 누이 자 손위 누이가 여자니까, 계집 녀(女)자가 들어간다. - 자매(姉妹) : 여형제
■ 여자의 직업
▶ 奴 : [회의]종 노, 계집 녀(女) + 오른손 우(又) 손(又)안에 들어와 있는 여자(女)가 종(奴)이다. - 노비(奴婢) : 사내종과 계집종 ☞ 怒 : 성낼 노, 마음 심(心) + [종 노(奴)] 마음으로 성을 내니까, 마음 심(心)자가 들어간다. ▶ 婢 : 계집종 비, 계집 녀(女) + [낮을 비(卑)] 낮은(卑) 계급의 여자(女)가 계집종(婢)이다. ▶ 妓 : 기생 기, 계집 녀(女) + [가지 지(支)→기] 기생은 여자니까, 계집 녀(女)자가 들어간다. - 기생(妓生) : 잔치나 술자리에 나가 노래, 춤 등으로 흥을 돕는 일을 업으로 삼던 여자 ☞ 技 : 재주 기, 손 수(扌) + [가지 지(支)→기] 손으로 잘 만드는 사람이 재주가 많다. ▶ 娼 : 창녀 창 , 계집 녀(女) + [번창할 창(昌)] 창녀는 여자니까, 계집 녀(女)자가 들어간다. ☞ 唱 : 노래 창, 입 구(口) + [번창할 창(昌)] 입으로 노래를 부르니까, 입 구(口)가 붙는다.
■ 여자의 성격과 행동
▶ 姦 : [회의]간사할 간, 계집 녀(女) + 계집 녀(女) + 계집 녀(女) 여자들은 간사하므로, 계집 녀(女)자가 들어간다. - 간통(姦通) ▶ 妬 : [회의]질투할 투, 계집 녀(女) + 돌 석(石) 여자(女)가 질투하면 돌(石)을 던지면 싸운다에서 유래. - 질투(嫉妬) 시기하여 미워함. ▶ 妖 : 요망할 요, 계집 녀(女) + [어릴 요(夭)] 젋은(夭) 여자(女)들의 성격은 요망하다. 어릴 요(夭)자는 예쁘게 보이려고 고개를 삐딱하게 있는 젋은 여자의 모습이다. - 요사(妖邪) : 요망스럽고 간사함. ▶ 奸 : 간음할 간(姦), 계집 녀(女) + [방패 간(干)] 여자들은 간사하므로, 계집 녀(女)자가 들어간다.. - 간사(奸詐) : 간교(奸巧)하여 남을 잘 속임 ▶ 嫉 : 시기할 질, 계집 녀(女) + [병 질(疾)] 여자들은 시기를 잘하므로, 계집 녀(女)자가 들어간다. - 반목질시(反:되돌릴 반 目:눈 목 嫉:시기할 질 視:볼 시) : "눈을 흘기면서 밉게 본다"는 뜻으로, 서로 미워하고 시기한다. ▶ 妙 : 미묘할 묘, 계집 녀(女) + [적을 소(少)→묘] 여자(女)들의 성격은 미묘하다. - 미묘(微妙) : 섬세하고 묘함 ▶ 妨 : 방해할 방. 계집 녀(女) + [모서리 방(方)] 여자들이 일을 하는데 방해가 된다고, 계집 녀(女)자가 들어간다. - 방해(妨害) : 남의 일을 가로 막아 잘 못하게 함 ▶ 妄 : 거짓 망, 계집 녀(女) + [망할 망(亡)] 여자(女)들이 거짓말을 잘한다 - 경거망동(輕:가벼울 경 擧:들 거 妄:거짓 망 動:움직일 동) : 경솔하게 함부로 행동함 - 망령(妄靈) : 늙거나 정신이 흐리어 말이나 행동이 정상적인 상태가 아님 - 노망(老妄) : 늙어서 망령을 부림 ▶ 嫌 : 의심할 혐. 싫어할 혐, 계집 녀(女) + [겸할 겸(兼)→혐] 여자(女)는 의심이 많다. - 혐의(嫌疑) : 범죄자로 의심스러움 - 혐오(嫌惡) : 싫어하고 미워함
■ 여자의 모습
▶ 娟 : 娟 : 예쁠 연, 계집 녀(女) + [작은벌레 연(肙)] 여자(女)들은 예쁘다. ☞ 絹 : 비단 견, 실 사(糸) + [작은벌레 연(肙)] ▶ 姸 : 예쁠 연, 계집 녀(女) + [평평할 견(幵)→연] 여자(女)들은 예쁘다. ☞ 硏 : 갈 연(연마), 돌 석(石) + [평평할 견(幵)→연] ▶ 娥 : 아리따울 아, 계집 녀(女) + [나 아(我)] 여자(女)들은 아리땁다. - 항아(姮娥) : 달에서 산다고 하는 선녀 ▶ 姿 ; 맵시 자, 계집 녀(女) + [버금 차(次)→자] 여자(女)들은 맵시가 있다. - 방자(芳姿) : 꽃다운 자태 ▶ 媛 : 미녀 원, 계집 녀(女) + [당길 원(爰)] 미녀들은 모두 여자(女)이다. ▶ 嬌 : 아리따울 교, 계집 녀(女) + [높을 교(喬)] 여자(女)들은 아리땁다. - 교태(嬌態) : 여자의 요염한 자태 ▶ 姿 : 맵시 자, 계집 녀(女) + [버금 차(次)→자] 여자(女)들은 맵시가 있다. - 자태(姿態) : 맵시와 몸가짐
■ 기타 계집 녀(女)자가 들어가는 글자
▶ 好 : [회의]좋을 호, 계집 녀(女) + 아들 자(子) 여자(女)와 아들(子)을 낳으니 좋다(好). - 호사다마(好:좋을 호 事:일 사 多:많을 다 魔:마귀 마) : "좋은 일에는 마귀기 많다"라는 뜻으로, 좋은 일에는 흔히 탈이 끼어들기 쉬움 ▶ 要 : [상형]중요할 요, 덮을 아(襾) + 계집 녀(女) 상형문자를 보면 두손 허리에 손을 올리고 있는 모습으로 덮을 아(襾)자나 계집 녀(女)자와는 상관없는 글자이다. 원래의 의미는 허리였으나, 중요하다는 의미로 사용되자, 원래의 의미를 분명이 하기 위해 고기 육(肉→月)자가 추가되어 허리 요(腰)자가 되었다. - 중요(重要) : 소중함 ▶ 安 : [회의]편안할 안, 집 면(宀) + 계집 녀(女) 집(宀)에 여자(女)가 있으면 편안(安)하다. - 편안(便安) : 몸이나 마음이 편하고 좋음 - 안빈낙도(安:편안할 안 貧:가난할 빈 樂:즐길 낙 道:길 도) : 가난한 생활에서도 편안한 마음으로 도(道)를 즐기면서 삶 ▶ 宴 : [회의]잔치 연, 집 면(宀) + 날 일(日) + 계집 녀(女) 집(宀)에서 잔치를 하기 위해서는 날(日)을 잡아야하고, 여자(女)가 있어야하는데에서 유래. - 연회(宴會) : 잔치 ▶ 妥 : [회의]마땅할 온, 편안할 타, 손톱 조(爪) + 계집 녀(女) 약한 여자(女)는 남자의 손(爪)안에 있는 것이 마땅하고 편안하다. - 타협(妥協) : 양쪽이 서로 좋도록 절충하여 협의함 ▶ 如 : [회의]같을 여, 계집 녀(女) + 입 구(口) 여자의 입은 모두 같다에서 유래. 뭐가 같은지는 상상력에... ▶ 姓 : 성 성, 계집 녀(女) + [날 생(生)→성] 고대 중국에서 여자(女)가 낳은(生) 아이에게 자신의 성(姓)을 따르게한 모계사회에서 유래. - 성명(姓名) : 성과 이름 ▶ 婚 : 혼인할 혼, 계집 녀(女) + [어두울 혼(昏)] 여자와 혼인하니까, 계집 녀(女)자가 들어간다. - 혼인(婚姻) : 장가들고 시집가는 일 ▶ 姻 : 혼인할 인, 계집 녀(女) + [인할 인(因)] 여자와 혼인하니까, 계집 녀(女)자가 들어간다. ▶ 媤 : 시집 시, 계집 녀(女) + [생각할 사(思)→시] 여자가 시집을 가니까, 계집 녀(女)자가 들어간다. - 시댁(媤宅) : 남편의 집. 시부모가 있는 집. ▶ 嫁 : 시집갈 가, 계집 녀(女) + [집 가(家)] 여자가 시집을 가니까, 계집 녀(女)자가 들어간다. 시집이란 여자가 다른 집(家)에 살러 가는 것이다. ▶ 姙 : 아이 밸 임, 계집 녀(女) + [맡길 임(任)] 여자가 아이를 배니까, 계집 녀(女)자가 들어간다. 아이를 가지는 것이 여자가 해야할 가장 큰 일(任)이었다. - 임산부(姙産婦) : 애를 배거나 낳은 여자 ▶ 娛 : 놀 오, 계집 녀(女) + [나라이름 오(吳)] 놀 때에는 여자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으므로, 계집 녀(女)자가 들어간다. - 오락(娛樂) : 즐겁게 노는 일 ▶ 始 : 처음 시, 계집 녀(女) + [기쁠 이(台)→시] 옛 중국에서는 여자(女)와 땅(土)이 만물의 근원이고, 모든 것의 시초라고 생각하였다. - 시작(始作) : 처음으로 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