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주변 사건사고 잇따라… 현장 “변함없다” 인력 부족 호소
안녕하세요. 일요서울입니다.
2023년 대한민국 대도심 전철역에서
연쇄적으로 ‘흉악범죄’가 발생하며
시민들이 큰 공포를 느끼고 있답니다.
지난 7월21일 서울시 신림역에서는
가해자의 흉기 난동에 남성 4명이 부상,
1명이 사망했습니다.
이어 지난 8월3일 성남시 서현역에서는
가해자가 차량으로 인도를 덮친 후,
시민들을 향해 무참히 흉기를 휘둘렀고,
결국 2명이 목숨을 잃었는데요.
이런 사건을 계기로 관련
범죄 예방 대책 강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답니다.
지난해 9월14일에는
‘신당역 스토킹 살인사건’이 발생했답니다.
이에 지난 14일 오후 7시에는
신당역 10번 출구에서 숨진 역무원의
1주기 추모행사가 열렸는데요.
최근 ‘이상동기 범죄’로 시민들이 두려움에 떠는 만큼
지하철 역 직원들도 안전에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게
현장의 목소리.
실제로 지난달 잠실역, 오리역, 한티역 등에서
칼부림을 예고한 글이 게시되며 논란이 된 바.
지난해 신당역 스토킹 살인사건의 피해 역무원은
사건 당시 홀로 근무 중 참변을 당했답니다.
이에 서울교통공사는
‘역 직원 2인 1조 순찰 강화 계획’을 세워
지난해 12월19일부터 시행하고 있답니다.
역직원 93.55% “나 홀로 근무 여전”
지난 11일 오전 ‘공공운수노조, 서울교통공사노동조합(노조),
시민단체 직장갑질119’는 서울시청 앞 기자회견을 통해
‘신당역 살인사건 1주기 모니터링 보고서’를 발표하며
“현장 직원의 안전이 여전히 보장되지 않았다”라고
대책 마련을 촉구했답니다.
노조는 보고서를 통해 1~8호선 역
현업에서 일하는 직원 1055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는데요. 이를 통해
‘회사의 2인 1조 대책 시행 이후 문제가 해소됐다’라는
응답은 6.45%에 그쳤으며, ‘해소되지 않았다’라는
응답은 93.55%로 현장에서는 ‘나 홀로 근무’가
여전하다고 밝혔답니다.
노조 “서울시·교통공사 대책, 실효성 없어”
취약시간 안전도우미, 혼잡도 안전도우미 등
기간제 인력을 충원한 대책이 있지만,
정작 역에서 일하는 직원들은 ‘도움이 된다’가 13.93%,
‘도움이 되지 않는다’가 51%였답니다.
그 이유로 기간제 인력은 신분상 권한과 책임의 부재,
업무 전문성 부족 등 ‘2인 1조’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실질적인 인력으로 보기 어렵다는 것.
아울러 서울교통공사가 지급한 방패, 호루라기,
방검장비 등 안전보호장비에 대해서는
역 직원 60%가 ‘도움이 되지 않는다’라고 평가했답니다.
응답자의 88.06%는 지급된 안전보호장비에 대해
‘전혀 착용하지 않는다(43.89%)’, ‘가끔 착용한다(44.17%)’,
‘항상 착용한다’라는 의견은 3.51%였답니다.
이어 역 직원의 72.13%가 ‘근무 시 충분한 안전을
보호받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라고 응답했는데요.
그 이유로는 불특정인(난동·소란, 취객 등)으로부터의
위해에 대응하기 어렵고, 공사의 과도한 고객서비스 응대 요구와
비상상황 등에 혼자 대응해야 한다는 압박감 등이 주였답니다.
노조는 “시민이 안전하게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작업장의 노동자가 안전하게 일할 수 있는 것은
동전의 양면으로 어느 하나만 충족할 수 없다”라며
“‘누구에게나 안전한 지하철’을 만들기 위해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라고 밝혔습니다.
서울시청 앞 기자회견 노조·시민단체 입 모아
노조와 시민단체는 지난 11일 서울시청 앞 기자회견을 통해
서울시에 비판의 목소리를 냈는데요.
현정희 전국공공운수사회서비스노동조합 위원장은
“회사(서울교통공사)의 대응 체계와
피해자 보호에 대해 신뢰하지 못했기 때문에
사업장 내 문제를 돌아봐야 한다”라고 밝혔습니다.
기자회견에 참여한 역무원 출신
정의당 이은주 의원은
“서울교통공사의 대책이 현장 노동자들의
차가운 반응에 직면한 이상, 서울시도 대책이
실제 작동하는지 현장과 충분한 소통과
재점검에 나서라”라고 요구했답니다.
명순필 서울교통공사노동조합(노조) 위원장은
“신당역 사건에도 변치 않는 서울시와 회사를
강하게 비판하며 노조는 포기하지 않고,
시민과 노동자가 안전한 지하철을 만들기 위해
노력할 것을 다짐했다”라고 말했답니다.
이날 현장의 노조 관계자는 일요서울 취재진에게
“지하철 보안관도 사법적인 권한이 필요하다”라며
“이와 관련 지난해 오세훈 시장도 은연 중에 언급을 했으나,
실행하지 않은 내용도 있다”라고 주장했답니다.
서울시 “노조 입장에서만, 발표하고 언급한 부분”
서울시 관계자는 취재진과의 인터뷰에서
“신당역 살인사건과 관련한 대안은
서울교통공사가 자체적으로
10대 과제를 선정해 진행하는 부분이다”라고 밝혔답니다.
관계자는 “지금 신규 채용으로 직원들이 충원됐고,
안심도우미와 안심일자리 등 추가적인 인력을 충원해
순찰 시 2인 1조를 유지하며 운영하고 있다”라며
“(노조 입장의 경우) 약간 자극적으로
입장을 발표한 측면이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서울교통공사 “노조 주장, 인지 및 개선”
서울교통공사 관계자는 취재진과의 인터뷰를 통해
“현재 노동조합에서는 2조 1교대를
확행해야 된다는 것과 인원을 충원해야 한다는 걸
강조하고 있다”라며
“서울교통공사에서도 2인 1조 순찰을 위해
여러 가지 준비를 계속하고 있었다”라고 밝혔습니다.
취재진의 ‘노사 간의 소통이나 대화가 이뤄지고 있는가’ 질의에
관계자는 “현재 임금 단체 협약 기간이다 보니,
이를 진행하면서 아마 함께 이뤄질 것 같다”라고
답변했습니다.
신당역 살인사건이 1년 지난 시점에서
다시 안전과 관련 대안 강화에 대한
촉구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노조와 공사 측이 향후 깊은 협력을 통해
시민과 직원 안전을 위한 강화된 대책 마련에
다다를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 기사 원문 보기 ▼
http://www.ilyoseoul.co.kr/news/articleView.html?idxno=478751
▼ 지난 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