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many human species roamed Africa when the genus Homo emerged there about 2.4m years ago is a vexed question. Conventional wisdom suggests that there were as many as four—Homo erectus, Homo ergaster, Homo habilis and Homo rudolfensis—and that one of these, Homo erectus, then both spread into Asia and diversified into other species including Homo sapiens. But skulls are rare and often fragmentary, and some researchers think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which are used to separate the four alleged species, are actually no greater than differences in morphology between modernHomo sapiens skulls.
얼마나 많은 인류종이 호모 속이 약 2천4백만년전에 아프리카를 점령했을 때 아프리카를 배회했는지는 골치아픈 질문이다. 대중의 지혜는 Homo erectus, Homo ergaster, Homo habilis, Homo rudolfensis, 4종류가 있었고, 그 4종류 중 Homo erectus가 아시아로 퍼져서 Homo sapiens를 포함하는 다른 종으로 분화되었다는 의견을 제시한다. 그러나 해골들은 드물고 종종 단편적이다. 그리고 일부 연구원들은 4개의 추정된 종을 분류하기 위해 시용하고, 실제로 Homo sapiens 해골과 형태학적으로 별로 낫지도 없는 이들 사이의 차이점을 생각한다.
The specimen pictured below, about 1.8m years old, supports that second point of view. It was found in Dmanisi, in Georgia, by David Lordkipanidze of the Georgian National Museum and his colleagues, who describe its details in this week’s Science. Though a long way from Africa, the skull has characteristics of more than one of the near-contemporary supposed species from that continent. Taken together, it and four previously discovered but less complete specimens from Dmanisi (all originally assigned to Homo erectus) suggest that the first humans were indeed a single, variable species.
아래에 사진이 게재된 이 표본들은 두번째 관점을 지지한다. 그것은 Georgian National Museum의 David Lordkipanidze와 그의 동료들이 Georgia의 Dmanisi 지역에서 찾았다. 그리고 그들은 그것의 디테일을 이번주의 Science지에 기술했다. 아프리카에서 먼거리임에도 불구하고, 그 해골은 소위 말하는 그 대륙 출신의 현대인에 가까운 종이 가진 특징 중 한가지 이상을 가지고 있다. 종합해보면, 현대인과 가까운 종의 표본과 Dmanisi에서 발견된 이전에 발견되었지만 덜 완벽한 표본 4개는 (위의 전부는 원래는 Homo erectus에 속해있음) 가장 처음의 인류들은 실제로는 단일종, 변이종임을 주장한다.
The crucial points about the new specimen are that it has a small brain case but a large face, and it appears, from other bones, that the individual in question was big. Homo habilis, the purported species reckoned closest to mankind’s australopithecine ancestors, has a braincase of these sorts of dimensions. By contrast, the face size and estimated body size are characteristic of Homo erectus, and even ofHomo sapiens. More sophisticated measurements, which attempt to capture shape as well as size, and include the other four Dmanisi specimens, similarly suggest overlaps with various purported early Homo species.
이 새로운 표본에 대한 결정적 포인트들은 그것이 작은 두뇌 케이스를 가지고 있지만 큰 얼굴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새로운 표본은 다른 뼈로 보건대 각각 크기가 컸다는 걸 보여준다. Homo habilis는 비슷한 사이즈의 두개골을 가지고 있다. 대조적으로, 얼굴의 사이즈와 추정된 몸통 사이즈는 Homo erectus, 심지어는 Homo sapiens의 특징이다. 사이즈처럼 형태도 찾으려는 더 정교한 잣대들은 유사하게 알려진 초기 다양한 Homo 종들과 오버랩됨을 주장한다.
If Dr Lordkipanidze is correct that humans of this period are thus best thought of as a single, variable species—albeit one that may have varied over time, too—precedent dictates that its name is Homo erectus. That is because the first specimen found (in Java, in 1891) was given the nameerectus even though, when discovered, it was not assigned to the genus Homo but rather to a newly created genus, Pithecanthropus.
만약 Dr Lordkipanidze가 이 시기의 인류가 이와같이 단일종, 변이종의 모습이 최선의 생각란게 옳다면 -- 비록 하나가 오랜 시간 다양해졌을지라도 --전례는 그것의 이름은 Homo erectus라고 구술한다. 왜냐하면 (1981년, Java에서 발견된) 가장 첫 표본이 erectus로 이름지어졌기 때문이다. 비록 발견되었을때, 그것은 Homo 속에 속하지 않고 오히려 새로이 만들어진 Pithecanthropus 속에 하였지만 말이다.
Such shuttling in and out of Homo is not unprecedented. Carl Linnaeus, who invented the modern system of biological classification in the 18th century, assigned two species toHomo even though at the time no fossils had yet been found. The second was Homo troglodytes, now Pan troglodytes, the chimpanzee.
이와같이 Homo에 대한 설왕설래는 전례가 없었던것은 아니다. 18세기에 생물학적 분류의 근대적인 체계를 발명한 Carl Linnaeus는 비록 그 당시 화석이 아직 발견되지 않았음에도 2종을 Homo에 속하게 했다. 두번째는 현재 Pan troglodytes로 분류되어 있는 Homo troglodytes였다. 이는 침팬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