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는 확신할 순 없겠지만 재발 보다는 항암 후유증이 지속되거나 불안감에 의한 위장장애/복부 불편함일 가능성이 더 높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다른 분들도 참고하시라고 게시글로 답변 드립니다.
https://www.cancernetwork.com/view/journal-current-treatment-of-peripheral-t-cell-lymphoma
PTCL 재발 후 쓸 수 있는 구제항암제들은 다양합니다. 북미는 재발/불응 ptcl에 4개의 표적치료제들이 승인되었습니다. 1) belinostat 2) 브렌툭시맙 베도틴 3)pralatrexate 4) 로미뎁신 (철회됨). CD30 항원이 발현하여 브렌툭시맙 베도틴을 쓰지 않는 이상 위에 언급된 표적치료제들의 반응율은 30% 정도입니다.
아니면 b세포에 쓰는 구제항암제들을 쓸 수 있습니다. ICE, DHAP, GDP 등.
그리고 투여 가능한 다른 약들은 벤다무스틴, aletuzumab, 보르테조밉, 젬시타빈, 레날리도마이드가 있습니다.
어떤 약을 구제항암으로 투여하 건 중요한 건 약에 반응하여 관해가 오는 것입니다. 완전관해가 오면 제일 좋고요. 그리고 이식(자가 혹은 동종)을 하게 됩니다. 자가이식 후 재발했다면 동종이식이 유일한 완치법으로 여겨집니다.
최근 재발/불응 ptcl에 duvelisib(copiktra)가 유망한 약으로 떠올랐습니다. 경구용 치료제인데 불응/재발 PTCL에 50%의 반응율과 32.1%의 완전관해율을 보였죠. NCCN(미국암네트워크)에는 PTCL 2차 항암제로 올라가 있습니다. 그리고 일부 신 표적치료제들을 소개하면 Cerdulatinib(세둘라티닙)은 불응/재발 PTCL에 반응율이 35%인 범-JAK/SYK 경로 억제제이며, 특히 AITL 및 TFH 타입의 결정성 PTCL 아형에는 55%의 반응율을 보였습니다.
Tipifarnib(티피파닙)은 CXCL12 유전자형을 가진 AITL 및 PTCL-NOS에 50%에 가까운 반응을 보였고요.
젊은 성인에서 crizotinib(크리조티닙Xalkori)은 최근 불응/재발 ALK 양성 sALCL에 대해 FDA 승인을 얻었으며 최소 21세 이상의 환자 23명에서 반응율 88%, 완전관해율 81%을 보여주었습니다.(https://blog.naver.com/nikos12/222210192934 국내 관련 블로그 참고)
또 다른 ALK 억제제 alectinib(알레티닙, Alecensa)는 최근 ALK 양성 sALCL에 2차 요법으로 NCCN에 올랐습니다.
T세포림프종에 대한 세포 요법은 초기 단계에 있지만 여러 제품이 임상 중입니다. 여기에는 이중항체치료제 CD16/CD30인 AFM13(REDIRECT; NCT04101331), 항-CD47 마그롤리맙(모가물리주맙과의 병용 포함; NCT04541017) 및 카티셀 요법이 포함됩니다. 현재 자가 CD5 표적 카티셀 요법이 불응/재발T세포 림프종(NCT03081910) 환우 대상으로 동종이식에 대한 가교치료로서 임상 중에 있습니다. 또한 불응/재발 t세포 환우대상 CD70 표적 동종 카티셀에 대한 추가 임상이 진행 중입니다(COBALTY-LYM; NCT04502446).
이 밖에도 다음 논문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9806442/ 도표3(Table3)에 나온 것처럼 T세포림프종 환우들을 대상으로한 다양한 표적(CD3, CD4, CD5, CD7, CD30 등)의 카티셀 임상들이 중국와 미국에서 진행 중입니다. 국내도 조만간 t세포 환우들을 대상으로한 신속한 표적치료제들의 승인과 카티셀 임상들이 실현되기를 바랍니다.
https://cafe.daum.net/lovenhl/6hGZ/13952
https://cafe.daum.net/lovenhl/TBWr/8112
복잡하지만 위 게시글도 참고하십시오.
첫댓글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친한 환우가 ptcl nos 방사선까지 하고 재발하여 삼성으로 전원 후 ngs검사하자고 하셔서 흉강경조직검사 한 상태입니다. 유전자 표적을 찾아 맞는 약으로 치료받을 수 있겠군요.
림프종 치료 정보에 관한 소식을 보면 거의 B셀에 관한 것이였는데 T셀/PTCL의 재발에 관해서 스텔라님이 주신 상세한 정보 정말 감사드립니다. 위의 링크에도 들어가서 읽어보겠습니다. 그런데 저의 조직검사 결과지에 보면CD30이 부분적 양성/(FOCAL POSITIVE)으로 되어있는데 이것이 PTCL 치료에서 어떤 것을 의미하는지 여쭤봐도 될까요?
주말에 정말 소중한 시간 내셔서 답답한 환자의 우문에 소중한 답변주심에 정말 다시 한 번 감사드려요^^
혹여 재발시 CD30 양성이면 브렌툭시맙 베도틴 투여에 대한 효과를 더 기대할 수 있을 겁니다. 보통 CD 30 양성은 %로 계산해 주 1차치료 임상 참여 시는 브렌툭시맙 베도틴 투여 기준이 10% 였는데 재발시는 1%였던 임상도 있었습니다. 그리고 음성임에도 허용했던 임상들도 있었는데 PTCL엔 음성이어도 브렌툭시맙이 효과가 있었던 환우들의 기록이 있습니다.
@steller 스텔라님, 답변 정말 정말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