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름다운 순우리말
가라사니: 어떤 것을 가름할 수 있는 앎이나 실마리
가람: 강의 우리말
가시버시: 아내와 남편의 우리말
가온길: 정직하고 바른 가운데(가온대:옛말) 길로 살아가라고 지은 이름
가온누리: 무슨 일이든 세상(누리: 옛말)의 중심(가온대:옛말)이 되어라
까미: 얼굴이나 털빛이 까만 사람이나 동물을 일컫는 말
건잠머리: 일을 시킬 때에 방법을 일러주고 도구를 챙겨주는 일
(예: 그는 건잠머리가 있으니 잘 가르쳐 줄게다)
겨레: ‘겨레붙이’의 줄임말, 살붙이, 친척(親戚), 피붙이
겨레붙이: 겨레, ‘민족’의 순우리말
겨르로이: [옛] 한가로이, 겨를 있게
곁부축: 부축, 겨드랑이를 끼거나 붙잡아서 다른 사람이 걷는 것을 도움
고갱이: 풀이나 나무의 줄기 한가운데 있는 부드러운 곳,배추속대, 배추 속의 한가운데에서 올라오는 곳과 잎 빛깔이 노릇하고 맛이 달콤하고 고소하다 나뭇고갱이, 속고갱이,배추고갱이
꼬꼬지: 아주 오랜 옛날
꼬리별: 혜성
꼬두람이: 맨 꼬리 또는 막내
꽃가람: 꽃이 있는 강 (가람: 강의 우리말)
꽃샘바람: 봄철 꽃이 필 무렵에 부는 찬바람
꽃잠: 신혼부부의 첫날밤을 이르는 우리말
구래: 방의 구들장 밑으로 나 있어, 불길과 냉갈이 나가는 길
그루잠: 깨었다가 다시 든 잠
그린나래: 그린 듯이 아름다운 날개
그린내: 연인의 우리말
그린비: 그리운 남자라는 뜻의 우리말
그미: 그 여자
끄트머리: 맨 끝, 끝머리, 어떤 일을 풀 수 있는 실마리
길가온: 길 가운데
길미: 빌려 쓴 돈의 대가, 보탬이 되는 것, ‘이익’의 순 우리말
나르샤: 날아 오르다를 뜻하는 우리말
나린: 하늘이 내린
나릿물: 냇물
나비잠: 갓난아이가 두 팔을 머리위로 벌리고 편히 자는 잠
난이: 공주의 순수한 우리말
내내: 언제나, 늘,곧장, 마냥, 줄곧
너울: 바다의 사나운 큰 물결
너비: 널리
노고지리: 종달새
눈바래기: 멀리 가지 않고 눈으로 마중한다는
느루: 한 번에 몰아치지 않고 시간을 길게 늦추어 잡아서
는개: 안개비와 이슬비 사이의 가는 비
늘: 언제나, 곧장,마냥, 줄곧, 내내
늘솔길: 언제나 솔바람이 부는 길
늘해랑: 늘 해와 함께 살아가는 밝고 다부진 사람
늦마: 늦은 장마 비
다급하다: 앞뒤를 가릴 수 없을 만큼 몹시 급하다
다님길: 사람이 다니는 길
다소니: 사랑하는 사람
다소다: 애틋하게 사랑하다
다솜: 애틋한 사랑
다원: 모두 다 원하는, 모두 다 사랑하는 사람
다흰: 흰 눈꽃같이,누리를 다 희게 하는 사람
단미: 달콤한 아낙,사랑스러운 아낙
달보드레하다: 연하고 달콤하다
닻 별: 별자리 중에서 '카시오페아'를 달리 이르는 말
땅거미: 어스름, 해질 무렵, 땅거미, 해가 진 뒤 어두워지기 앞의 어스름
대수로이: 일 따위가 아주 값지다고 여길 만하게
도닐다: 가장자리를 빙빙 돌아다니다
도래솔: 무덤가에 죽 늘어선 소나무
도담도담: (어린아이 등이) 별 탈 없이 잘 자라는 모습
도투락: 어린아이 머리댕기
도틀어: 통틀어, 모두, 도파니, 이러니저러니 할 것 없이 죄다 몰아서
돌개바람: 회오리 바람
동이: 독, 질그릇의 하나 키가 작고 몸이 둥글며 아가리가 넓고 양옆에 손잡이가 달렸으며, 주로 물을 긷는 데 쓰인다
두루뭉술하다: 모난 데는 없으나 아주 둥글지도 않다, 맺고 끊음이 뚜렷하지 못하다
듀륏체리: 늦게 얻은 사랑스러운 딸자식
드다루다: 들어올려 다루다
드다르다: 모두 다르다, 다 다르다- 드달라, 드다르니
드므: 독, 단지, 질그릇, 높이가 낮고 넓적하게 생긴 독,주로 물을 담아 놓는 데 쓴다
등쌀: 몹시 귀찮게 구는 짓
온제나: 기쁜 우리
라온하제: 즐거운 내일를 뜻하는 우리말 (라온: '즐거운'이라는 순 우리말)
라온힐조: 즐거운 이른 아침 (힐조: '이른 아침'의 순 우리말)
마냥: 언제나, 늘,곧장, 줄곧, 내내
마닐마닐: 음식이 씹어 먹기 알맞도록 부드럽고 말랑말랑하다
마루: 하늘의 우리말
마파람, 앞바람: 남풍의 순우리말
막상: 막, 정작, 어떤 일에 이르러
말미: 어떤 일에 매인 사람이 다른 일로 말미암아 얻는 짬
맛조이: 마중하는 사람 영접하는 사람
매무새: 맵시, 품새,품, 몸가짐과 맵시,생김새
매지구름: 비를 머금은 검은 조각구름
맵시: 몸가짐, 생김새, ‘자태’나 ‘모양’의 순우리말
모꼬지: 놀이나 잔치 또는 그 밖의 일로 여러 사람이 모이는 일
무명: 명, 솜을 자아 만든 무명실로 짠 천
무명베: 명, 무명,솜에서 뽑아낸 실로 짠 베
물마: 비가 많이 와서 땅 위에 넘치는 물
물비늘: 잔잔한 물결이 햇살 따위에 비치는 모양
미리내: 은하수의 우리말
미르: 용 의 순수우리말
미쁘다: ‘진실하다’의 순우리말
바루다: 비뚤어지지 않도록 곧게 하다-바뤄, 바루니, 바루어
바오: 보기 좋게
배기다: 끝까지 참고 견디다
배기다: 받치다, 딱딱한 것에 받치어 결리다
버겁다: 만만하지 않고 힘에 겹거나 벅차다
벗: 친구의 순수 우리말
베론쥬빌: 배신을 당한 아낙
베리, 벼리: 벼루
벼리: 일이나 글에서 뼈대가 되는 줄거리, 그물의 위쪽에 코를 꿰어 잡아당길 수 있게 한 줄
벼슬: 나랏일을 맡아 다스리는 자리나 그 일, ‘직책’이나 ‘직위’의 순우리말
별찌: 유성
볼우물: 보조개를 뜻함
부라퀴: 자기 이익을 위해서는 물불 가리지 않고 덤비는 사람
부축: 곁부축, 겨드랑이를 끼거나 붙잡아서 다른 사람이 걷는 것을 도움
북새바람, 됫바람,된 바람: 북풍의 순우리말
비나리: '축복의 말'의 우리말
비롯: 어떤 것의 처음
비롯하다: ‘비롯한’, ‘비롯하여’, ‘비롯해서’의 꼴로 쓰여 여럿 가운데서 처음으로 삼다
비마중: 비를 나가 맞이하는 일
사나래: 천사의 날개를 뜻하는 우리말
사부랑사부랑: 물건을 느슨하게 묶거나 쌓아놓은 모양
사시랑이: 가늘고 힘없는 사람
산돌림: 옮겨 다니면서 한줄기씩 내리는 비(소나기)
샅: 샅추리, 사타귀,사타구니, ‘대퇴부’의 순우리말
새라: 새롭다
샘바리: 어떠한 일에 샘이 많아 안달하는 마음이 굳센 사람
'바리'는 어떤 한 곳에 마음을 쏟는 사람을 낮추어 부르는 우리말 예)악바리, 군바리
새, 하, 마, 노: 순서대로 동, 서, 남,북의 순우리말
샛별: 새벽에 동쪽 하늘에서 빛나는 금성을 이르는 말
서리서리: 국수나 새끼 등을 헝클어지지 않게 빙빙 둘러서 포개 감는다는 것
섬: ‘섬돌’의 줄임말
섬돌: 디딤돌, 집채와 뜰을 오르내릴 수 있게 만든 돌로 된 오르내림 턱
섬서하다: 지내는 사이가 서먹서먹하다
성: 골, 노하거나 언짢아서 치밀어 오르는 울컥함
소담하다: 생김새가 탐스럽다
소소리바람: 이른 봄에 살 속으로 기어드는 차고 음산한 바람
속내: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마음
수선: 마음을 어지럽히는 말이나 품새
수선스레: 떠들썩하고 시끄러워 마음을 어지럽게
수선대다: 어지러울 만큼 자꾸 떠들거나 움직이다- 수선거리다, 수선수선하다
수월하다: 쉽다, 까다롭거나 어렵지 않아 하기가 쉽다
수월수월하다: 그다지 어려운 것 없이 퍽 쉽다
수월내기: 다루는 사람은 놀릴 때 얕잡아 이르는 말
수월놀이: 술래놀이, 수월래놀이, 강강술래의 춤과 노래를 하는 놀이
수월수월: 그다지 어려움 없이 매우 쉽게
수월스럽다: 까다롭거나 힘들지 않아 하기 쉬운 데가 있다
수월스레: 까다롭거나 힘들지 않아 하기 쉬운 데가 있게
수피아: 숲의 요정
숯: 신선한 힘
슈룹: 지금은 사라져버린 우산의 옛말
시나브로: 모르는 사이에 조금씩, 조금씩
신울: 신의 양쪽 가에 댄, 발등까지 올라오는 울타리 줄임말-울
아가리: 입, 그릇 따위의 속으로 들어가는 구멍의 입, 따위의 드나드는 어귀
아낙: 남의 집 여자를 부르는 순우리말
아라가야: 함안의 순 우리말
아람: 탐스러운 가을 햇살을 받아서 저절로 충분히 익어 벌어 진 그 과실
아람치: 자기의 차지가 된 것
아띠: 벗, ‘친구’의 순우리말
아슴푸레하다: 기억이 또렷하지 않고 조금 희미하다, 어슴푸레하다
아라: 바다의 우리말
아름드리: 한 아람이 넘는 큰 나무나 물건 또는 둘레가 한 아름이 넘는 것
아련하다: 보기에 부드러우며 가냘프고 약하다
아리아: 요정의 우리말
아미: 눈썹과 눈썹사이(=미간)
아사: 아침 (우리나라에서 일본으로 건너간 말이어서 일본말(아사=일본말로 아침)
과 뜻이 같다 우리나라가 일본의 어버이나라인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아스라이: 아득히,흐릿한
아토: 선물
악세다: ‘억세다’의 작은 말, 악착스럽고 세다
안다미로: [부사]담은 것이 그릇에 넘치도록 많이
앙짜: 앳되게 점잔을 빼는 짓
약: 비위가 몹시 상하거나 화가 났을 때 생기는 감정이나 마음
고추나 담배 따위의 식물이 한창 자랄 때 생기는 맵고 자극적인 기운
애오라지: 마음에 차지 않지만 겨우,그저 그런 대로 넉넉히, 넉넉하지는 못하지만, 오로지의 옛말
어귀: 드나드는 목의 첫머리
어라연히프제: 치마를 입고 화살 쏘는 아낙들
어림: 어림잡아, ‘짐작’의 순우리말
어스름: 해질 무렵,땅거미, 해가 진 뒤 어두워지기 앞의 어슴푸레한
어스무레하다: 어슴푸레하다, 뚜렷하지 않고 흐릿하다
어슴푸레하다: 아슴푸레하다, 뚜렷하지 않고 흐릿하다
어슴막: 막 어두워지려는 때를 이르는 말, 이른 저녁, 저녁 무렵
얼개: 여러 조각들로 짜 이룬 모두의 뼈대, ‘구조’나 ‘골격’을 이르는 순우리말
얼추: 어림, 어림잡아
엄두: 감히 무슨 일을 하려는 마음
에우다: 빙 두르다,다른 곳으로 돌리다,쓰임새가 없는 곳을 지우다
에멜무지로: 단단하게 묶지 아니한 모양, 결과를 바라지 아니하고, 헛일하는 셈 치고 시험 삼아 하는 모양
여대치다: 가진 힘은 뛰어넘다, 뛰어넘음, 앞지름
여우별: 궂은 날 잠깐 났다가 숨는 별
여우비: 해가 난 날 잠깐 내리는 비
예그리나: 사랑하는 우리사이
예다: ‘가다’를 예스럽게 이르는 말
옛살비: 고향
오로시: 돼지가죽으로 만들어 일할 때에 신는 신, 함경북도 텃말
오롯이: 남고 처짐이 없이 고스란히,아주 조용하고 쓸쓸히
오목가슴: 명치
오비다: 좁은 틈이나 구멍 속을 갉아내거나 도려내다
오지: ‘오지그릇’의 줄임말
오지그릇: 붉은 진흙으로 만들어 볕에 말리거나 조금 구운 다음에 오짓물을 입혀 다시 구운 질그릇
온: 백(100)의 순우리말
온누리: ‘온세상’을 이르는 순우리말
온새미로: 자연 그대로, 언제나 변함없이
올리사랑: 자식의 부모에 대한 사랑 또는 아랫사람의 윗사람에 대한 사랑
옴니암니: 아주 자질구레한 것 (예: 그렇게 옴니암니 따지지 말게)
우수리: 물건 값을 치르고 거슬러 받는 잔돈
운두: 그릇이나 신,모자 따위의 둘레나 둘레의 높이
윤슬: 햇빛이나 달빛에 비치어 반짝이는 잔물결
울: 풀이나 나무 또는 돌 따위를 얽거나 쌓아서 줄 지어 집 둘레를 막은 것, 믿고 든든하게 기댈 수 있는 사람, 속이 비고 위가 트인 것의 가를 둘러싼 곳,
울어예다: 울면서 가다
움: 싹, 새싹, 눈, 굴
은가람: 은은히 흐르는 강(가람)을 줄여 만듦
은가비: 은은한 가운데 빛을 발하라
이내: 저녁나절에 어스름한 기운
이든: 착한, 어진
인: 여러 번 거듭되어 몸에 깊이 밴 버릇 - 인이 배겼다
자귀: 짐승의 발자국
종잡다: 어림잡아 헤아리다
즈믄: 천(1000)의 순우리말
질그릇: ‘옹기’의 순우리말, 잿물을 입히지 않고 진흙만으로 구워 만든 그릇 겉에 반질반질하지 않다
짐짓: 속마음이나 속마음(본뜻)은 그렇지 않으나 일부러 그렇게
집알이: 새 집 또는 이사한 집을 인사차 찾아보는 일
천: 옷, 이불 따위의 감이 되는 피륙
초아: 초처럼 자신을 태워 누리를 비추는 사람
타니: 귀걸이
타래: 실이나 노끈 등을 사려 뭉친 것
터울: 나이차이
토: 끝말
토씨: ‘조사’의 순 우리말
파니: 아무 하는 일 없이 노는 모습
퍼르퍼르: 가벼운 것이 가볍게 날리는 모습
포롱거리다: 작은 새가 가볍게 날아오르는 소리
푸르미르: 청룡의 순수 우리말
푸실: 풀이 우거진 마을
품: 매무새, 품새,몸가짐과 맵시, 생김새
품새: 몸가짐, 생김새, ‘자태’나 ‘모양’의 순우리말
피륙: 아직 끊지 아니한 베나 무명, 비단 따위의 천을 통틀어 이르는 말
하늬바람: 서풍
하람: 꿈의 뜻, 하늘이 내리신 소중한 사람에서 줄임말을 따서 지은 이름
하리타분하다: ‘흐리터분하다’의 작은 말
하야로비: 해오라기
하제: 내일
한뉘: ‘평생’을 이르는 순우리말, 사람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의 살아 있는 동안
한 별: 크고 밝은 별
한울: 한은 바른, 참된, 가득하다는 뜻이고 울은 울타리 우리 터전의 뜻
한울: 우주의 순우리말
한살이: 한뉘, ‘한평생’의 순우리말
핫어미: 유부남의 우리말
핫아비: 유부녀의 우리말
해류뭄해리: 가뭄 후에 오는 시원한 빗줄기
헤윰: 생각을 뜻하는 우리말
휘들램: 이리저리 마구 휘두르는 짓
흐노니: 누군가를 굉장히 그리워 하는 것
흐리터분하다: 또렷하지 않고 흐리터분함, 사람이나 그 바탕이 아주 또렷하
아름다운 순우리말
가라사니: 어떤 것을 가름할 수 있는 앎이나 실마리
가람: 강의 우리말
가시버시: 아내와 남편의 우리말
가온길: 정직하고 바른 가운데(가온대:옛말) 길로 살아가라고 지은 이름
가온누리: 무슨 일이든 세상(누리: 옛말)의 중심(가온대:옛말)이 되어라
까미: 얼굴이나 털빛이 까만 사람이나 동물을 일컫는 말
건잠머리: 일을 시킬 때에 방법을 일러주고 도구를 챙겨주는 일
(예: 그는 건잠머리가 있으니 잘 가르쳐 줄게다)
겨레: ‘겨레붙이’의 줄임말, 살붙이, 친척(親戚), 피붙이
겨레붙이: 겨레, ‘민족’의 순우리말
겨르로이: [옛] 한가로이, 겨를 있게
곁부축: 부축, 겨드랑이를 끼거나 붙잡아서 다른 사람이 걷는 것을 도움
고갱이: 풀이나 나무의 줄기 한가운데 있는 부드러운 곳,배추속대, 배추 속의 한가운데에서 올라오는 곳과 잎 빛깔이 노릇하고 맛이 달콤하고 고소하다 나뭇고갱이, 속고갱이,배추고갱이
꼬꼬지: 아주 오랜 옛날
꼬리별: 혜성
꼬두람이: 맨 꼬리 또는 막내
꽃가람: 꽃이 있는 강 (가람: 강의 우리말)
꽃샘바람: 봄철 꽃이 필 무렵에 부는 찬바람
꽃잠: 신혼부부의 첫날밤을 이르는 우리말
구래: 방의 구들장 밑으로 나 있어, 불길과 냉갈이 나가는 길
그루잠: 깨었다가 다시 든 잠
그린나래: 그린 듯이 아름다운 날개
그린내: 연인의 우리말
그린비: 그리운 남자라는 뜻의 우리말
그미: 그 여자
끄트머리: 맨 끝, 끝머리, 어떤 일을 풀 수 있는 실마리
길가온: 길 가운데
길미: 빌려 쓴 돈의 대가, 보탬이 되는 것, ‘이익’의 순 우리말
나르샤: 날아 오르다를 뜻하는 우리말
나린: 하늘이 내린
나릿물: 냇물
나비잠: 갓난아이가 두 팔을 머리위로 벌리고 편히 자는 잠
난이: 공주의 순수한 우리말
내내: 언제나, 늘,곧장, 마냥, 줄곧
너울: 바다의 사나운 큰 물결
너비: 널리
노고지리: 종달새
눈바래기: 멀리 가지 않고 눈으로 마중한다는
느루: 한 번에 몰아치지 않고 시간을 길게 늦추어 잡아서
는개: 안개비와 이슬비 사이의 가는 비
늘: 언제나, 곧장,마냥, 줄곧, 내내
늘솔길: 언제나 솔바람이 부는 길
늘해랑: 늘 해와 함께 살아가는 밝고 다부진 사람
늦마: 늦은 장마 비
다급하다: 앞뒤를 가릴 수 없을 만큼 몹시 급하다
다님길: 사람이 다니는 길
다소니: 사랑하는 사람
다소다: 애틋하게 사랑하다
다솜: 애틋한 사랑
다원: 모두 다 원하는, 모두 다 사랑하는 사람
다흰: 흰 눈꽃같이,누리를 다 희게 하는 사람
단미: 달콤한 아낙,사랑스러운 아낙
달보드레하다: 연하고 달콤하다
닻 별: 별자리 중에서 '카시오페아'를 달리 이르는 말
땅거미: 어스름, 해질 무렵, 땅거미, 해가 진 뒤 어두워지기 앞의 어스름
대수로이: 일 따위가 아주 값지다고 여길 만하게
도닐다: 가장자리를 빙빙 돌아다니다
도래솔: 무덤가에 죽 늘어선 소나무
도담도담: (어린아이 등이) 별 탈 없이 잘 자라는 모습
도투락: 어린아이 머리댕기
도틀어: 통틀어, 모두, 도파니, 이러니저러니 할 것 없이 죄다 몰아서
돌개바람: 회오리 바람
동이: 독, 질그릇의 하나 키가 작고 몸이 둥글며 아가리가 넓고 양옆에 손잡이가 달렸으며, 주로 물을 긷는 데 쓰인다
두루뭉술하다: 모난 데는 없으나 아주 둥글지도 않다, 맺고 끊음이 뚜렷하지 못하다
듀륏체리: 늦게 얻은 사랑스러운 딸자식
드다루다: 들어올려 다루다
드다르다: 모두 다르다, 다 다르다- 드달라, 드다르니
드므: 독, 단지, 질그릇, 높이가 낮고 넓적하게 생긴 독,주로 물을 담아 놓는 데 쓴다
등쌀: 몹시 귀찮게 구는 짓
온제나: 기쁜 우리
라온하제: 즐거운 내일를 뜻하는 우리말 (라온: '즐거운'이라는 순 우리말)
라온힐조: 즐거운 이른 아침 (힐조: '이른 아침'의 순 우리말)
마냥: 언제나, 늘,곧장, 줄곧, 내내
마닐마닐: 음식이 씹어 먹기 알맞도록 부드럽고 말랑말랑하다
마루: 하늘의 우리말
마파람, 앞바람: 남풍의 순우리말
막상: 막, 정작, 어떤 일에 이르러
말미: 어떤 일에 매인 사람이 다른 일로 말미암아 얻는 짬
맛조이: 마중하는 사람 영접하는 사람
매무새: 맵시, 품새,품, 몸가짐과 맵시,생김새
매지구름: 비를 머금은 검은 조각구름
맵시: 몸가짐, 생김새, ‘자태’나 ‘모양’의 순우리말
모꼬지: 놀이나 잔치 또는 그 밖의 일로 여러 사람이 모이는 일
무명: 명, 솜을 자아 만든 무명실로 짠 천
무명베: 명, 무명,솜에서 뽑아낸 실로 짠 베
물마: 비가 많이 와서 땅 위에 넘치는 물
물비늘: 잔잔한 물결이 햇살 따위에 비치는 모양
미리내: 은하수의 우리말
미르: 용 의 순수우리말
미쁘다: ‘진실하다’의 순우리말
바루다: 비뚤어지지 않도록 곧게 하다-바뤄, 바루니, 바루어
바오: 보기 좋게
배기다: 끝까지 참고 견디다
배기다: 받치다, 딱딱한 것에 받치어 결리다
버겁다: 만만하지 않고 힘에 겹거나 벅차다
벗: 친구의 순수 우리말
베론쥬빌: 배신을 당한 아낙
베리, 벼리: 벼루
벼리: 일이나 글에서 뼈대가 되는 줄거리, 그물의 위쪽에 코를 꿰어 잡아당길 수 있게 한 줄
벼슬: 나랏일을 맡아 다스리는 자리나 그 일, ‘직책’이나 ‘직위’의 순우리말
별찌: 유성
볼우물: 보조개를 뜻함
부라퀴: 자기 이익을 위해서는 물불 가리지 않고 덤비는 사람
부축: 곁부축, 겨드랑이를 끼거나 붙잡아서 다른 사람이 걷는 것을 도움
북새바람, 됫바람,된 바람: 북풍의 순우리말
비나리: '축복의 말'의 우리말
비롯: 어떤 것의 처음
비롯하다: ‘비롯한’, ‘비롯하여’, ‘비롯해서’의 꼴로 쓰여 여럿 가운데서 처음으로 삼다
비마중: 비를 나가 맞이하는 일
사나래: 천사의 날개를 뜻하는 우리말
사부랑사부랑: 물건을 느슨하게 묶거나 쌓아놓은 모양
사시랑이: 가늘고 힘없는 사람
산돌림: 옮겨 다니면서 한줄기씩 내리는 비(소나기)
샅: 샅추리, 사타귀,사타구니, ‘대퇴부’의 순우리말
새라: 새롭다
샘바리: 어떠한 일에 샘이 많아 안달하는 마음이 굳센 사람
'바리'는 어떤 한 곳에 마음을 쏟는 사람을 낮추어 부르는 우리말 예)악바리, 군바리
새, 하, 마, 노: 순서대로 동, 서, 남,북의 순우리말
샛별: 새벽에 동쪽 하늘에서 빛나는 금성을 이르는 말
서리서리: 국수나 새끼 등을 헝클어지지 않게 빙빙 둘러서 포개 감는다는 것
섬: ‘섬돌’의 줄임말
섬돌: 디딤돌, 집채와 뜰을 오르내릴 수 있게 만든 돌로 된 오르내림 턱
섬서하다: 지내는 사이가 서먹서먹하다
성: 골, 노하거나 언짢아서 치밀어 오르는 울컥함
소담하다: 생김새가 탐스럽다
소소리바람: 이른 봄에 살 속으로 기어드는 차고 음산한 바람
속내: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마음
수선: 마음을 어지럽히는 말이나 품새
수선스레: 떠들썩하고 시끄러워 마음을 어지럽게
수선대다: 어지러울 만큼 자꾸 떠들거나 움직이다- 수선거리다, 수선수선하다
수월하다: 쉽다, 까다롭거나 어렵지 않아 하기가 쉽다
수월수월하다: 그다지 어려운 것 없이 퍽 쉽다
수월내기: 다루는 사람은 놀릴 때 얕잡아 이르는 말
수월놀이: 술래놀이, 수월래놀이, 강강술래의 춤과 노래를 하는 놀이
수월수월: 그다지 어려움 없이 매우 쉽게
수월스럽다: 까다롭거나 힘들지 않아 하기 쉬운 데가 있다
수월스레: 까다롭거나 힘들지 않아 하기 쉬운 데가 있게
수피아: 숲의 요정
숯: 신선한 힘
슈룹: 지금은 사라져버린 우산의 옛말
시나브로: 모르는 사이에 조금씩, 조금씩
신울: 신의 양쪽 가에 댄, 발등까지 올라오는 울타리 줄임말-울
아가리: 입, 그릇 따위의 속으로 들어가는 구멍의 입, 따위의 드나드는 어귀
아낙: 남의 집 여자를 부르는 순우리말
아라가야: 함안의 순 우리말
아람: 탐스러운 가을 햇살을 받아서 저절로 충분히 익어 벌어 진 그 과실
아람치: 자기의 차지가 된 것
아띠: 벗, ‘친구’의 순우리말
아슴푸레하다: 기억이 또렷하지 않고 조금 희미하다, 어슴푸레하다
아라: 바다의 우리말
아름드리: 한 아람이 넘는 큰 나무나 물건 또는 둘레가 한 아름이 넘는 것
아련하다: 보기에 부드러우며 가냘프고 약하다
아리아: 요정의 우리말
아미: 눈썹과 눈썹사이(=미간)
아사: 아침 (우리나라에서 일본으로 건너간 말이어서 일본말(아사=일본말로 아침)
과 뜻이 같다 우리나라가 일본의 어버이나라인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아스라이: 아득히,흐릿한
아토: 선물
악세다: ‘억세다’의 작은 말, 악착스럽고 세다
안다미로: [부사]담은 것이 그릇에 넘치도록 많이
앙짜: 앳되게 점잔을 빼는 짓
약: 비위가 몹시 상하거나 화가 났을 때 생기는 감정이나 마음
고추나 담배 따위의 식물이 한창 자랄 때 생기는 맵고 자극적인 기운
애오라지: 마음에 차지 않지만 겨우,그저 그런 대로 넉넉히, 넉넉하지는 못하지만, 오로지의 옛말
어귀: 드나드는 목의 첫머리
어라연히프제: 치마를 입고 화살 쏘는 아낙들
어림: 어림잡아, ‘짐작’의 순우리말
어스름: 해질 무렵,땅거미, 해가 진 뒤 어두워지기 앞의 어슴푸레한
어스무레하다: 어슴푸레하다, 뚜렷하지 않고 흐릿하다
어슴푸레하다: 아슴푸레하다, 뚜렷하지 않고 흐릿하다
어슴막: 막 어두워지려는 때를 이르는 말, 이른 저녁, 저녁 무렵
얼개: 여러 조각들로 짜 이룬 모두의 뼈대, ‘구조’나 ‘골격’을 이르는 순우리말
얼추: 어림, 어림잡아
엄두: 감히 무슨 일을 하려는 마음
에우다: 빙 두르다,다른 곳으로 돌리다,쓰임새가 없는 곳을 지우다
에멜무지로: 단단하게 묶지 아니한 모양, 결과를 바라지 아니하고, 헛일하는 셈 치고 시험 삼아 하는 모양
여대치다: 가진 힘은 뛰어넘다, 뛰어넘음, 앞지름
여우별: 궂은 날 잠깐 났다가 숨는 별
여우비: 해가 난 날 잠깐 내리는 비
예그리나: 사랑하는 우리사이
예다: ‘가다’를 예스럽게 이르는 말
옛살비: 고향
오로시: 돼지가죽으로 만들어 일할 때에 신는 신, 함경북도 텃말
오롯이: 남고 처짐이 없이 고스란히,아주 조용하고 쓸쓸히
오목가슴: 명치
오비다: 좁은 틈이나 구멍 속을 갉아내거나 도려내다
오지: ‘오지그릇’의 줄임말
오지그릇: 붉은 진흙으로 만들어 볕에 말리거나 조금 구운 다음에 오짓물을 입혀 다시 구운 질그릇
온: 백(100)의 순우리말
온누리: ‘온세상’을 이르는 순우리말
온새미로: 자연 그대로, 언제나 변함없이
올리사랑: 자식의 부모에 대한 사랑 또는 아랫사람의 윗사람에 대한 사랑
옴니암니: 아주 자질구레한 것 (예: 그렇게 옴니암니 따지지 말게)
우수리: 물건 값을 치르고 거슬러 받는 잔돈
운두: 그릇이나 신,모자 따위의 둘레나 둘레의 높이
윤슬: 햇빛이나 달빛에 비치어 반짝이는 잔물결
울: 풀이나 나무 또는 돌 따위를 얽거나 쌓아서 줄 지어 집 둘레를 막은 것, 믿고 든든하게 기댈 수 있는 사람, 속이 비고 위가 트인 것의 가를 둘러싼 곳,
울어예다: 울면서 가다
움: 싹, 새싹, 눈, 굴
은가람: 은은히 흐르는 강(가람)을 줄여 만듦
은가비: 은은한 가운데 빛을 발하라
이내: 저녁나절에 어스름한 기운
이든: 착한, 어진
인: 여러 번 거듭되어 몸에 깊이 밴 버릇 - 인이 배겼다
자귀: 짐승의 발자국
종잡다: 어림잡아 헤아리다
즈믄: 천(1000)의 순우리말
질그릇: ‘옹기’의 순우리말, 잿물을 입히지 않고 진흙만으로 구워 만든 그릇 겉에 반질반질하지 않다
짐짓: 속마음이나 속마음(본뜻)은 그렇지 않으나 일부러 그렇게
집알이: 새 집 또는 이사한 집을 인사차 찾아보는 일
천: 옷, 이불 따위의 감이 되는 피륙
초아: 초처럼 자신을 태워 누리를 비추는 사람
타니: 귀걸이
타래: 실이나 노끈 등을 사려 뭉친 것
터울: 나이차이
토: 끝말
토씨: ‘조사’의 순 우리말
파니: 아무 하는 일 없이 노는 모습
퍼르퍼르: 가벼운 것이 가볍게 날리는 모습
포롱거리다: 작은 새가 가볍게 날아오르는 소리
푸르미르: 청룡의 순수 우리말
푸실: 풀이 우거진 마을
품: 매무새, 품새,몸가짐과 맵시, 생김새
품새: 몸가짐, 생김새, ‘자태’나 ‘모양’의 순우리말
피륙: 아직 끊지 아니한 베나 무명, 비단 따위의 천을 통틀어 이르는 말
하늬바람: 서풍
하람: 꿈의 뜻, 하늘이 내리신 소중한 사람에서 줄임말을 따서 지은 이름
하리타분하다: ‘흐리터분하다’의 작은 말
하야로비: 해오라기
하제: 내일
한뉘: ‘평생’을 이르는 순우리말, 사람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의 살아 있는 동안
한 별: 크고 밝은 별
한울: 한은 바른, 참된, 가득하다는 뜻이고 울은 울타리 우리 터전의 뜻
한울: 우주의 순우리말
한살이: 한뉘, ‘한평생’의 순우리말
핫어미: 유부남의 우리말
핫아비: 유부녀의 우리말
해류뭄해리: 가뭄 후에 오는 시원한 빗줄기
헤윰: 생각을 뜻하는 우리말
휘들램: 이리저리 마구 휘두르는 짓
흐노니: 누군가를 굉장히 그리워 하는 것
흐리터분하다: 또렷하지 않고 흐리터분함, 사람이나 그 바탕이 아주 또렷하거나 깔끔하지 못하다, 하늘이나 물이 맑지 않고 흐리다
희나리: 마른장작의 우리말
거나 깔끔하지 못하다, 하늘이나 물이 맑지 않고 흐리다
희나리: 마른장작의 우리말
첫댓글 희연친구글을 읽고 "다솜'에 뜻을 알고 충격 받았어요,,앞으로는 순 우리말을 많이 활용해야겠어요~!
대한민국 할때 의 韓 도 한문으로는 한나라한 자 이지만 순 우리말로 잴수없을정도로 크다 는뜻의 순 우리말 이란다
한없이크다 라고 할때 쓰는것처럼.
또 찌 라는말도 있지 벗찌 라고 벗나무 열매 를 일컷는말로 찌 는 똥 의 우리말 이다
베리다 라는말 은 연장을 베린다 얼음을 베린다 처럼 갈고 두드려 다듬는다는 의미도 있다
아기들이 더러운걸 만졌을때 "찌찌" 다 라고 하는 걸 봐도 알수있는 우리가 모르고 쓴 말중에 하나다
그런데 어떤말 은 漢자 로 쓰거나 영어로 쓰면 고상하게 여기고 순 우리말 인데도 그말 을 쓰면 상스럽게 생각한다는거야~
아가리 주둥이 라고 표현하면 상스럽고 특히 성 에관한 말들은 순우리말 을 쓰면 아주 상식없는놈 취급을 받는다는거지
아이고 모르는 우리말이 무지 많네~~~ㅎ
역쉬 울 씅짜씨여... 고맙구 가시버시가 젤로 마음에 든다.ㅎ
우리말도 모르면서 영어를 한다고 나대니... ㅎ
아이구~~많기두 하여라 어렵구나~~~~ㅎㅎ
역쉬이~~ 영원한 위너 승리자 승자 !
그대는 동방의 찬란한 등불이어라 ! 구웃 ~ ^(^
참 이쁜말 들...다 배워두진 못해도~~~감사^^
좋은글이다 딸에게 인쇄해서 줬네
모르는 말이 참 많네".
요즘은 신조어도 많이 나왔다네...
승자야~~ 모르는우리말이 왜 이렇게 많지ᆞ
사용안하는것이 더 많다
"다솜 "ㅋ
우리말 정말 이쁜게 많더라.
승자는 핫어미~단미~ㅎㅎ
공부많이 한다 ~덕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