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일단 필기 시험을 4월 초에 봤고요 승강기 실기시험은 6월 초에 봤습니다. 어제 실기1차발표에서 최종합격되었습니다.
1.일단 필기시험준비부터
3월 3째주에 신청해서 딱 2주공부했습니다. 하루에 2~3시간 정도만요 저도 다른일을 하면서 준비했기때문에
하루종일 할 여유는 없었고요 결론만 말씀드리면 83점으로 합격했습니다.
여기서 제가 드리고싶은 말씀은 너무 많이 필기공부안해도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시간 하루종일 여유 좀 있으시거나하면
일주일만 공부해도 60점은 넘길수있습니다. 60점만 넘으면 합격이니깐요 그냥 시중에 있는 승강기 필기책 아무거나 사서 공부하세요
이론 대충한번 훑고 (절대 2번보지마세요 시간낭비입니다.) 과년도문제를 풀으면서 모르면 앞에것을 확인하면서 복습하는 식으로....
이렇게 공부하시길 바랍니다... 과년도문제만 파도 무조건 합격합니다. 솔직히 이론안봐도 과년도 문제만 봐도 합격할수있는데
이론 한번보고 과년도 문제봐도 2주면 시간 충분합니다. 시험시간도 60분에60문제인데 30분도 안되서 다풉니다. 웬만한 사람들은요
필기는 너무 걱정하지마시고 너무많이 시간투자안하셔도되니 과년도 문제에 집중하시길 바랍니다.
2.실기시험....
크게 2개로 나뉩니다. 제어판회로 작업 + 헹거롤러 또는 와이어로프(더많이나옴) 이렇게 2개과제를 시험보게됩니다.
준비는 3개를 해야겠지요 헹거롤러가 나올지 와이어로프가 나올지... 하지만 와이어로프가 더 많이나옵니다.
이유는 더 어렵기도하고요 힘도 좀 써야되고요... 1년에 승강기시험 4번인데 1,2회차가 와이어로프나와서 헹거롤러가 3회차나 4회차에 한번정도는 나올것같기도 합니다.
일단 제 의견을 말씀드리면 독학으로배우기는 힘듭니다. 학원이나 인력개발원쪽에서 배우시던지 해야될것같아요..
시험시간 3시간30분에 30분 와이어로프또는 헹거롤러 + 3시간 제어판작업들어갑니다.
일단 각 과제의 특성을 살펴보면요...
1.헹거롤러 - 와이어로프보다는 쉽습니다. 그래서 잘 안나오는 과제같아요 헹거롤러는 도중에 하다가 실패해도 다시 분해해서
조립할수 있는데 와이어로프는 하다 실수하면 다시못합니다. 즉 복구가 불가능하다는 말이예요 다시 로프펴서 해야되는데 엄청힘듭니다. 헹거롤러 저도 딱 2번해봤는데 베어링이나 나사 잘 맞추어서 끼고 제일중요한게 롤러돌아가면서 위로 빠지지만 않으면 되는것 같습니다. 좀 뻑뻑하게 돌아갈수도있는데 그거는 약간의 감정만 되니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될것같고요..
제생각은 와이어로프를 좀더 준비하는게 좋을것같아요..
2.와이어로프 - 영상만 보고 가시면 하기힘들겁니다. 직접해봐야되요.. 힘도 많이들고 꼬는게 생각보다 쉽지는 않습니다.
거의다 바인더 작업을하고 로프 끝부분에 절연테이프?등을 이용해서 마감처리를 합니다. 이부분은 영상보시면 대부분 보셨을겁니다.
일단 10cm쯤에 바인더 작업을 해서 5바퀴정도 돌려서 감고 그부분을 기준으로 와이어로프작업을 하게됩니다.
로프꼬아서 국화꽃모양 만들어서 소켓에 집어넣는데 소켓에 집어넣으면 바인더작업한게 안보이게 되겠죠??
그리고 밑에 마무리 테이프 작업만하고 제출하면 됩니다. 소켓에 집어넣었을때 위로 밀었을때 쉽게 빠지면 안됩니다. 이게 실격처리될수도있는데 웬만하면 빠지지않습니다. 감독관들도 엄청세게 위로 밀어서 빠지는지 확인하는것이 아니기 떄문에 거의 빠질일은 없다고 보면 됩니다.
결론은 헹거롤러나 와이어로프나 아예할줄몰라서 작품제출을못하는거 아닌이상 이걸로 인하여 실격되거나 불합격될일은
거의 없다고 보시면됩니다..... 이거 때문에 불합격하셨으면 아예 할줄모르시는거라 다시배워야되는겁니다.
국화꽃 모양좀 이상하고 롤러돌아가는거 좀 뻑뻑하고..이런걸로 절대 불합격안되니 걱정하지마시고요
바인더 작업이나 테이프작업은 꼭해주세요 바인더작업한거는 안보이는게 맞습니다. 소켓에 들어가있으니깐요
단 로프 끝에 테이프로 감은것은 보이겠죠?? 이게 시험장마다 감독관이 요구 하는사항이 다른데 대부분은 이렇게합니다.
바인더 작업을 2번하라는곳도 있을거예요 (즉 소켓에 넣고 밖에다 또 바인더 묶으라는 작업)
3.제어판작업
- 3시간안에 해야하는 작업입니다. 요즘 추세는 와이델타회로나 정역회로 2개중에 한개 나옵니다.
저는 정역회로 테스트했고요 일단 준비물 말씀드릴게요..
와이어스트리퍼, 뺀찌, 니퍼, 드라이버(전동드릴도가능), 각종필기구나,테이프등등... 제일중요한건 드라이버보다 전동드릴이 더 빠르고 쉽게 할 수 있습니다. 조이고 풀거 한개2개도아니고 특히 스위치나 램프쪽 연결할때는 세게 조여야되는데
드라이버로 하다가 나중에 램프나 스위치 소켓닫다가 선 빠질수도있어요 전동드릴 쓰시길 바랍니다.
이것도 연습을 많이해보셔야되는데 처음에 하시면 아마 시간이 많이 촉박하실거예요 저도 그랬고요 3시간안에 할 수 있는건가..싶을 정도로 하루종일 걸리고 그랬는데 몇번 하다보면 시간이 문제가 아니고 회로판독과 결선하는것이 더 중요하다는것을 알 수 있으실거예요
회로판독이나 배우는것은 잘 배우실거라 생각하고요
몇가지 팁만 말씀드릴게요
1)여분의 못이나 케이블타이 같은것은 더 챙겨도 됩니다. 못이나 케이블타이가 지급이 되기는하는데
기존에 쓰던거 편한거 있으시면 그거 따로 지퍼백에 챙겨서 시험날써도되요
2)위에 말한것처럼 전동드릴 쓰시는걸 추천합니다.(드라이버 비추천)
3)절대 시간압박 생각하지마세요 시간남아돌겁니다. 확인하시고 또 확인
4)스위치나 램프 쪽 결선작업할때는 소켓 들어서 못으로 고정시키고 하시길 바랍니다.
5)그리고 주회로 작업할때 앞에 피복벗기고 튜브끼우고 터미널단자 압착시키는데 뺀찌로해도 충분합니다.
압착뺀찌?? 따로있긴한데 크기만 하고 불편합니다. 그냥 뺀찌 사용하세요
6)회로 배선할때 양쪽 모서리 아래랑 위쪽에 긴 못 박아놓고 하시면 선위로 돌아가거나 아래로 돌아갈 때 각잡기 좋습니다.
7)너무 배선모양에 신경쓰지마세요 정확히 연결하고 작동되는게 더 중요합니다. 벨테스터기로 꼭 확인하시고요...
어짜피 선은 나중에 케이블타이로 묶으면 모양 얼추 나옵니다. 선 모양 이상하다고해서 떨어지는 경우없으니
너무 신경쓰지마세요...
8)특히 스위치나 램프쪽 결선은 소켓닫을때 확인 여러번해주세요 선 빠지면 작동안되니깐요..
-다들 앞으로도 시험보시거나 할 분들 좋은결과 있으시길 바라겠습니다.
첫댓글 합격수기 잘 읽었습니다.공부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좋은결과있으시길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문과인데
제어판회로가어렵습니까??
회로판독과 결선
어렵나요?
쉽진않을겁니다 독학으로하시기엔. 힘들거예요
너무감사합니다
조언 감사합니다.
조언 감사합니다.
조언 감사합니다
한가지 질문 좀 할게요
와이어로프할때 마지막에 전기테이프로 감는데
10cm미터 부근 안보이는 곳은 바인드처리를 어떻게 하나요?
그리고ㅠ 국화꽃 만들고 넣을때 높낮이를 정확히 맞추는게 힘들던데
조금 달라도 빠지지만 않으면 괜찮은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