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나답게 크는 아이 지원사업 사전·사후 검사 결과
- 작성 : 나크아 사업팀 조송이
올해 2월부터 나답게 크는 아이 지원사업이 진행되어 11월 29일자로 사업이 마무리되었습니다. 사업 참여 아동의 적정성을 판단하기 위한 BIF-S 검사와 사업의 효과성을 파악하기 위한 SSRS. BASA:CT 사전·사후 검사를 사업 초반과 10월 중 사후 검사가 진행되었습니다.
2024년 11월 기준 사전·사후 검사를 모두 실시한 총 298명 중 기존아동 131명, 신규아동 167명이며 초등 저학년(1~3학년) 158명, 초등 고학년(4~6학년) 140명으로 산출된 자료 입니다.
먼저, BIF-S 검사란 일상생활 적응행동 척도로써 경계선 지능 아동을 선별하기 위한 표준화된 검사입니다. 해당 검사는 센터 선발 시 아동이 사업 참여 아동으로 적합한지 판단하기 위한 선별 검사로 진행되었으며, 보호자 또는 아동을 6개월 이상 관찰한 센터 종사자가 아동을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하였습니다.
본 검사는 6가지 문제영역과 부적응 정도를 평가하고 총 의사소통, 생활기술, 성격과 정서, 사회성, 인지능력, 학업기술의 6개 영역으로 총 60문항으로 구성되고 6개의 문제영역을 종합하여 도출한 수치를 부적응지표라고 합니다. 부적응지표와 6개 문제영역 각각 원점수와 T점수(연령별 규준집단에 근거한 표준화 점수)가 도출되는데, T점수가 70점 이상이면 평균에서 크게 이탈된 상태로 해석하여, 부적응지표의 T점수가 70점이상인 경우 경계선 지능 아동의심으로 분류합니다.
아동 참여 기간에 따라 기존 아동은 의사소통 영역이 97.11점, 신규 아동은 학업기술 영역이 98.66점으로 가장 높았음. 또한 아동 연령에 따라 초등 저학년은 사회성 영역이 108.67점, 초등 고학년은 의사소통 영역이 98.46점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산출되었습니다.
SSRS 검사란 사회기술평적 척도로 아동의 사회기술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한 도구를 문성원(1997)이 문화적 차이를 고려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번안 수정한 척도의 SSRS-학생용 문항들 중 23문항을 사용하였습니다.
본 검사는 협력성, 주장성, 공감, 자기통제 4가지 하위 변인으로 구성된다. 각 문항은 5점 척도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적 기술이 좋음을 의미합니다. 하위 요인 중 협력성은 타인을 돕고 정보를 교환하거나 공유하며 규칙이나 지시를 따르는가를 측정한다. 주장성은 타인에게 정보를 구하거나 자기소개하기, 또래 압력이나 모욕과 같은 행동에 대한 반응을 측정한다. 공감은 타인의 느낌 및 관점에 대해서 관심이나 존중을 보이는지를 측정하며, 자기조절은 놀림에 적절히 반응하는 것이나 비갈 등 상황에 타협하기와 같은 능력을 측정합니다.
SSRS 검사 결과 신규아동과 기존아동 모두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는데, 그 중 협력성 영역은 신규 아동 15.43점에서 18.25점, 기존아동은 16.6점에서 19.94점으로 가장 높게 변화된 것으로 산출되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신규아동은 주장성과 공감영역에서도 그 다음으로 높게 변화된 점을 보았을때 사업을 신규 참여하여 변화도가 높았던 것으로 사료됩니다. 반면 자기조절 영역은 신규아동과 기존아동 모두 큰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SSRS 검사 결과 저고학년 기준으로 보았을때도 모두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고, 그 중 고학년 협력성 영역이 16.15점에서 19.28점으로 가장 높았고, 저학년은 주장성 영역이 14.1점에서 17.1점, 공감 영역이 15.9점에서 18.9점으로 변화됨을 알 수 있었습니다.
BASA 검사란 아동의 읽기, 수학, 쓰기 기초학습능력 수행과 발달수준을 종합적으로 평가함으로써 기초학습 문제를 진단하고 선별하는 검사입니다. 본 검사를 통해 기초학습 부진, 난독증, 경계선 지능,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을 위한 교육적 진단평가를 할 수 있습니다.
T점수는 평균이 50이고 표준편차 10인 점수체계입니다. 40-60점 사이는 전체의 약 68%를 뜻하며, 40미만이면 또래보다 낮음, 40~60 사이는 보통, 60 이상이면 또래보다 높음을 의미합니다.
BASA 검사 결과 읽기 유창성 영역이 기존 아동 37.61점에서 47.07점으로 가장 큰 폭으로 변화되었는데, 사전 검사 또래보다 낮음에서 보통 수준으로 향상된 것으로 알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쓰기 영역도 신규아동 40.92점에서 45.62점, 기존아동 43.10점에서 47.73점으로 그 다음으로 높게 변화됨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는 인지학습 프로그램 중 지속적으로 아동에게 도서를 지원하여 나타난 결과임을 알 수 있습니다. 다만 수학 영역에서 기존아동이 40.91점에서 37.9점으로 하향되었습니다.
BASA 검사 결과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는데 읽기 영역에서 저학년 40.33점에서 47.5점으로, 고학년 42.1점에서 55.4점으로 모두 가장 큰 폭으로 상향되었습니다. 특히 종합점수 부분에서도 또래보다 낮은 수준(40점 미만)이었다가 보통 수준(40점 이상)으로 향상되었습니다.
이처럼 2025년 나답게 크는 아이 지원 사업이 아동의 다양한 변화를 이끌어 내기 위해 알찬 프로그램으로 진행하겠습니다.
많은 관심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