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언론이 "한국이 시진핑(习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국빈 방문을 맞아 기존의 원칙을 깨며 환대했다"고 보도했다.
신화(新华)통신, 중국뉴스넷(中国新闻网) 등 중국 주요 언론은 "시진핑 주석이 3일 서울에 도착해 국빈 방문 일정을 시작했다"며 "시 주석이 부인 펑리위안(彭丽媛)과 함께 전용기에서 나오자 축포 21발을 터뜨렸으며 윤병세 외교부 장관 등이 공항에 나와 마중했다"고 속보로 전했다.
또한 신화넷, 인민넷(人民网) 등 언론은 자체 홈페이지에 '시진핑 방한' 특별페이지를 만들고 관련 소식을 실시간으로 전하고 있다.
중국 언론은 시 주석의 방한에 대한 한국 내 분위기를 주목했다. 언론은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해 미국을 방문하기 전, 청와대에서는 '퍼스트레이디를 세우지 않겠다'는 원칙을 정했으나 시 주석과 펑리위안이 함께 한국을 방문함에 따라 청와대는 이같은 원칙을 깨고 조윤선 정무수석을 퍼스트레이디 대리인으로 세웠다"고 전했다.
일부 언론은 조윤선 정무수석의 상세이력과 전세계의 퍼스트레이디 대리인 사례를 상세히 전하기도 했다.
중국뉴스넷은 "지난 2일 주한중국대사관에서 벌어진 반일시위에서 시위에 참여한 시민들이 시진핑의 방한을 환영하는 거리 행사를 벌였다"며 당시 현장 사진을 게재했다. 게재된 현장사진에는 우리 시민들이 양국 국기에 '방한 환영'이라고 적힌 플래카드를 들고 있다. 중국뉴스넷은 "시민들은 이날 시위에서 '댜오위다오는 중국 땅(钓鱼岛是中国的土地)'이라고 적힌 플래카드를 들기도 했다"고 전했다.
중국 언론은 이외에도 "시 주석이 한국 방문에 앞서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등 신문에 '순풍에 돛이 돛을 달자'라는 제목의 특별기고문을 게재했다"고 전했다.
7웧 3일 한국에 도착한 시진핑 주석은 박근혜 대통령과 회담을 가진 후 협정서명 체결식에 참석하고 박근혜 대통령과 공동 기자회견을 가졌으며 기자회견 후에는 국빈만찬에 참석하였다. 4일에는 국회의장•국무총리 접견, 서울대 강연, 한중 비즈니스포럼 참석 등 일정을 소화하고 4일 오후6시 40분께 출국했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人民日報)는 이날 '중국의 꿈과 한국의 꿈이 손을 잡고 함께 나아간다'는 제목의 글에서 "오늘날 중한관계는 역사상 가장 좋은 시기에 와 있다"며 "이런 배경에서 이뤄지는 시 주석의 방한은 전략적 협력 동반자관계를 한층 심화하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중국의 유력매체 중 하나인 경화시보(京華時報)는 이날 4면 전체를 할애해 시 주석의 서울대 강연, 박준영 전 전남지사 특별초청, 한중 경제포럼 등의 일정을 상세히 소개했다.특히 이 신문은 양국 교역액이 이미 3천억 달러에 육박한 점을 거론한 뒤 "양국 정상의 회담은 중한자유무역협정의 완성에 도움을 줄 것이며 이는 양국의 경제협력을 고속차도에 올려놓고 지역의 다자무역협정을 추동할뿐 아니라 지역과 세계경제에 활력소가 될 것"이라면서 "이는 세계가 주목하는 부분"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경화시보는 이 기사에 대해 '시 주석 오늘 방한, (한중) 자유무역협정 끝내기 가능성'이라는 제목을 달았다.
신경보(新京報) 역시 두 개 지면 전체를 '시 주석 방한' 특집으로 구성하고 "정냉경열(政冷經熱·경제관계는 밀접하지만 정치관계는 소원하다는 뜻)과 작별하고 함께 동북아지역 안정의 주춧돌을 놓을 것이며 일본 역사문제에서도 협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신경보는 또 "한국의 국빈만찬에서는 김치와 불고기가 빠지지 않는다"고 소개하며 국빈만찬에서 어떤 음식이 나올지도 관심거리라고 전했다.
한국에 대한 '진실'과 '오해' 등도 몇 가지 소개했다.
예컨대 '한국 여성들은 모두 성형수술을 하는가'라는 질문을 던진 뒤 "한국에서 성형수술을 하는 여성이 적지 않다", "대학생 사이에서는 이미 매우 자연스러운 것이다", "모든 여성이 성형수술을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한국사정에 밝은 중국인들의 의견을 제시했다.
인민일보 자매지 환구시보(環球時報)는 "(한중 정상이 이번 만남에서) 한중관계의 새로운 이정표를 수립하게 될 것"이라는 석동연 동북아역사재단 사무총장의 인터뷰 내용을 게재했다.
석 사무총장은 일본 과거사에 대한 양국의 대응방안과 관련한 질문에 "군 위안부 문제는 여성 명예와 존엄이라는 보편적 인권이 침해당한 문제로, 가해자인 일본 대 피해국인 한국과 중국 등의 문제가 아니라 일본 대 국제사회의 문제"고 대답했다.
그는 또 "한 외신이 제기한 '한국은 중국을 가까이 한 부작용으로 중국의 위성국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를 어떻게 보느냐"는 질문에는 "동아시아에서의 주요국가 간 역학관계, 시대정신이나 한국의 국력, 외교 역량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황당무계한 얘기"이라고 일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