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물의 종류 | 식물의 종수 50여만 종이며, 한국 식물 종 수는 5,517종,그 중 작물의 종수 3,000여종이며, 식용작물은 1,070종이며 주요 작물은 300여 종이다. 대표적인 작물을 소개하면 |
식량작물이란 | 미곡(벼,쌀) : 쌀( 한,중,일 아시아) |
맥류 :보리, 밀, 호밀, 귀리 (유럽, 미국, 남미) |
잡곡 : 옥수수, 조, 기장, 수수, 메밀, 피,율무 |
두류 : 콩, 땅콩, 녹두, 강낭콩, 완두, 동부 |
서류: 감자, 고구마 |
산업작물 (공예작물,특용작물) | 유료작물: 참깨, 들깨, 아주까리, 유채, 해바라기 |
섬유작물:목화, 삼, 모시풀, 아마, 어저귀, 왕골, 수세미,닥나무, 고리버들,골풀 |
전분작물 : 벼, 보리, 밀, 옥수수, 수수, 고구마, 감자, 마 |
기호료작물 : 차나무, 담배, 호프, 커피, 카카오 |
당료작물 : 사탕수수, 사탕무, 단수수, 스테비아 |
약료(약용)작물 : 인삼, 감국, 감초, 도라지(길경), 더덕(양유),당귀,땅두릅(독활) 등 |
염료작물 : 쪽, 잇꽃(홍화), 치자 |
도료작물 : 옻나무 |
사료,녹비작물 | 콩과사료작물 : 자주개자리,토끼풀,스위트클로버,벌노랑이,칡 등 |
벼과사료 : 옥수수,귀리,호밀,수수,조,수단그라스 등 |
기타 : 고구마,감자,유채,해바라기,호박,순무,돼지감자,컴프리,케일 등 |
콩과 녹비작물 : 콩,자운영,털칼퀴덩굴(hairy vetch) |
벼과 녹비작물 : 귀리,호밀,신기호밀,진주조 등 |
원예작물 | 과수 작물 : 사과,배,복숭아,오얏,살구,포도,귤,감 등 |
채소 작물 : 오이,토마토,무,배추,고추,상추,파,마늘,생강,참외,수박,딸기 등 |
방향유료작물 : 장미,아카시아,라일락(수수꽃다리),카네이션,바닐라,박하,창포 등 |
향신료작물 : 생강,마늘,파,호프,박하잎,고추냉이,후추,겨자,차즈기,쑥 등 |
화훼 및 조경 : 국화,다알리아,난초,철쭉,동백,단풍나무 등 |
과수작물 | 1)온대 교목성 과수 (낙엽성) 0 인과류(仁果類,) 사과나무, 배나무, 모과나무 등 0 핵과류(核果類,) 복숭아나무, 자두나무, 살구나무, 양양두나무, 매실나무 등 0 곡과류(穀果類,)밤나무 호두나무, 아몬드, 개암나무, pecan 등 - 기타 : 포도, 감나무, 대추나무, 석류나무, 무화과나무 등 |
(2) 온대 관목성 과수 0 소과류: 나무딸기, blackberry, elderberry, blueberry, cranberry, 0 만성과수 : 포도나무, 머루나무, 키위, 등 0 장과류(漿果類,포도나무, 무화과나무, 딸기류 등( |
3) 온대 상록성 과수 0 감귤류 : 온주밀감, 레몬, 자몽(grapefruit), 유자나무 탱자나무, 금감류 등 0 기타 : 비파나무, 올리브 등 |
(4) 열대 과수 (상록성) 0 banana, pineapple, mango, avocado, papapya, durian, mangostin, passionfruit 등 |
채소작물 | 용도와 식물학적 분류를 조합한 분류 - 녹엽채 및 익혀먹는 채소: 시금치, 케일, 근대 등 - 샐러드류(salad crops) : 셀러리, 상추, 꽃상추 등 - 양배추류(cole crops) : 양배추, 방울양배추, 꽃양배추, 배추 등 - 직근류(root cops) : 비트, 당근, 순무, 파스닙 등 - 인경류(bulb) : 양파, 마늘, 쪽파, 대파 등 - 두류(pulse) : 완두, 강낭콩, 풋콩 등 - 오이류(cucurbits) : 오이, 호박, 수박, 멜론 등 - 가지과 과채(sloanaceous fruits) : 토마토, 가지, 고추 등 - 덩이줄기(괴경, tuber)) : 감자 - 덩이뿌리(괴근, tuberous root) : 고구마 - 화본과 : 단옥수수(sweetcorn |
0 먹는 부분에 의한 분류 ⚫ 근채류(root) -비대직근류 : 당근, 순무, beet 등 -비대측근류(enlarged lateral root) : 고구마, 카사바 등 ⚫ 줄기채소류 - 지상부 이용(비전분질) : 아스파라거스 등 - 지하부(전분질) : 감자, 마, 토란, 뚱딴지(돼지감자) 등 ⚫ 엽채류 - 양파류(잎의 기부 이용) : 양파, 마늘 등 -넓은 잎류(broad-leaved plants) -샐러드용 : 상추, 양배추, 배추, 셀러리, chicory, 꽃상추 - 익혀 먹는 엽채류 : 시금치, 근대, 배추, 아욱, 케일등 - 미숙한 꽃싹 : 꽃양배추(cauliflower), artichok
⚫ 과채류 -미숙과채 : 완두, 오이, 풋강낭콩, 잠두, 단옥수수, 가지, 오그라, 페포호박 -숙과채 오이류 : 호박류, 동아, 수박, 머스크멜론 등 /가지과 과채 : 토마토, 고추, 식용꽈리 ⚫ 생육온도에 따른 분류 -고온채소 : 수박, 참외, 가지, 고추, 토마토 등 -저온채소 : 무, 양파, 파, 미나리, 시금치 등 ⚫ 생육기간에 따른 분류 -일년생채소 : 가지, 토마토, 오이, 호박 등 -다년생채소 : 미나리, 딸기, 연근, 우엉, 아스파라거스 등 ⚫ 산채 류 (480종) -경엽채 : 353종(74%)(어린 순 이용 238종) -근경이용 : 21종(4.4%) -종자 및 과실이용 : 90종(19%) -꽃 부위 이용 : 1% -주요 산채 : 취나물, 달래, 두릅, 고들빼기, 씀바귀, 고사리, 냉이, 도라지, 더덕
|
향신료작물 | 0 향신채(조미채소, herb, condiment vegetales) ◉- herb 와 spice 의 구분 ♣ herb : 온대지방에서 유래, 초본류(일년생 또는 다년생 잎 이용) • spice : 열대지방 유래, 향이 나는 건조된 껍질, 뿌리, 종자, 꽃 이용 ♣ 이용목적에 따른 분류 • 신경안정용 : 박하, 카모밀, 라벤더(lavender) • 불면치료용 : 서양야생박하, 마죠람(marjoram), 홒(hop), 아니스(anise) • 긴장완화용 : 박하, 베르가몬 • 진정작용용 : 바실, 베르가몬, 카모밀, 백리향(thyme), 아니스(anise) • 차로 이용 : 카모마일, 레몬밤, 세이지, 라벤더, 박하류, 백리향, 로즈마리, • 목욕용 : 장미, 박하, 로즈매리, 라벤더, 레몬밤, 마죠람, 백리향, 컴푸리 • 소스용 : lovage, coriander(고수), chevil, sage, thyme, tarragon, • 커리 원료 : caraway, coriander • 정유성분 이용: 바실유, 페널유, 박하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