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월 3일
마거리트(Marguerite)
[과명] :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 Chrysanthemum frutescens
[분류] ; 국화과
[원산지] ; 아프리카 카나리아제도
[꽃말] : 마음 속에 감춘 사랑,'사랑을 점친다,
[꽃점]
상대방의 마음을 지나칠 정도로 잘 알고 있는 당신.
스스로 자신의 사랑을 점치는 경향이 있습니다.
결과는 스스로 물러서고 말기 쉽습니다.
그 습관을 고치도록 합시다.
상대방의 마음을 다 알더라도 당신이 직접 행동해 변화시킬 수 있는 것 아닙니까?
행복해지고 싶다면 그 정도의 용기는 필요합니다.
좋아한다면 적극적으로 나서세요.
[유래]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아프리카 북서쪽 카나리아 섬이 원산지입니다.
높이는 60∼100cm이고 밑 부분은 나무처럼 목질이다.
잎은 잘게 갈라진다.
꽃은 여름에 피는데, 가지 끝에 두상화(頭狀花)꽃대 끝에 꽃자루가 없는 많은 작은 꽃이 모여 피어 머리 모양을 이룬 꽃이 1개씩 달린다.
두상화는 지름이 3∼6cm이고 가장자리에 흰색의 설상화가 있으며 가운데 노란 색의 관상화가 있다.
쑥갓과 비슷하지만 목질이 있으므로 나무쑥갓이라고 부른다.
관상용으로 화단에 심으며, 여러 가지 원예 품종이 있다.
품종에는 재래백화, 조생백화, 대륜겹백화, 브라운아이, 대륜황색, 정자개화핑크, 핑크스타, 겹핑크 등의 품종이 있지만 주로 흰색이며 소륜인 재래백화를 재배합니다.
마거리트라는 이름은 그리스어의 진주에서 왔다고도 하지만 7월 20일의 성(聖)마거리트의 날이 가까울 때 꽃을 피우기 때문이라는 설도 있다.
꽃모양이 데이지꽃과 비슷하여 서양에서는 보스톤데이지 (Boston Daisy)라고도 불리는 이꽃은 마가렛이라는 꽃입니다. 마가렛의 꽃말은 '사랑을 점친다, 입니다.
여러분은 영화를 볼 때면 간혹 영화속 장면 중에 꽃잎을 하나씩 떼어내며 '사랑한다. 사랑하지 않는다'라고 말하며 꽃점을 치는 장면을 보신적이 있을 것입니다. 바로 이 꽃점에 사용되는 꽃이 바로 마가렛(Marguerite, Chrysanthemum frutescens)이란 꽃입니다.
마가렛의 꽃말 때문인지 마가렛은 영화 속에서 자주 등장하는 꽃입니다.
봄이 시작되면 우리의 주위에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꽃이 프리뮬라(Primula), 시네라리아(Cineraria), 팬지(Pansy)와 같은 꽃을 들 수 있습니다.
이 꽃들은 빨간, 노란, 보라색 등의 화려한 색상으로 우리의 시선을 황홀하게 만드는 꽃입니다.
아마도 겨우 내 흰눈에 젖어들었던 몸과 마음이 화사한 색을 띄는 꽃을 찾기 때문은 아닌지 생각됩니다.
그런데 이런 화려한 꽃들은 집에 가까이 두고 보고 있노라면 다소 식상하다는 생각이 들 때가 있습니다.
화려함에만 이끌렸었던 시선은 아주 잠시 뿐 진정한 의미의 은은함을 다시금 찾고 싶은 마음에서 일 것입니다.
그래서 다시금 찾게 되는 것이 마가렛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흰색과 노란색의 꽃, 푸른잎의 조화가 은은한듯 하면서도 아주 깔끔하고 산뜻합니다.
마가렛은 키가 30cm 정도까지 크기 때문에 베란다 같은 곳에 두고 감상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마가렛의 개화 시기가 되면 꽃이 연이어 피기 때문에 절화나 화단용으로 많이 이용되는 꽃이기도 합니다.
또한 마가렛의 품종도 다양하기에 흰색의 마가렛 말고도 노란색 마가렛도 우리의 시선을 즐겁게 해 주고 있습니다.
마가렛은 여러해살이풀이지만, 씨를 뿌려 키우기가 까다로와 10월 상순 경 꺽꽂이를 해서 번식시겨야 합니다.
국화종류는 모두 꺽꽂이가 잘 되는데, 꽃이나 꽃봉오리가 붙어 있지 않는 가지를 골라 끝 6-7cm의 싹을 잘라 아랫잎을 떼어냅니다.
이 때 흙은 강모래나 버미큘라이트를 사용하고 바닥에서 물이 스며나올 정도의 충분한 물을 주어야 합니다.
10월 중순 이후는 실내에 들여놓았다가 3월 하순 경 노지나 화단에 아주심기를 해 줍니다.
다습과 건조에 모두 약하므로 물빠짐과 물지님이 모두 좋은 땅에서 잘 자란답니다.
꽃이 진 후 여름에는 건조가 심하지 않은 장소에 두어야 합니다.
잘못하면 뿌리가 상해서 죽는 경우가 있으므로 물을 자주 주고 땅 위에 짚을 깔아 증발을 막고 시원하게 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16세기 후반, 나바르의 공주 마르그리트 드 바로는 마거리트 꽃을 아주 좋아했습니다.
위그노 교의 수장과 정략 결혼을 하게 되었는데, 그것이 1572년 8월에 위그노 대학살의 도화선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1578년 9월, 그녀는 고향 나바르로 돌아와 보르도에서 성대한 환영을 받았습니다.
그 때 영민들에게 마거리트 꽃다발을 선사받은 것에 감격해 이 꽃을 자신의 꽃으로 삼았다고 합니다.
[전설]
이 세상의 꽃 중에 마거리트의 꽃말처럼 슬픈 꽃은 없습니다.
나라가 망하고 소중한 자식까지 빼앗긴 눈 먼 아버지와 딸의 이야기입니다.
우리는 사과꽃에서 트로이 전쟁을 기억하고 있습니다.
사과 하나를 비너스에게 준 것이 화가 되어,목동 소년은 헬렌 왕비를 차지하게 되고,그리스의 왕은 헬렌 왕비를 찾기 위해 10여 년간의 긴 세월을 전쟁 속에 휩싸이게 된 이야기.
그 전쟁에서 트로이는 완전히 망하였습니다.
그리스의 대군에 견디다 못한 트로이 왕은 마침내 항복을 하고,헬렌 왕비도 빼앗겼습니다.
싸움에 이긴 그리스 군대는 트로이 성에 침입하여 모든 물건을 약탈해 갔습니다.
식량·재물·여자······. 군대에 펼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은 모두 그리스 땅으로 가지고 갔습니다.
그 가운데에는 그리스 군인이 필요하지 않은 것까지도 가지고 간 것이 있습니다.
눈먼 시인의 딸 마거리트는 아버지의 품에서 그리스군에게 안겨 갔습니다.
이제 나이 세 살,아무것도 모르는 어린아이를 그리스군은 데려다 어떻게 하려고 했을 까요?
그리스 군인은 키워서 종으로 부려먹으려고 데리고 간 것입니다.
나라 없는 백성이 얼마나 서럽고 안타까운 가를 알 수 있는 일입니다.
세 살 난 딸을 빼앗긴 눈먼 시인은 딸이 보고 싶어서 견딜 수가 없었습니다.
눈먼 시인은 오로지 딸 하나 잘 키우기 위해서 부인이 죽었지만,다시 장가도 들지 않고 혼자 살았던 것입니다.
사랑하는 딸을 빼앗긴 슬픔에 젖은 눈먼 노인은 딸을 찾아야 되겠다는 생각으로 집을 나섰습니다.
그리스로 가기 위해서입니다.
딸을 찾을 때까지는 트로이로 돌아오지 않을 것을 결심하고 그리스 땅,원수의 땅으로 건너간 것입니다. "내 딸을 찾자······찾아야 한다.”
눈먼 시인은 지팡이 하나를 의지하고 그리스의 거리를 헤매었습니다.
“마거리트!” 이 골목 저 골목을 헤매면서 아이들의 소리가 들리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찾아갔습니다.
"아냐,마거리트의 목소리가 아냐.” 아이들이 재잘거리는 속을 눈먼 시인은 처량하게 걸어 나옵니다.
오늘도 또 허탕입니다. 그렇지만,눈먼 시인은 실망하지 않았습니다.
늙어 죽는 한이 있더라도, 길에서 쓰러져 죽는 한이 있더라도,눈먼 노인은 마거리트를 꼭 찾고야 말겠다는 굳은 신념이 있었기 때문 입니다.
“마거리트!” 눈먼 시인은 또 이 골목 저 골목을 헤맸습니다.
아이들의 소리가 나는 골목이면 어디든지 갔습니다.
“마거리트!” 대답이 있을 리가 없습니다.
“야,장님 거지다!” 아이들은 못 볼 것을 보았다는 듯이 눈먼 시인을 놀렸습니다.
“장님 거지야,어디 가니?” 아이들은 돌맹이를 던지기도 하고,침을 퉤 퉤 뱉기도 하였습니다.
눈먼 시언은 쾌씸하게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이렇게 다니다가 딸 마거리트만 찾는다면, 이보다 더한 일을 당한다고 해도 부끄러움이나 괴로움 같은 것은 참아 낼 수 있다고 생각 했습니다.
오늘도 하루 종일 길을 걸어다닌 눈먼 시인은 피곤했습니다.
공원의 의자에서 잠을 청하는 시인은 마거리트,마거리트,이름만 부를 뿐이었습니다.
밥도 제대로 먹지 못하고,벌써 여러 달을 쏘다닌 눈먼 시인은 지칠 대로 지쳐 있었습니다.
발바닥은 모두 부풀어 쓰리고 아펐습니다.
다음날도 눈먼 시인은 또 걸었습니다. 발길이 닿는 대로 걸었습니다.
골목길이 막히면 되돌아 나와, 다시 길을 더듬어 갔습니다.
어느 골목일까? 아이들의 떠드는 소리가 들렸습니다.
아주 어린 아이들이었습니다.
싸움을 하는 것인지 아니면 장난을 치는 것인지 몹시 시끄러웠습니다.
시인은 언제나 하는 것처럼 마거리트를 불렀습니다.
“마거리트,마거리트!” 눈먼 시인을 본 아이들은 갑자기 조용해졌 습니다.
“야!거지 장님이다. 장님이다....." 아이들은 갑자기 떠들어대면서, 어떤 아이는 돌맹이를 던지는 것이었습니다.
그 아이는 조금 큰 아이 같았습니다.
큰 아이가 돌맹이를 던지자,어린 아이틀도 덩달아서 돌맹이를 던지고 침을 뱉었습니다.
“마거리트,마거리트!” “야!거지가 말을 한다.말을 해······.
“"야!재미있다.거지야,노래 좀 해라·노래 "그러자, 잠시 시끄러운 소리가 들렸습니다.
눈먼 시인은 그 소리 속에서 귀에 익은 소리를 들었습니다.
마거리트의 목소리였습니다.
“마거리트,마거리트······. "“아버지가 너를 찾아왔다.마거리트!” 장님 시인은 애처롭게 외쳤습니다.
“마거리트,마거리트가 틀림없어. 나야, 네 아버지인 걸 넌 모르니! 나라가 망하면 이렇게 된단다.
불쌍한 장님이 잃어버린 딸을 찾아서 왔단다. 마거리트······.”
정말 그자리에는 마거리트가 있었습니다.
마거리트는 너무나 어렸고,아버지는 너무 여윈 탓으로 알아보지는 못했지만,
그 목소리는 아버지의 목소리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마거리트! 마거리트, 어미 잃은 마거리트· 귀여운 나의 마거리트······.
" 눈먼 시인은 손을 저었습니다. 마거리트를 안아 보려는 듯이 팔을 벌렸습니다.
“아빠!” “내 딸 마거리트!” 마거리트는 말을 못하였습니다.
아버지에게 침을 뱉고 손가락질을 했기 때문입니다.
나이는 어려도 아버지에게 해서는 안 될 일을 했다고 생각하였습니다.
마거리트는 너무너무 부끄러웠습니다.
“아!” 너무나 반가워서 눈먼 시인은 마거리트의 입에 입맞춤을 하였습니다.
그런데 이게 웬일입니까.
그렇게 찾던 딸 마거리트가, 마거리트가 그만······. 그만······.
“마거리트····. "눈먼 시인이 안고 있던 마거리트는, 귀여운 마거리트는 눈먼 아빠의 소망도 모른체하고 그만 꽃으로 변한 것입니다.
눈먼 아빠를 놀린 것이 어린 마거리트에게는 씻을 수 없는 부끄러움이라고 생각된 모양 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