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산행은, 김 신조 루트라고 하는, 산길을 산행하여 보는 것도 나름대로 의미가 있을 것 같아, 그리로 산행 계획을 하여 봅니다, 의정부역에서 내려, 아침 식사를 한 후, 35번 버스 정류장인, 의정부역. 농협 버스정류장에서, 버스에 승차하여 법원읍 도서관앞 버스정류장에서 하차를 합니다,
경기도 파주시 법원읍( 京畿道 坡州市 法院邑 )에 있는, 암산( 巖山 ), 삼봉산( 三峰山 ) 제 1봉, 장군봉( 將軍峰 ) 일대와, 광평분맥( 鑛平分脈 )의 일부 구간인, 장군봉에서 부터, 금곡리 고개( 낙석고개 )로 이어지는 능선 길 일부와, 사방산 일부 구간을 산행하였습니다, 원래 산행계획은, 금곡리 고개로 내려가서 금곡리 고개에서 도로를 횡단한 후, 사방산 방향으로 올라가는 광평분맥 원래의 산행을 하기로 계획을 하였으나,
정규 등산로가 있는, 산행 기점인 법원 4리 초리골로 내려가는 원점 회귀 산행을 하는, 산길로 한 번 산행을 하여 보아야겠다 는, 생각이 들어 그쪽 방향으로 산행을 하기로 하고, 산길을 걸어 봅니다, 산행을 마치고 367번 도로( 법원 3리 부근 )로 내려 와서 보니, 조금은 일은 시간 인 것 같아, 금곡리 고개 방향으로 도로를 따라 걸어 올라가다가, 술이홀로, 술이홀로 994번길, 술이 홀로 998번길이 갈라지는 지점에서, 사방산 방향으로 방향을 잡아 능선을 타고, 사방산 방향으로 산행을 하다가, 금곡리 고개( 낙석고개 )에서 올라오는 산길과 만나, 사방산 산행을 한 후 산행을 마무리 하였습니다, 참으로 중구난방( 衆口難防 )의 산행길이 아니었나, 하는 생각도 들기는 합니다,
* 김 신조 사건 시, 파평산 부근 통과시간 정리 :
① 1968년 1월 21일, 북한의 민족보위성 정찰국 소속 공작원( 일명 124 군부대) 31명이, 청와대를 습격하여, 박정희 대통령을 암살하기 위하여 서울 세검정 고개까지 침투하였던 사건, 총 침투한 공작원 31명 중, 사살 29명, 미확인 1 명( 북으로 도주 가능성 ), 투항한 1명( 김신조 소위 )을 생포하는 등의 전과를 올렸다, 유일한 생존자인 김신조의 이름을 따서 이 사건을 일명 '김신조 사건'이라고도 한다, 생포 후, 생포 된, 김신조는 이튿날의 기자회견에서 침투 목적을 묻는 기자에게 “ 내레 박정희 멱 따러 왔소! ”라고 밝혀 온 국민을 경악하게 만들기도 했다,
② 이하의 내용은, 인터넷에 기록된 내용과, 지도로 그린 그림 등을 참고하여 본인이 작성한 것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인터넷 내용을 더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③ 침투 예상경로 :
1968년 1월 17일 21:00분 북방 한계선( 휴전선 ) 통과->1월 17일 23:00 고랑포 인근 남방한계선 통과->1월 17일 24:00 모래동 도착, 1월 18일 21:00 출발->1월 18일 21:00 경 임진강 도강( 渡江 )->1월 19일 05:00파평산 도착, 21:00 출발->비학산->장군봉 갈림길->삼봉산->초리골 1차 숙영지( 경기도 파주군 법원리 뒷산 : 삼봉산 1봉으로 추정 ), 1월 19일 05:00 도착, 21:00 출발->갈곡리->
④ 나무꾼( 우씨 성을 가진 4명의 형제들 )들 4명 5시간동안 억류, 생사 문제를 찬, 반 투표 한 후 풀어 줌( 우씨 형제들은, 이 사람들이 무장공비라는 것을 알아차리고, 그들이 묻는 경찰지서의 위치, 문산, 동두천, 의정부로 가는 방향등을 알려 주고, 그들은 이 형제들을 풀어 주었다, )
21:00 마을 이장을 통하여 경찰( 1월 20일 09:00경에 파주군 법원리 창현 파출소 무장공비 출현 사실을 )에 신고 함,
1 산행년월일시 : 2016년 12월13일 화요일 흐림 7/-1(도) 미세먼지 : 보통
2 산행지 가는 길 : 중계역 : 7호선->도봉산역 : 1호선->아침식사->의정부역, 농협 버스정류장에서 35번 버스 승차->법원도서관 버스정류장 하차
3 집으로 오는 길 : “ 금곡2리, 파주시 장애인 복지회관 : 정류장에는 금곡2리로 만 쓰여 있음 ” 버스정류장에서 30번 버스 승차->12번 문산역 가는 버스 환승->통일공원 버스정류장 하차->문산역( 덕소역 가는 전철 ) 승차 : 경의선->회기역 : 1호선->창동역 : 4호선->노원역
참고 : 본인은 30번 버스를 타고 오며, 전철 시설물이 보여, 문산역 버스 정류장인 것으로 착각을 하여, 한 정류장 전인 통일공원에서 하차 함, 문산역 정류장 명칭은, 한진 1차, 문산역( 스마트 폰 검색 )입니다, 통일공원에서 하차하여, 역 시설물을 가로 질러, 문산역 건물로 넘어가는 공중 통로가 있어, 그곳에 가서 보니, 공사 중이라는 안내문이 있고, 사람의 출입을 하지 못하게 폐쇄하여 놓음, 오던 방향으로 한 참을 올라가 굴다리 통과하여 문산역으로 감, 상당히 먼 거리, 추운 날씨에 .....
4 산행시작 : 법원도서관 버스정류장( GPS ON : 7시 43분 23초 )
5 산행종료 : 금곡2리 버스정류장( GPS OFF : 16시 11분 34초 )
6 산행시간 : 8시간 28분 11초
7 산행거리 : 18.4734( Km )
8 이정표 통과시간( 숫자의 단위는 Km ) :
07 : 48 초리골 관공안내판, 초리골 법원 4리 안내석
08 : 02 삼봉산( 초리골 ) 산림공원 안내판, 등산코스 안내도 있음
산행초입( 암산 올라가는 입구 )를 찾지 못하여, 조금 더 올라 갔다가 다시내려 옴( 산행 트랙 참조 )
08 : 10 암산 정상 0.3, 목교 0.2
08 : 21 암산 정상, 정상석 있음, 해발 228( m ), 아마도 바위산이라 암산이라고 하는 모양임( 巖山 ) ????
08 : 34 암산 0.5, 삼봉산 1.9
08 : 39 암산 0.6, 삼봉산 1.8, 갈곡리
09 : 09 암산정상 1.8, 삼봉산 0.8, 산행안내지도 판
09 : 14 갈곡리 방향 0.7, 두루뫼 박물관 0.5, 1코스 하산로
09 : 14 암산정상 2.0, 삼봉산 0.6, 무장공비침투로 0.7
09 : 19 무장공비 김신조 침투로 0.2, 암산 2.2, 삼봉산 0.1
* 09 : 28 김신조 숙영지 0.2, 장군봉 2.9, 암산 2.3
09 : 33 단양우공주정( 丹陽禹公周鼎 ), 유인장수황씨( 孺人長水黃氏 ) 지묘( 之墓 )
09 : 34 무장공비 김신조 침투로, 삼봉산 0.2, 암산 2.4
09 : 36 무장공비( 김신조 )침투로 안내판
1968년 1월 21일, 북한 제124군 소속 김신조외 간첩 30명이, 청와대 폭파, 요인암살을 목적으로, 이곳 삼봉산에서 하룻밤 숙영을 하고, 서울로 잠입한 무장공비 침투로임, 한편, 이 사건을 계기로 정부는 북한의 비정규군에 대비하기 위한, 향토 예비군의 창설을 서두르게 되었다,
09 : 37 무장공비 김신조 침투로 설명한 안내판
나무꾼 우씨 4형제가 감금당했던 곳,
이곳은, 1968년 1월 21일, 북한 제124군 소속 김신조 등 무장공비 31명이, 대통령 관저 폭파, 정부요인 암살 등의 목적으로, 황해도 연산을 출발하여, 서울로 잠입할 당시의 침투로 로서, 1월 19일 초리골에 살았던, 우씨 4형제가 나무하러 왔다가, 납치되어 감금당했던 장소입니다, 7시간 만에 구사일생으로 풀려난, 우씨 4형제의 신고로, 군경 비상경계태세가 발령되었으며, 그 결과 침투하였던 무장공비 중, 29명은 사살, 1명은 도주, 1명은 생포( 김신조 )되었습니다,
침투일지 :
1968 1, 16 김신조 등 무장공비 31명이 남침을 위해 황해도 연산 출발
1968 1, 17 군 전방초소 철책통과, 1968 1, 20 연천군 모래동 인근
1968 1, 19 (14:00) 파주시 초리골 삼봉산에서 우씨 4형제 납치 강금(21:00) 파주 경찰서에 신고, 1968년 1, 20 구파발 진관사, 1968 1, 20 세모바위 동굴
1968 1, 21 경찰과 대치, 총격전
1968 1, 21-1, 31 무장공비 소탕
그 당시 사진도 안내판에 인쇄되어 있음,
09 : 39 등산로입구 450 m
09 : 41 암산 2.4, 삼봉산 0.2, 무장공비 김신조 침투로
09 : 44 무장공비 김신조 침투로 0.2, 삼봉산 0.1, 암산 2.2
* 09 : 53 장군봉 2.9, 암산 2.3, 김신조 숙영지 0.2
09 : 28-09 : 53 까지는,
삼봉산 1 봉 조금 못 미처 지점에서, 김신조 숙영지를 보고, 가로지르는 길로 가서, 다시 올라 왔던 길로 올라와, 삼봉산 1 봉 조금 못 미처 지점( 출발 지점)에 도착을 하였습니다( 트랙에는 찌그러진 다각형 형태로 표시가 되어 있습니다, )
09 : 54 삼봉산 정상, 삼봉산, 비학산 종합안내도, 정상비, 삼봉산 1봉, 해발 282( m ), 파주시 법원읍 법원리 산 14번지
10 : 07 장군봉 2.1, 삼봉산 0.7, 초리골 0.7
10 : 11 은굴의 역사 안내판,
① 은굴은 1900년도 초반, 일제강점기때, 은을 채광하던 곳으로, 굴의 길이는 정확하게 알수 없으나, 구전에 의하면, 명주실 한타래 정도의 긴 굴로 추정하고 있으며, 채광중 붕괴사로로 인하여, 수십명의 인명 피해가 발생하였다고 함, 그 후 다시 1960년대 은 채취를 하였다가, 패광이 되었으며, 빈번한 간첩의 침투로 인하여 군부대에서 굴 입구를 콘크리트로 봉하여 지금까지 오고 있음,
② 파평분맥과 합류되는 지점
10 : 13 장군봉 1.95
10 : 14 은굴에 대한 현 지점 표시 등산 안내판
10 : 14 오현 1리 0.7
10 : 15 장군봉 1.9, 대피소 1.7, 삼봉산 0.9
10 : 47 대피소 도착( 비학산, 장군봉 갈림길 )
10 : 48 삼봉산, 비학산 종합안내도, 현 지점 표시와 등산 안내판
10 : 48 삼봉산 2.4, 직천저수지 2.3, 비학산 0.5, 장군봉 0.4
10 : 55 장군봉 정상석, 해발 400 m, 파주시 법원읍 법원리 산 1번지
10 : 57 장군바위 0.1, 장군봉 전망대 0.1, 매바위 2.9
11 : 01 대피소 0.7, 매바위 등산로
11 : 02 장군바위 전망대, 전망을 볼 수 있는 전망 관람 나무테그 있음
11 : 07 장군봉 0.15, 매바위 2.9, 장군봉 전망대 0.1
장군봉 전망대는 봉우리에서 바로 내려가는, 등산로와 조금 떨어 저 있습니다, 전망대를 보지 않으려면, 봉우리에서 그대로 내려가면 되고, 전망대를 보려면, 전망대를 보고 난 후, 바로 내려오는 길과 만나는 지점으로 가는 지름길이 있습니다,
11 : 13 장군봉 0.4, 2코스 하산로( 저수지 ) 0.8
11 : 26 장군봉 0.8
11 : 34 장군봉 1.1, 매바위 1.8
11 : 40 매바위 1.5, 법원 2리( 진흥골 )
11 : 48 장군봉 1.6, 매바위 1.3
11 : 51 장군봉 1.8, 매바위 1.1
12 : 08 장군봉 2.5, 초리골( 초리연 ) 0.4, 매바위 0.2
12 : 12 매바위 0.1, 근린공원 2.0, 장군봉 2.6, 비학산 정상 3.9
12 : 22 매바위 인듯함 ??? 특별한 위치 표시는 없음
12 : 25 매바위 0.1, 근린공원 2.0, 장군봉 2.6, 비학산 정상 3.9
12 : 27 전주이공현신( 全州李公鉉愼 ), 유인고성이씨( 孺人固城李氏 ) 지묘( 之墓 )
12 : 28 매바위 0.2, 근린공원 1.9, 온양동
12 : 42 매바위 0.6, 근린공원 1.5
12 : 58 등산로
이 후에는 정규등산로와 이탈하여, 산행 함, 산 거의 다 내려와, 마을이 보이는 곳에 있는, 제법 규모가 큰 묘지가 보입니다, 묘지 인근에 마른 잡풀과 작은 아카시아 나무가 뒤 엉켜있어, 전진이 어렵고, 옷이 상 할 우려도 다분히 있습니다, 묘지와 가까운 곳에는, 묘지를 정리하고 버린, 잡목들의 마른 더미가, 주위의 다른 잡목들과 마른 풀과 뒤엉켜 있어, 그 곳을 통과 하기는 더욱 어려웠습니다, 마른 잡풀과 작은 나뭇가지를 밟으며, 걸그적 거리는 나뭇가지들을 헤치며 묘지에 도착, 묘지를 통과 후 계속하여 공장과 마을이 있는 지점에서 도로를 따라 걸어간다,
367번 도로( 법원 3리 부근 )에 도착을 하여 시간을 보니, 산행을 접기에는 조금은, 일찍은 시간 인 것 같습니다, 도로를 따라 금곡리 고개 방향으로 올라가는데, 한 남자분이 내려오고 있습니다, 금곡리 고개까지 가는 거리를 물어 보니, 한 버스 정류장으로, 4정거장이 넘는 거리 같다고 합니다, 차의 통행이 빈번한, 도로를 따라 올라가는 것도, 내 적성에 맞지를 않은 것 같고 하여, 남은 시간에 사방산에 올라가 보기로 마음을 다잡아먹어 봅니다, 도로를 따라 올라가며, 사방산 방향으로 가는, 능선으로 올라 갈 수 있는, 지점을 탐색하며 발걸음을 옮겨 봅니다, 금곡리 고개 방향으로 계속하여 도로를 따라 걸어 올라가다가, 술이홀로, 술이홀로 994번길, 술이 홀로 998번길이 갈라지는 지점에서, 개울 길을 따라 능선 길로 올라가는 길이 아마도 있을 것 같다는 감이 옵니다, 그 방향으로 갑니다,
능선 상부에 큰 묘지가 눈에 들어옵니다, 개울을 따라 난 길로 가다 보니, 디긋자 모양의 철재 빔으로 개울을 넘어가는 다리를 설치하여 놓았습니다, 아마도 묘지에 출입을 하는 작은 통로 인 듯합니다,
묘지까지 올라가는 길은 상당히 구배가 급한 급경사 길입니다, 용을 써가며 올라가 묘지에 도착을 합니다, 묘지 앞에 넓직한 상석이 있습니다, 식사를 위한 상차리기에는 안성맞춤인 장소입니다, 묘안에 누어 계신 망자에게 양해를 구하고, 식사 상을 차립니다, 샌드위치 큰 것 두쪽, 먹어 치우고, 에너지바 하나 먹어 치우고, 다시 걸망을 걸머지고, 사방산 올라가는 방향으로, 방향을 잡아 조금을 올라가니, 능선 길, 조금을 길 없는 길과 마르고 작은 잡목, 마른 풀 들과 싸워 가며, 능선을 타고 전진을 합니다,
14 : 37 율곡아파트 1.0, 자운서원( 사방산 ) 1.6, 법원리
14 : 51 율곡아파트 1.6, 자운서원( 사방산 ) 0.9, 율곡연수원 0.5
14 : 58 금곡리, 율곡아파트 1.9, 자운서원( 약수터 ) 0.6
15 : 16 사방산 0.3, 주내자육원 1.1, 금곡리( 동이정골 ) 1.0
15 : 27 자운서원 1.4, 동문리 0.9
15 : 27 사방산 정상석, 해발 227 m, 파주시 법원읍 동문리 산 140 번지
15 : 34 정상석이 있는 사방산에서 조금을 더 가면, 여러분들의 산행기에 등장하는 사방산 정상이 있다고 합니다, 가서 보니 아무 표시도 없고, 삼각점 2개만 덩그란이 있내요, 그 중에 하나에는 “ 80FIEE( 글자마다 아래 위로 글자가 자유분망하게 쓰여있음 ) ” , “ C-8230 ”이라고 쓰여 있고 다른 하나는 기록같은 것은 없고요 ..... 사방산은, 갈림길에서 조금 더 들어 가야 하므로, 같다가 다시 와야 합니다,
15 : 42 주내자육원 0.7, 자운서원 1.8
조금을 더 가면, 군 참호가 있고, 그 곳부터는 길이 없어, 마른 낙엽 수북한 가파로운 길을 조금 내려가면, 작은 포장도로가 나오고, 조금을 가면 군부대 정문, 유원지길 죽따라 내려와 금곡2리 버스정류장에 도착을 하여 오늘의 산행을 마무리 합니다,
9 지형도로 본 산행경로( VP 참조요 )
법원도서관 버스정류장->초리골 길->216.1봉( 암산인것 같습니다 )->282봉( 삼봉산 1봉 )->김신조 숙영지->282봉( 삼봉산 1봉 )->파평분맥 갈림길->원목의자->문산436( 1998 재설 )->368.8봉( 대피소 ), 비학산 갈림길->장군봉->장군봉 전망대->3거리->2코스 하산안부->386.9봉, 봉수대, 망대->원목의자->법원3리부근->술리 홀로 갈림길->삼거리( 금곡리고개에서 올라오는 길과 합처짐->사방산 갈림길->사방산( 227.4볻 )->산행기 사방산->사방산->사방산 갈림길->부대정문( 쇠꼴고개 )->쇠꼴마을( 탠트장 )->금곡2리 버스정류장
10 마무리 :
김신조 침투로, 광평지맥, 원점회귀 산행로 등 뒤 범벅이 된 산행경로였습니다, 혹시나, 제가 다녀온 산길 일부에 있는 내용에서라도, 이 지역을 다녀 오실 분들은, 혹시나 제가 적은 내용들이 참고가 되었으면 합니다,
첫댓글 방장님에게, 제가 올린 일련번호 1519( 감악광평분백_암산_삼봉산1봉_장군봉_사방산 )의 트랙 GPX파일이, " 감악광평분맥, 암산, 삼봉산1봉, 장군봉, 사방산 산행기록과 산행트랙 "의 내용에는 첨부가 된것이
확인이 되나, 항목에는 파일 첨부 그림( 아이콘 )이 표시되어 있지 않은 듯 합니다( 붉은 색 사각형에 N자로만 표시 ), 원인이 무엇인지요, 궁금하여 서요 ?????
글쎄요! Daum 측의 오류인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