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태극기를 조기로 게양할 경우에는 함께 게양하는 다른 기도 조기로 게양
※ 차량이나 보행자의 통행에 지장을 줄 우려가 있거나 깃대가 짧아 조기로 게양할 수 없는 등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조기임을 알아볼 수 있을 정도로 최대한 내려 단다.
국기 다는 날
- 「국경일에 관한 법률」 제2조의 규정에 따른 국경일
3ㆍ1절(3월 1일), 제헌절(7월 17일), 광복절(8월 15일), 개천절(10월 3일), 한글날(10월 9일) -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 제2조의 규정에 따른 기념일 중
현충일(6월 6일, 조기), 국군의 날(10월1일) - 「국가장법」 제6조에 따른 국가장 기간(조기)
- 정부가 따로 지정한 날
- 지방자치단체가 조례 또는 지방의회의 의결로 정하는 날
국기를 연중 달아야 하는 곳 | - 국가,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의 청사, 각급 학교와 군부대 (낮에만 게양)
|
---|
가능한 한 국기를 연중 달아야 하는 곳 | - 공항·호텔 등 국제적인 교류장소
- 대형건물·공원·경기장 등 많은 사람이 출입하는 장소
- 주요 정부청사의 울타리
- 많은 깃대가 함께 설치된 장소
- 그 밖에 대통령령이 정하는 장소
|
---|
- 국기를 다는 시간
- 국기는 매일·24시간 달 수 있으나 야간에는 적절한 조명을 해야 한다.
- 학교나 군부대는 낮에만 단다.
- 국기를 매일 게양·강하하는 경우
- -다는 시각 : 오전 7시
- -내리는 시각 : 3월 ~ 10월까지는 오후 6시, 11월 ~ 2월까지는 오후 5시
- 국기가 심한 눈·비와 바람 등으로 그 훼손이 우려되는 경우에는 달지 않는다.
[관련 법령]
- 대한민국 국기법 제8조(국기의 게양일 등)
- 대한민국 국기법 시행령 제12조(국기의 게양·강하 시각)
- 국기의 게양·관리 및 선양에 관한 규정 제4조(국기 게양일 및 게양·강하 시각)
- 국기의 게양·관리 및 선양에 관한 규정 제8조(국기의 야간 게양)
국기 다는 위치1. 단독(공동) 주택 : 집 밖에서 보아 대문의 중앙이나 왼쪽에 게양한다.
*태극기 다는 법* 국경일 및기념일다는 날 5대 국경일(3.1절, 제헌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 국군의 날 및 정부지정일 다는 방법 깃봉과 깃면의 사이를 떼지 않고 닮.

조의를표하는 날다는 날 현충일, 국장기간, 국민장일 및 정부지정일 다는 방법 (세로)만큼 내려 닮.
완전한 조기를 달 수 없는 경우는 바닥 등에 닿지깃면의 너비 않도록 최대한 내려 닮.

카페 게시글
카페☆알림방
태극기 다는 법
김명섭
추천 0
조회 130
16.03.01 06:26
댓글 0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