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깨산-441.1m
◈날짜 : 2024년 12월 17일 ◈날씨 : 맑음
◈들머리 : 충북 옥천군 동이면 조령리 옻문화단지주차장
◈산행시간 : 3시간 3분(10:19-13:22)
◈찾아간 길 : 창원-칠원요금소(8:23)-남성주휴게소(9:05-14)-금강요금소(10:15)-옻문화단지주차장(10:18)
◈산행구간 : 옻문화단지→금강전망대 → 어깨갈림길 → 어깨정 → 어깨산→송골쉼터 → 송골갈림길 → 지우대전망대 → 망덕봉→참옻다리 → 금강휴게소→옻문화단지주차장
◈산행메모 : 옻문화단지주차장
왼쪽 임도로 산행 시작.
돌아본 그림.
저기서 왼쪽 산길로 올라간다.
전망덱에 올라서면 오른쪽 계단으로.
덱에서 왼쪽 아래로 하차지점. 그 위는 금강과 경부고속도로.
잠시 경사가 작아진 길.
여기선 내려간다.
128계단도 만난다.
계단 끝에 올라서니 막아서는 어깨산.
어깨산을 향해 내려간다.
왼발 아래로 금강. 오른쪽 위는 나중에 만날 해맞이봉이다.
금강전망대에 올라선다.
웃자란 나무에 조망이 막힌다.
어깨갈림길을 만난다.
2016년 여기서 발생한 산불피해 현황판도 보인다.
8년 전에 산불이 휩쓴 흔적은 아직도 저런 모습이다.
가운데 위서 하늘 금을 그리는 계룡산.
휘돌아 흐르는 금강.
가운데 위로 철봉산. 가운데 오른쪽 끝에 해맞이동산이다.
위로 정자가 보인다
방화수 구조물?
정자는 산불감시초소 어깨정이다.
등산안내판도 보인다.
오른쪽 끝에 어깨산이다.
어깨산에 올라선다. 금강 오른쪽에 망덕봉.
왼쪽 아래로 하늘전망대인데 생략.
정상 표지목. 뒤 오른쪽은 나중에 올라설 망덕봉이다.
늘어선 봉을 차례로 넘어야 망덕봉을 만난다.
내려가다 돌아본 어깨산.
가파르게 내려간다.
오른쪽으로 만난 송골쉼터.
가운데로 가까운 능선은 지나온 길이다. 그 뒤는 해맞이동산.
송골갈림길에서 오른쪽으로 호랑이굴 140m 인데 그대로 직진한다.
좌우는 수직에 가까운 사면이라 긴장된 걸음.
오른쪽으로 옻나무 식재지 푯말도 만난다.
올라가는 길은 송림이 이어진다.
돌아보니 나무 사이로 우뚝한 어깨산.
봉에 오라서니 또 이런 송림이 이어진다.
내려가면 막아서는 망덕봉.
헬기장이 자리한 망덕봉에 올라선다. 앞서간 일행들은 여기서 식사 중이다.
헬기장 끝에 돌탑과 산불감시초소.
정상표지는 이정표가 대신한다.
지나온 어깨산을 돌아본다.
산불감시초소 앞으로 가니 초소가 찬바람을 막아준다. 볕도 바르다. 석축에 걸터앉아 점심. 발아래로 금강휴게소.
그 오른쪽 위로 철봉산.
돌아본 정상.
망덕봉을 뒤로 보낸다.
철봉산 오른쪽에 해맞이봉 동산(가운데 오른쪽 끝).
참옻다리에 내려선다.
하산은 참옷다리에 진입 않고 오른쪽 계단으로 내려서면 임도.
임도에서 돌아본 참옻다리.
포장임도를 만나 오른쪽으로 올라간다.
카메라설정이 잘못되어 여기부터 사진이 사라졌다. 아래로 마을이 나타난다. 그 위로 고속도로. 마을에 내려선다. 골목에 내려서니 조령2길이다. 좌우로 부산, 양반식당. 고속도로 지하도를 통과하니 왼쪽에 금강휴게소. 돌아보니 지나온 마을은 동이면 조령1리 지우대마을이다. 강으로 다가가니 옥천7경 금강유원지 안내판. 오른쪽으로 가니 금강요금소. 고속도로라 발길을 돌린다. 통과한 고속도로지하도를 다시 나가니 조령1리 마을안내판. 왼쪽으로 진행한다. 만난 조령1리 버스정류장을 오른쪽 뒤로 보낸다. 옥천 옻산업특구 안내판도 보인다. 지금 걷는 길은 옛 고속도로다. 도로직선화 공사로 고속도로는 왼쪽으로 옮겨졌다. 왼쪽에 옥천1터널 500m 도로표지. 정면에 우리 버스도 보인다. 오른쪽으로 산행을 시작했던 임도. 다시 만난 옻문화단지주차장에서 산행을 마친다.
#승차이동(15:50)-금강휴게소(15:54-16:01)-영산휴게소(17:33-40)-남지요금소(17:44)-강남오리(17:51-18:34)-창원역(1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