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의 갯벌' 뒤집기 성공..우리나라 두 번째 유네스코 자연유산 탄생
[앵커]
'한국의 갯벌'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습니다.
지난 5월 유네스코 자문기구가 '반려'할 것을 권고했는데, 뒤집기에 성공했습니다.
이승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44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가 '한국의 갯벌'을 세계유산에 등재 하기로 했습니다.
'한국의 갯벌'은 충남 서천과 전북 고창, 전남 신안, 전남 보성·순천에 있는 갯벌을 묶은 것입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은 문화유산과 자연유산, 복합유산으로 나뉘는데, '한국의 갯벌'은 자연유산에 등재됐습니다.
유네스코 자연유산으로는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에 이어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 세계유산으로는 15번째입니다.
[더그 와킨스 /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 파트너십 (EAAFP) 대표 : 세계자연유산 등재를 통해 이 중요한 습지가 가장 높은 수준의 보호를 받게 될 것입니다. 22개 국가를 들르는 수많은 철새들이 혜택을 볼 것입니다.]
유네스코 자문기구가 '반려'를 권고했는데도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것은 우리나라의 경우엔 처음 있는 일입니다.
지난 5월 세계자연보전연맹은 신안 갯벌 외에는 범위가 넓지 않다는 점 등을 들어 '반려'를 권고했습니다.
[김현모 / 문화재청장 : (관련 기관의) 긴밀한 협조로 위원국들을 대상으로 일대일로 우리나라 갯벌의 가치를 부각시키며 적극적으로 설득한 전략이 이뤄낸 쾌거입니다.]
유네스코 자문기구에서 위기종으로 인정한 철새 27종을 비롯해 2천 종 이상의 생물이 사는 한국의 갯벌,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는 생태계 보호는 물론 북한, 중국과의 협력을 이끌어 내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YTN 이승은입니다.
'한국의 갯벌',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우리나라 15번째
자연유산으로는 14년 만에 두 번째 등록
순천갯벌의 흑두루미ⓒ문화재청
‘한국의 갯벌’(Getbol, Korean Tidal Flats)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우리나라 15번째 세계유산이며, 자연유산으로는 두 번째다.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결정하는 세계유산위원회(WHC)는 26일 중국 푸저우(福州)에서 진행 중인 제44차 회의에서 ‘한국의 갯벌’을 세계유산 중 자연유산(Natural Heritage)으로 등재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은 ‘문화유산’과 ‘자연유산’, 두 유산의 성격을 모두 지닌 ‘복합유산’으로 구분된다.
‘한국의 갯벌’은 충남 서천, 전북 고창, 전남 신안, 전남 보성‧순천 등 5개 지자체에 걸쳐 있는 총 4개로 구성된 갯벌을 묶은 자연유산이다.
이번 등재는 2007년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에 이어 14년 만에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등재되는 세계자연유산이다.
앞서 유네스코 자문·심사기구인 국제자연보존연맹(IUCN)은 지난 5월 ‘한국의 갯벌’에 대해 ‘지구상의 생물 다양성 보전을 위한 중요한 서식지’라는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인정하면서도 유산구역과 완충구역이 충분하지 않다는 이유로 ‘반려’ 의견을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정부는 등재 신청을 철회하지 않았고, 이후 세계유산협약에 가입한 194개국 중 투표권을 갖는 21개 위원국으로 구성된 세계유산위원회는 ‘한국의 갯벌’에 대해 만장일치로 세계유산에 등재할 것을 결정했다. 우리나라가 반려 판정을 받은 유산을 철회하지 않고 한 번에 등재하기는 처음이다.
‘한국의 갯벌’ 세계유산 등재추진단에 따르면, 한국의 갯벌에는 멸종위기에 처한 물새 22종과 해양 무척추동물 5종이 서식하며, 범게를 포함해 고유종 47종이 있다. 대표적 멸종위기종은 검은머리물떼새, 흑두루미, 작은 돌고래인 상괭이 등이다.
‘한국의 갯벌’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되면서, 한국이 보유한 세계유산은 15건으로 늘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가 보유한 세계유산은 석굴암·불국사, 해인사 장경판전, 종묘, 창덕궁, 화성, 경주역사유적지구, 고창·화순·강화 고인돌 유적, 조선왕릉, 한국의 역사마을:하회와 양동, 남한산성, 백제역사유적지구,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한국의 서원,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이었고, 여기에 '한국의 갯벌'이 추가된 것이다.
철새 유일 휴식처 '한국의 갯벌', 어떻게 세계자연유산 됐나
"멸종위기 철새 기착지로 가치" 높게 평가
지난 5월 자문기구 평가 2단계 상향
2025년까지 강화·영종 등 서북부 갯벌 포함 권고
재산권·조업활동 이유로 강화 지역주민 반발 커
[이데일리 김은비 기자] 갯벌은 수많은 동식물의 서식지이며 철새들의 휴식처다. 갯벌은 오염물질을 걸러내 흡수·분해하고, 식물 플랑크톤이 광합성을 통해 산소를 만들어내 오염된 바다를 정화해줘 ‘자연의 콩팥’ 역할을 하기도 한다.
한국의 서남해안 5개의 갯벌 4곳이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되면서 화제다. 우리나라에서 세계자연유산이 등재된 건 2007년 등재된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에 이어 14년만이다. 전 세계 수많은 갯벌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어떻게 한국의 갯벌이 세계유산이 될 수 있었던 걸까.
순천갯벌 염생식물 군락의 수채화(칠면조와 나문재)(사진=문화재청)
동아시아 철새 유일 휴식처로 가치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26일 저녁 중국 남동부 푸젠성 푸저우시에서 온라인으로 열린 제44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한국의 갯벌’은 지구 생물 다양성의 보존을 위해 세계적으로 가장 중요하고 의미 있는 서식지 중 하나이며, 특히 멸종위기 철새의 기착지로서 가치가 크므로 ‘탁월한 보편적 가치’(Outstanding Universal Value, OUV)가 인정된다”라고 평가했다.
이번에 세계유산으로 등재 신청한 ‘한국의 갯벌’은 △서천갯벌(충남 서천) △고창갯벌(전북 고창) △신안갯벌(전남 신안) △보성~순천갯벌(전남 보성·순천) 등 충남 및 전라도 지역의 갯벌 총 4개로 구성됐다.
한국 서해안의 갯벌은 산호·성게·조개 등 저서동물과 함초 등 염생식물 등 높은 생물종 다양성을 보일 뿐 아니라 큰고니 등 멸종위기종의 터전으로 중요한 가치를 갖고 있다. 도혜선 국재철새보호기구(EAAFP, East Asian-Australasian Flyway Partnership) 담당관은 “이 지역은 뉴질랜드·호주부터 러시아 알레시카까지 이동하는 동아시아 철새들의 이동 경로에서 유일한 휴식처”라며 중요성을 설명했다. 새들은 이곳 갯벌에서 먹이를 먹고 먼 거리를 날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를 비축한다. 매년 300종의 약 100만 마리의 새들이 갯벌을 찾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앞서 5월 유네스코 자문·심사기구인 국제자연보존연맹(IUCN,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는 ‘한국의 갯벌’에 대해 ‘반려’ 권고를 해 등재 여부는 불투명한 상황이었다. 갯벌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는 인정하지만 갯벌의 범위가 좁고, 생물다양성 측면에서 핵심지역을 포함하지 못했다는 이유에서다.
문화재청은 반려 평가 후 자문기구가 확대를 권고한 갯벌 소재 지자체를 방문하고, 합동 설명회를 개최해 세계유산 등재의 중요성과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주요 갯벌이 소재한 지자체로부터 세계유산 확대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을 약속받기도 했다. 김현모 문화재청장은 “관련 기관의 긴밀한 협조로 위원국들을 대상으로 우리나라 갯벌의 가치를 적극적으로 설득한 전략이 이뤄낸 쾌거”라며 감사 인사를 전하기도 했다.
고창 갯벌(사진=문화재청)
2025년까지 인천·강화 등 유산구역 확대해야...주민동의 관건
세계유산위원회에서는 등재 결정과 함께 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강화하기 위해 제48차 세계유산위원회(2025년)까지 유산구역을 확대 하라고 권고했다. 자문기구가 말하는 핵심 지역으로 인천 강화와 영종, 송도, 화성, 아산만 등 서북부 갯벌 등이 포함된다.
문제는 세계유산 등재를 위해서는 지역주민 동의를 받아야 하는데, 강화 지역 주민들이 재산권 행사와 조업활동 등에 따른 제약 우려로 반대를 하고 있다는 것이다. 문경오 한국의 갯벌 세계유산 등재추진단 사무국장은 “서북부 지역 갯벌은 우니라나 전체 갯벌의 30%정도로 도요새 등 멸종위기종이 주로 서식하는 중요 지역이지만 지역주민들의 반대가 심했다”며 “남쪽 지역이 먼저 세계유산에 등재됐으니 지역주민도 등재에 따른 규제가 없다는 인식이 확산되면 추가로 북부 지역까지 등재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갯벌의 세계문화유산 등재로 인해 지금 보다 추가되는 규제는 없다. 이들 갯벌은 이미 국내 습지보전법에 의해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돼 있기 때문이다. 습지보호법은 내륙과 연안의 습지를 온전하게 보전하기 위해 제정된 것으로, 영종도와 송도, 강화갯벌은 습지보전 지역으로 지정돼 있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세계유산지구 지정과 행위제한 등의 추가 규제가 없다”며 “오히려 세계유산 보존과 관리를 위한 재정 지원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한국의 갯벌,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올랐다
위원회 “멸종위기 철새 기착지로 탁월한 보편적 가치 인정”
한 차례 반려 끝 ‘만장일치’ 지정…추가적 개발 관리 권고도
세계유산위원회는 26일 진귀한 생물종의 보고인 ‘한국의 갯벌’을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했다. 서천 갯벌, 고창 갯벌, 신안 갯벌, 순천 갯벌(위 사진부터)이 포함됐다. 문화재청 제공
‘한국의 갯벌’이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됐다. 한 차례 반려 뒤 철새 서식지라는 점을 보완해 설득한 게 주효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26일 중국 푸저우에서 개최한 제44차 총회에서 ‘한국의 갯벌’(Getbol, Korean Tidal Flat) 등재를 21개 위원국 만장일치로 최종 결정했다.
‘한국의 갯벌’은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2007년 등재)에 이은 두 번째 세계자연유산이다. 문화유산을 포함하면 한국은 15건의 세계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세계유산위원회는 이날 “지구 생물 다양성의 보존을 위해 세계적으로 가장 중요하고 의미 있는 서식지 중 하나이며, 멸종위기 철새의 기착지로서 가치가 크므로 ‘탁월한 보편적 가치’가 인정된다”며 등재를 발표했다.
한국 정부는 2019년 서천 갯벌(충남 서천군), 고창 갯벌(전북 고창군), 신안 갯벌(전남 신안군), 보성·순천 갯벌(전남 보성군, 순천시)을 연속 유산으로 등재 신청했다. 모두 습지보호구역이다. 생물종 다양성, 멸종위기종인 넓적부리도요 등의 주요 서식처, 세계에서 가장 두꺼운 펄 퇴적층의 안정적 유지 등을 탁월한 보편적 가치로 제시했다.
2020년 현장 실사와 패널 회의 등을 진행한 국제자연보존연맹(IUCN)은 지난 5월 반려를 권고했다. 연맹은 당시 “47종의 고유종과 5종의 멸종위기 해양무척추동물을 부양하고, 2150종의 동식물이 서식하는 등 등재기준 중 ‘생물 다양성의 보존을 위해 가장 중요하고 의미 있는 자연서식지’의 가능성이 있다”면서도 신안 갯벌 외에는 대규모의 지형학적·생태학적 과정을 나타낼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범위가 넓지 못하다는 점 등을 들어 이 같은 의견을 냈다.
정부는 등재 신청을 철회하지 않았다. 국내외 세계유산 전문가 자문을 받아 신청서류 보완 작업을 진행했다. 연맹의 ‘등재’ ‘보류’ ‘반려’ ‘등재 불가’ 권고 중 ‘등재’ 권고 외 결과를 받으면 세계유산위원회가 등재 여부를 정한다.
더그 와킨스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 파트너십 사무국 대표는 “세계자연유산 등재로 우리의 중요한 습지가 가장 높은 수준의 보호를 받게 될 것”이라며 “넓적부리도요, 흑두루미와 같은 멸종위기종 등 22개 국가를 방문하는 수백만 마리의 이동성 물새들에게 매우 유익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문화재청이 전했다. 와킨스 대표는 “황해의 국가들인 한국, 중국, 북한 간 국제적 협력을 강화할 수 있는 발판도 제공할 것”이라고 했다.
세계유산위원회는 제48차 세계유산위원회(2025년)까지 유산구역을 확대하고, 연속 유산의 구성요소 간 통합관리체계를 구축하며, 유산 보존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추가적 개발을 관리하라고 권고했다. 멸종위기 철새 보호를 위한 동아시아·대양주 철새 이동경로 국가들과 중국의 황해·보하이만 철새 보호구(2019년 세계유산 등재)와의 협력 강화도 이행하라고 했다.
반려권고 두달여만에 뒤집다..'한국의 갯벌'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비결은?
코로나19 상황 고려한 위원국 일대일 설득전략 유효
문화재청과 국무조정실, 외교부, 해양수산부, 지자체 긴밀한 협조도
한국의 갯벌 홍보영상 일부© 뉴스1
(서울=뉴스1) 박정환 문화전문기자 = '한국의 갯벌'(Getbol, Korean Tidal Flats)이 예상을 뒤집고 세계유산목록에 지난 26일 등재됐다. 이런 배경에는 정부의 긴밀한 협조와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한 설득전략이 유효했다는 분석이다.
당초 유네스코 자문·심사기구인 국제자연보존연맹(IUCN)이 지난 5월 반려(Defer) 의견을 제시해 이번 제44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등재가 어렵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IUCN 권고는 Δ등재불가 Δ등재반려 Δ등재보류 Δ등재권고로 돼 있다.
IUCN는 반려 이유에 대해 "신안갯벌 외에는 대규모의 지형학적·생태학적 과정을 나타낼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범위가 넓지 못한 점, 인접 핵심 지역과 생물다양성 측면에서의 핵심지역을 포함하지 못한 점, 완충지역이 충분하지 않다는 점 등을 거론했다.
그러나 세계유산위원회는 '한국의 갯벌'에 관해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인정하며 세계유산에 등재하기로 결정했다. 유네스코가 자문기구의 등재반려 권고를 뒤집고 세계유산으로 등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IUCN도 반려를 권고하면서도 '한국의 갯벌'에 대해 "47종의 고유종과 5종의 멸종 위기 해양무척추동물을 부양하고 있고, 2150종의 동식물이 서식하는 등 세계유산 등재기준 중 '생물다양성의 보존을 위해 가장 중요하고 의미 있는 자연서식지'의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이런 배경에는 정부의 긴밀한 협조와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한 설득전략이 유효했다는 분석이다. 정부는 문화재청과 국무조정실, 외교부, 해양수산부, 지자체들이 긴밀한 협조를 바탕으로 세계유산위원회 위원국에게 일대일 설득작업을 적극적으로 펼쳐 쾌거를 이뤄냈다.
김현모 문화재청장은 등재 결정 직후 인터뷰에서 "한국의 갯벌은 유네스코 자문기구에서 위기종으로 인정한 27종의 철새를 비롯해 약 2000종 이상의 생물이 서식하는 생태계의 보고"라며 "한국 갯벌의 가치를 지키고 홍보하는 일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한국의 갯벌'은 2010년 세계유산 잠정목록에 등재됐다. 문화재청은 2018년 1월 세계유산 등재신청서를 제출하였으나 지도 수정이 필요하다는 검토 의견을 받았다. 이후 등재신청서를 보완하여 2019년 1월에 다시 제출했다. 이후 문화재청은 5월11일 IUCN가 2019년 10월부터 2020년 3월까지 현장 실사를 거쳐 '반려' 의견을 제시했다고 전했다.
'한국의 갯벌'은 Δ서천갯벌(충남 서천) Δ고창갯벌(전북 고창) Δ신안갯벌(전남 신안) Δ보성-순천갯벌(전남 보성·순천) 등 총 4개로 구성된 연속유산이며 5개 지자체에 걸쳐 있다.
26일 중국 푸저우에서 온라인으로 열린 제44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한국의 갯벌'(Getbol, Korean Tidal Flats)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여부가 오후 6시30분 이후 결정될 예정이다. 한국의 갯벌은 Δ서천갯벌(충남 서천) Δ고창갯벌(전북 고창) Δ신안갯벌(전남 신안) Δ보성-순천갯벌(전남 보성·순천) 등 총 4개로 구성된 연속유산이며 5개 지자체에 걸쳐 있다. 사진은 보성갯벌의 모습.(보성군 제공) 2021.7.26/뉴스1 © News1 박진규 기자,지정운 기자
26일 중국 푸저우에서 온라인으로 열린 제44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한국의 갯벌'(Getbol, Korean Tidal Flats)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여부가 오후 6시30분 이후 결정될 예정이다. 한국의 갯벌은 Δ서천갯벌(충남 서천) Δ고창갯벌(전북 고창) Δ신안갯벌(전남 신안) Δ보성-순천갯벌(전남 보성·순천) 등 총 4개로 구성된 연속유산이며 5개 지자체에 걸쳐 있다. 사진은 신안갯벌의 모습.(신안군 제공) 2021.7.26/뉴스1 © News1 박진규 기자
26일 중국 푸저우에서 온라인으로 열린 제44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한국의 갯벌'(Getbol, Korean Tidal Flats)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여부가 오후 6시30분 이후 결정될 예정이다. 한국의 갯벌은 Δ서천갯벌(충남 서천) Δ고창갯벌(전북 고창) Δ신안갯벌(전남 신안) Δ보성-순천갯벌(전남 보성·순천) 등 총 4개로 구성된 연속유산이며 5개 지자체에 걸쳐 있다. 사진은 순천갯벌의 모습.(신안군 제공) 2021.7.26/뉴스1 © News1 지정운 기자
26일 중국 푸저우에서 온라인으로 열린 제44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한국의 갯벌'(Getbol, Korean Tidal Flats)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여부가 오후 6시30분 이후 결정될 예정이다. 한국의 갯벌은 Δ서천갯벌(충남 서천) Δ고창갯벌(전북 고창) Δ신안갯벌(전남 신안) Δ보성-순천갯벌(전남 보성·순천) 등 총 4개로 구성된 연속유산이며 5개 지자체에 걸쳐 있다. 사진은 신안갯벌의 모습.(신안군 제공) 2021.7.26/뉴스1 © News1 박진규 기자
26일 중국 푸저우에서 온라인으로 열린 제44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한국의 갯벌'(Getbol, Korean Tidal Flats)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여부가 오후 6시30분 이후 결정될 예정이다. 한국의 갯벌은 Δ서천갯벌(충남 서천) Δ고창갯벌(전북 고창) Δ신안갯벌(전남 신안) Δ보성-순천갯벌(전남 보성·순천) 등 총 4개로 구성된 연속유산이며 5개 지자체에 걸쳐 있다. 사진은 신안갯벌의 모습.(신안군 제공) 2021.7.26/뉴스1 © News1 박진규 기자
첫댓글
https://news.v.daum.net/v/20210726232103280
https://news.v.daum.net/v/20210726230939216
https://news.v.daum.net/v/20210726230006133
https://news.v.daum.net/v/20210726224738002
https://news.v.daum.net/v/20210726201008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