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죽 피 가죽 피(皮)자는 손(又)으로 가죽을 벗기는 모습이라는 해석과 가죽으로 만든 방패를 들고 있는 모습이라는 해석이 있다. 방패를 들고 있는 모습은 가죽 피(皮)자 외에도 방패 순(盾)자가 있다. 방패 순(盾)자는 코(自)로 대변되는 얼굴을 가리는 방패의 모습을 본 따 만든 글자이다. 가죽 피(皮)자는 부수이지만, 다른 부수와 만나 소리로 사용된다.
■ 피로 소리나는 경우
▶ 被 : 입을 피, 짊어질 피, 옷 의(衣) + [가죽 피(皮)] 옷을 입으니까, 옷 의(衣)자가 들어간다. - 피해(被害) : 손해를 입는 일 - 피고인(被告人) : 소송에서 공소 제기를 당한 사람 ▶ 疲 : 피곤할 피, 병 녁(疒) + [가죽 피(皮)] 피곤하면 병이 되거나, 병이 들면 쉽게 피곤 하니까, 병 녁(疒)이 들어간다. - 피곤(疲困) : 지쳐서 고단함 ▶ 彼 : 저 피, 저쪽 피, 갈 척(彳) + [가죽 피(皮)] 저쪽이란 가야하는 곳이니까, 갈 척(彳)자가 들어간다. - 피차일반(彼:저 피 此:이 차 一:한 일 般:돌릴 반) : 서로가 마찬가지임
■ 파로 소리나는 경우
▶ 波 : 물결 파, 물 수(氵) + [가죽 피(皮)→파] 물결은 물에서 생기니까, 물 수(氵)자가 들어간다. - 일파만파(一:한 일 波:물결 파 萬:일만 만 波:물결 파) : 한 사건이 잇달아 많은 사건으로 번지는 것을 비유 ▶ 破 : 깨뜨릴 파, 돌 석(石) + [가죽 피皮)→파] 돌을 깨뜨리니까, 돌 석(石)자가 들어간다. - 파죽지세(破:깨뜨릴 파 竹:대 죽 之 勢:기세 세) : "대나무 결을 따라 쪼개질 때와 같은 형세"라는 뜻으로, 막을 수 없을 정도로 맹렬히 무찌르는 기세. 진(晉)나라 초엽의 진(晉)나라 명장 두예(杜預)의 이야기에서 유래. ▶ 婆 : 할미 파, 계집 녀(女) + [물결 파(波)] 할머니는 여자니까, 계집 녀(女)자가 들어간다. 머리에 물결 모양의 주름살이 있어서 물결 파(波)자가 들어 갔는 이야기도 있다. - 노파(老婆) : 늙은 할머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