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K TV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하지만, 현 시점에서 8K AV시스템으로 간다고 해도, 8K AV리시버와 8K 재생기는, 빨라야 년 말이나 되어야 제한적으로 나올 것으로 보이는데, 문제는 년 말까지 기다려서 8K AV시스템으로 간다고 해도, 8K/60Hz, 10bit/4:2:0수준밖에 안되고, 그나마 그 수준에 맞는 콘텐츠는 사실상 전무하여, 8K AV 기능은 활용하지 못한다. 즉, 8K AV시스템이 4K AV시스템 수준으로 밖에 활용을 못해, "들인 돈에 비해 활용가치가 크지 않다"라는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2~3년 후면, 8K/120Hz, 12bit/4:2:0 수준으로 8K AV시스템이 바뀐다는 것이다. 그래서 현 시점에선 4K AV시스템이 답이다. 고로 4K AV시스템으로 갔다가, 빠르면 2~3년, 늦으면 4~5년 후에, 8K/120Hz, 12bit/4:2:0 수준의 8K AV시스템으로 업그레이드(일부 교체) 해 나가는 것이 최선의 선택이 아닐까 한다. 해서 정리를 해보았다. 4K AV시스템 구성과 예산 비용이다.
▶4K TV(최소 75"~) 1)75" 4K LCD(LED) TV 한성컴퓨터 ELEX TV7750 4K HDR 스마트 TV 999,000원 더함 노바 N751UHD IPS 스마트 HDR 1,099,000원 LG전자 75UM6970PUB 해외구매 1,425,840원(세금/배송료 포함) 2)86" 4K LCD(LED) TV 와사비망고 ZEN U860 UHD 스마트 TV HDR 2,799,000원 LG전자 86UK6570 해외구매 2,706,240(세금/배송료 포함) 3)4K 프로젝터+스크린 *뷰소닉 PX747-4K 1,293,060원 *BenQ W1700 1,369,990원 *LG전자 시네빔 4K HU70LA 1,709,990원 *뷰소닉 X10-4K 1,789,990원 *윤씨네 솜피모터 전동노출스크린(100" V-EV100S) 110,000원 *윤씨네 아쿠아비전 전동노출 스크린(120" YP-EV120) 399,990원 *윤씨네 렉스비전 F3-FH PW 시리즈(100" F3-FH100PW) 285,060원 *DCS 액자형 광학스크린 4K 엑스퍼트 시네마 120" 469,990원 ▶4K AV리시버 *야마하 HTR-3072(5.1) 422,400원 *데논 AVR-X2600H(7.2) 765,690원 *데논 AVR-X4500H(9.2) 1,459,800원 *데논 AVC-X6500H(11.2) 2,243,780원 *전용룸(11.2) 6,000,000원 야마하 CX-A5200(AV리시버)+MX-A5200(파워앰프) ▶스피커(5.1ch) *야마하 NS-Series NS-F51+NS-B51+NS-C51+YST-SW012(5.1) 662,100원 *와피데일 VR-300+VR-S1+VR-C1+WH-S8(5.1) 953,740원 *야모 Studio Series S809+S801+S83C+S810 SUB(5.1) 1,351,420원 *JBL Studio 280+220+225C+Studio SUB 250P(5.1) 1,693,630원 *폴크오디오 S60+S20+S35+야모 SUB210(5.1) 2,044,760원 *야모 C97+C91+C9 CEN+SUB210(5.1) 2,293,590 *야마하 NS-F700+NS-B700+NS-C700+NS-SW700 5.1채널 2,995,200원 ※7.1/9.1/11.1ch 스피커는, 5.1ch기존에 리어 스피커만 추가 ☞전용 룸(매립) 스피커(11.1ch) 1)야마하 NS-Series *NS-F901(프론트) 2개 *NS-C901(센터) 1개 *NS-SW901(서브우퍼) 1개 2)JBL C Series(리어) *C6IC/C8IC/C6IW/C8IW-8개(천정4/좌우2/뒤2) ☞거실 스피커 설치 5.1ch을 기본으로 해서, 뒤에 백서라운드 2개(SBL/R)를 추가하면 7.1ch이 되고, 천정에 2개(TRL/R)를 추가하면 5.1.2(7.1)ch 또는 7.1.2(9.1)ch이 되고, 7.1.2ch에 청천정에 2개의 스피커를 더 추가(TFL/R)하면 7.1.4(11.1)ch이 된다(아래 그림 참조).
▶운영자의 AV감상에 따른 원칙은? 운영자의 AV감상에 대한 생각은, "최적의 화질과 음질로, 쉽고 편리하게 AV를 즐기자"다. 해서 방송은 원 신호 그대로 TV로 직접 시청하고, 원본 타이틀로 AV를 즐기돼, 가능한 원본 타이틀을 원본과 동일하게 리핑해서 재생기(4K 미디어 플레이어) 하나로 원본과 동일한 화질과 음질로 AV를 즐기는 것이다. 이때 재생기의 영상 출력 설정은, 가능한 별도 설정하지 않고, 기본 설정으로 하고, TV도 HDMI입력 단자의 영상 모드를, 방송시청 영상 모드와 동일하게 조정해서, 시청을 한다. 음향은 TV로 직접 듣는 경우가 대다수이고(방송 시청), 영화 등을 감상할 때는 AV리시버를 켜서 주로 청취를 한다. 이때 재생기의 음향 출력 설정은, 패스쓰루(Pass Through)로 해서 '4K AV리시버+스피커' 성능에 맞추어, 최적의 상태로 AV를 감상하고, 모든 AV기기 연결은 HDMI 2.0(18Gbps)을 기반으로 한다. 참고로 운영자의 AV감상은, 일반적인 AV감상과는 조금 다르게 AV를 감상하고 있다. 즉, 원본 디스크로 AV를 감상하기 보다는, 원본 디스크를 원본과 동일하게 리핑해서, 리핑한 AV소스를 대용량 HDD(112TB)에 담아서, 재생기(4K 미디어 플레이어)와 USB로 연동해서, 재생기 하나로 거의 모든 AV기기를 콘트롤하고, AV소스도 선택해서 감상을 한다. 즉, 쉽고 편리하게 즐기면서, 최적의 화질과 음질로 AV를 즐기는 것이다. |
첫댓글 잘 보았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좋은글 잘 보았습니다.
현실적인 상황에 기반을 둔 경험 글 유익한 내용 진심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