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조 정조대왕 때 용파 스님과 농산 스님의 이야기
조선조 제22대 정조대왕 때의 이야기입니다.
이씨 조선 제22대가 정조왕인데, 그 정조대왕 때의 일입니다.
정조대왕이 후사(後嗣)가 없었어요. 아드님이 없었어.
그래서 이 분이 항상 아드님 갖기를 원했습니다.
하루는 우리나라 백성들이 어떻게 살고 있는지 알고 싶어서
미복(微服)을 하고 민정을 나갔습니다.
왕의 복장이 아닌 보통사람들 옷으로 갈아입고 내관 한 사람을
대동하여 밤늦게 까지 서울 장안을 주~욱 돌아다니면서 살피다가
남산을 올라갔답니다.
남산에서 보니까 바로 앞 초가삼간집에서 서기광명(瑞氣光明)이
뿜어 나오고 있었습니다.
그 정조대왕이 볼 때에 무지개 색깔 비슷한 서기(瑞氣)가 뻗쳐있어요.
그래서 예삿일이 아니다 해가지고 내관을 시켜서
‘그 초가삼간을 방문하도록 하고,
그리고 그 서기(瑞氣)가 뻗친 그 방에 누가 머물고 있는 가를
알아보고 오너라’했더니,
내관이 살펴보고 와서 아뢰기를
‘대구 동화사에서 수행을 하고 있는 '용파'라는 스님이
한양에 올라와서 그 집주인이 신도였든지 방 하나를 얻어서
주무시고 있습니다.’라는 거예요.
그래서 왕이 그 스님을 불렀습니다.
그 스님을 딱 보니까 한 눈에 ‘아! 큰스님이구나.’할 정도로
기품이 당당하고, 눈이 공부한 맑은 눈이었습니다.
그리해서 그 스님에게‘아무 날 입궐을 해서 나를 찾아라’하고
입궐하도록 했어요. 그 스님이 무슨 일인가 하고 약조한 날짜에
입궐을 해서 왕을 배알(拜謁)하게 되었어요.
왕이‘내가 후사가 없으니까 고민이다.
후사가 없으면 안 되니까 당신의 법력으로
내 고민을 풀어 줄 수 없겠소?’하니까,
'용파'스님이 자기의 능력 가지고는 안 되겠어.
그런데 자기가 잘 아는 큰스님이 있었어요.
그 큰스님 법명이 '농산'이어. '농산'이라고 하는 큰스님을
자기가 잘 알고 있어. 그래서 왕한테 말씀드리기를
‘제가 이것을 숙제로 알고, 저에게는 도반이 있는데
나보다도 법력이 출중하니까 만나서 상의를 하겠습니다.’라고
했습니다. 그 '농산'스님은 그때 한양의 '금선암'이라고 하는
암자에서 수행을 하고 있었어요.
이 '농산'이라고 하는 큰스님은 어떤 분이냐?
금강산 '만행암'에서 평생을 주력(呪力)으로 득도를 했어요.
그 후 전라도 장흥에 있는 고금도라는 섬에 가서
천일기도를 목표로 하고 공부를 했답니다.
쌀은 물론 아무것도 없이 무인도인 고금도에 들어가서
천일 동안 공부를 하는 거예요.
다만 부처님에 대한 믿음만 가지고 고금도를 갔지요.
석화를 따고, 산딸기를 따먹고 하면서 천일기도를 하는데
한 해가 지났어요.
한 해가 지나고 보니까 뜻 밖에도 배 한척이 표류하다가
고금도에 기착을 했어요.
가서 보니까 뱃사공은 없고 쌀가마니가 배에 가득 실려 있어요.
아무리 기다려도 주인이 나타나질 않았답니다.
그래서 그 쌀을 양식으로 삼아 천일을 다라니 주력을 했습니다.
그 결과 도통을 했어요. 크게 신통을 얻었답니다.
신통을 얻어가지고 배도 없이 육지를 나올 수 있었어요.
바다 위를 걸어가지고 육지로 나온 스님이어요.
그 분이 '농산'스님이어요.
'용파'스님은 '농산'스님하고 잘 알아요.
도반이었습니다. 그래서 '용파'스님이 '농산'스님에게 찾아갔습니다.
'용파'스님이 한양의 수락산 내원사에다가 방 하나를 얻어 놓고,
한양의 세금동에 있는 금선암에서 주석하고 있는
'농산'스님을 찾아가 상의를 했어요.‘
조정에 후사가 없으니까 우리가 100일 기도를 합시다.
정조대왕의 후사를 이을 아드님을 낳을 수 있도록
우리가 100일 기도를 해드립시다.’ 하니까
'농산'스님도 쾌히 승낙을 했어요.
그래서 '농산'스님은 세금동 금선암에서 100일기도를 입재 했고,
'용파'스님은 수락산 내원사에서 100일 기도 입재를 했습니다.
100일이 되어 회향을 했는데 왕궁에서는 잉태 소식이 없어요.
그러니까 중전이나 후궁들한테 잉태 소식이 없었답니다.
그래서 다시 '농산'스님하고 '용파'스님이 만나서
‘100일 기도를 한 번 더 하자’고 하여 또 100일 기도를 더 했습니다.
또 100일 기도를 했지만 200일이 지나가도 아무 소식이 없어요.
그래서 아주 괴로워하다가 '농산'스님이 '용파'스님을 앉혀놓고
결심을 했어요.
‘내가 정조대왕 다음 대를 이을 아드님으로 태어날 것이다.’
그렇게 결심을 하고 '용파'스님에게 자기의 결심을 편지로 적어서
왕한테 올려주라고 하고, 어느 날 기도를 마치고 목욕재계한 후 옷을
갈아입고 좌탈입망을 했습니다. 앉아서 가버렸다고요.
그러니까 정조대왕의 후사가 되려고 좌탈입망한 것이지요.
그 영혼체가 이제 들어가려고 하는 거예요.
정조대왕이 중전 혹은 후궁하고 합방하는 날 입태 하는 거예요.
그런데 그 좌탈입망 할 때 정조대왕의 후궁이 있었는가 봐요.
원빈 박씨라고 그래요.
원빈 박씨의 꿈에 '농산'대사가 연을 타고 입궐하는 꿈을 꾸었어요.
그리고 자기 방으로 드는 꿈을 꾸었어.
그러면서 입태(入胎)를 하였고,
10달이 차서 아기가 태어났는데
그 아기가 조선조 제23대 순조대왕입니다.
이런 일이 있었습니다.
여러분에게 이런 이야기를 왜 하느냐 하면,
여러 가지 목적이 있습니다.
이 세상 모든 것은 인연으로 되어가는 거예요.
인연으로 되어가요. 또 업이 모든 것을 창조 하는 거예요.
다시 말하면 모든 사람들은 생각이 있잖아요.
생각이 있는 사람들은 한 생각이 중요한 거예요.
한 생각, 가령 ‘내가 정조대왕의 후사가 되어서 다음 생에 태어나
이 세상을 잘 다스리는 왕이 되리라’ 하는 한 생각,
이 한 생각이 중요한 거예요.
한 생각이 천당도 만들고, 지옥도 만드는 거예요.
이게 불교입니다. 생각 있는 사람들의 그 한 생각이 중요한 거예요.
저놈을 내가 죽여야 되겠다고 하는 한 생각,
이 생각을 잘못하면 사람을 죽이는 거예요.
‘나는 기어이 윤회생사를 벗어나야 되겠다.
부처님 회상을 만났을 때 윤회생사를 벗어나야 되겠다.’
이 한 생각이 윤회생사를 벗어날 수 있도록 여러분을 이끄는 거예요.
그 한 생각이 대단히 중요한 거예요.
그래서 이것을 '일체유심조'라고 합니다.
일체유심조, 모든 것은 마음이 만들어요.
인연 따라 모든 것은 되어갑니다.
한 생각이 바로 업의 씨앗, 업이에요.
업이 모두를 만들어요. 똑같은 이야기입니다.
이것을 불교에서는 연기법이라고 합니다.
여러분들은 이것을 알아 두어야 됩니다. 이게 불교입니다.
그러나 저기 일신교 쪽에서는 창조론을 이야기합니다.
창조론, 태초에 전지전능하신 유일신(唯一神)이 있어서
그 분이 천지만물 모두를 만들었다 하는 것이 창조론입니다.
그런데 우리 영산불교에서는‘창조론이 아니다’하고
스님이 시간 날 때마다 이야기를 했거든요.
창조론은 아니다. 하나님은 없는 것이다.
내 책에도 써 놨지만, 여러분! 태초에 있는 것은 뭐라고 했지요?
하나님이 없었어. 시공을 초월한,
그러면서 우주에 두루 두루 편만(遍滿)해 있는 어떤 실상,
그것은 생각도 없고 뜻도 없어.
그것은 다만 영원불멸하는 생명입니다.
그것을 우리 불교에서는 공(空)이라고도 하고,
마음이라고도 하는데, 저쪽 일신교에서는
‘I AM’이라고도 한다는 말을 했을 거예요. 그것이 있는 것이지,
어떤 하나님이나 생각과 뜻을 지니고 있는 절대자가 태초에
있었던 것은 아닙니다. 태초에는 우리 부처님도 없었습니다.
부처님도 하나의 인간으로 태어나고 또 태어나고 해서,
좋은 일하고 좋은 일하고, 공부하고 깨끗이 살면서 착한 일
많이많이 해서 성중까지 올라가고, 또 정토 보살이 되고,
그 정도에 가서 더 수행을 잘해가지고 더 올라가서 붓다가 된 거예요.
태초에는 공(空)이었어요. 그러니까 불교는 연기법입니다.
이것을 우주이법이라고 합니다.
이것이 아주 소중합니다.
이것을 가지고 '농산'스님이 몸받아간 이 부분에 대해서
내가 할 말이 많습니다.
이 분에게 점수를 잘 준다면 나는 성중 3품 정도 줍니다.
성중3품, 성중2품, 성중1품은 아라한입니다.
이분은 아라한이 되었거나 아라한이 조금 미흡합니다.
이 '농산'스님은 정조대왕의 후사가 되려고 생각한 것 자체가
잘못되었습니다. 잘못한 거예요. 다
시 사람 몸을 받아와서 왕위를 계승하면 업을 지어요.
업을 지으면 지은 대로 받아버립니다. 퇴보이지요.
그래서는 안 됩니다. 계속 공부를 했어야지요.
후사가 있든 없든 그것은 인연에 맡기고,
'농산'스님은 그대로 깨끗하게 한평생 염불로 갔어야 됩니다.
그런데 사람 몸을 받았어. 왕의 몸을 받아 왕이 되어버렸어.
그 왕의 자리는 자기의 영혼체를 대단히 오염시키는 그러한 삶입니다.
그러한 삶이 되는 거예요.
할 말은 많지만 이쯤 해 둡니다.
출처:2009년 자재 만현 큰스님 법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