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를 감다”, “샴푸”등의 의미를 가진 단어인
shampoo 의 어원은 우리말로 “(머리를) 감아뿌”로 보입니다
c~가 k~와 s~로 분화되었기 때문입니다
우리말의 발음으로는 c~가 ㄱ과 ㅅ으로 나뉘어 변해갔다는 것입니다
거기에다 h가 첨부되어서 ㅎ발음으로 마무리지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예를 들면) 김빠진다 ⇌ 심빠진다 ⇌ 진빠진다 ⇌ 힘빠진다
ㄱ ⇌ ㅅ ⇌ ㅈ ⇌ ㅎ의 호환은 공식처럼 쓰입니다
변천 과정을 조금 세분화 하면 k ⇌ kh ⇌ h
g ⇌ gh ⇌ h
c ⇌ ch ⇌ h
c ⇌ s ⇌ sh ⇌ h, 이렇게 됩니다
축구선수 이름에 cech (발음: 체흐)와 de ligt (발음: 더 리흐트)가 있구요
영어에서도 light (발음: 라이트)와 right (발음: 라이트) 등 많이 있습니다
그러니 앞으로 이런 경우는 셀 수 없이 많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지요
어쩌면 이렇게 언어를 원래의 형태로 이어주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인지 모릅니다
영어와 우리말은 같은 표음문자(소리글자)라서 같이 변해갈 수 밖엔 없었을 것입니다
표음문자를 phonogram이라고 하네요. 그냥 “(소리를) 보내주렴”이네요
“표음문자(表音文字)”라는 것은
“사람이 말하는 소리를 기호로 나타낸 문자”라고 합니다
그러니 “소리를 문자로 표현한 것”이니
거의 모든 소리들을 문자로 표현이 가능하다는 것이지요
세계의 언어들을 보더라도 형태는 변해있어도
변천 과정을 대입해 보면 의외로 같은 말임을 알 수 있습니다
2399. shampoo (샴푸, 샴푸로 감다, 머리를 감다):
(머리를) 감아뿌, 감아버리다가 어원 (* 나비우스님의 의견 존중)
* 남아프리카: sjampoe (감아뿌) (* ㄱ ⇌ ㅅ 호환 관계 적용 시)
(* ㅈ ⇌ ㅇ 호환 관계 적용 시)
* 카탈루냐: xampu (감아뿌) (* ㄱ ⇌ ㅅ 호환 관계 적용 시)
* 중국: 洗髮水
* 크로아티아, 체코, 헝가리: sampon (감아뿐) (* ㄱ ⇌ ㅅ 호환 관계 적용 시)
* 덴마크, 독일, 베트남, 핀란드,
이탈리아, 포르투갈, 네덜란드: shampoo (감아뿌) (* ㄱ ⇌ ㅅ 호환 관계 적용 시)
* 프랑스: shampooing (감아뿌는 거) (* ㄱ ⇌ ㅅ 호환 관계 적용 시)
* 아이슬란드: sjampo (감아뿌) (* ㄱ ⇌ ㅅ 호환 관계 적용 시)
* 인도네시아: sampo (감아뿌) (* ㄱ ⇌ ㅅ 호환 관계 적용 시)
* 아일랜드: seampu (감아뿌) (* ㄱ ⇌ ㅅ 호환 관계 적용 시)
* 한국: 샴푸
* 일본: シャンプ
* 말레이시아: syampu (감아뿌) (* ㄱ ⇌ ㅅ 호환 관계 적용 시)
* 노르웨이: sjampo (감아뿌) (* ㄱ ⇌ ㅅ 호환 관계 적용 시)
(* ㅈ ⇌ ㅇ 호환 관계 적용 시)
* 폴란드: szampon (감아뿌) (* ㄱ ⇌ ㅅ 호환 관계 적용 시)
(* ㅈ ⇌ ㅇ 호환 관계 적용 시)
* 스페인: champu (감아뿌) (* ㄱ ⇌ ㅅ 호환 관계 적용 시)
* 스웨덴: schampo (감아뿌) (* ㄱ ⇌ ㅅ 호환 관계 적용 시)
* 터키: sampuan (감아뿌는) (* ㄱ ⇌ ㅅ 호환 관계 적용 시)
shampoo = kampoo = (머리를) 감아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