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듬(rhythm) 또는 음절의 차이(덩어리 현상)
가장 효과적인 발음교정은 다른 사람이 찾아낸 발음규칙을 외워서 완성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직접 열심히 발음을 따라 읽으면서 그 차이를 느끼고 규칙을 스스로 발견해야 한다는 것이다.
->들으면서 따라 읽고 외워라
Do you have a hearing problem?
Yes, I have a problem. I can not hear English! Please, I need your help.
I'm a doctor. You don't have any hearing problem but listening problem.
You've just wasted my appointment time.
한국인의 귀는 멀쩡하지만 알고 있는 영어의 단어들을 듣지 못한다. 이것은 hearing이 되지 않는 것이고, 발음교정을 통해 이것이 되지 않으면 절대 listening도 될 수가 없다. 직독직해가 되어야 listening이 된다.
멀티미디어를 통해 보여지는 들려지는 원어민의 발음을 가능한 많이 효과적으로 흉내 내어 따라읽게 도와주는 코치, 트레이너가 되어야 한다.
받어적기(딕테이션) - 영어초보자에게 너무나 필수적인 훈력
목적
1) 청취훈련 시 집중력 향상
2) 안들리는 부분을 정확히 찾기 쉬움
-> 안 들리는 부분 발견 -> 더 집중적으로 발음교정 !!!!!!!!!!!!
문제점을 파악하고 교정하기 위해 필요
3) 적으면서 문장을 어느 정도 외우게 됨.
-> 문장과 그 소리에 어느 정도 친해질 수 있는 기회 제공.
But, 어느 정도 영어의 소리가 들리는 시점, 즉 3,500단어 정도는 어느 정도 받아적을 수 있는 시점부터 딕테이션으 무의미해진다.
딕테이션은 뉴스나, 광고에 나오는 것과 같은 정확한 발음을 받아적어야 한다. 영화나 시트콤은 딕테이션을 하지 않고 오랄테이션(oraltation), 즉 입으로 받아적기를 하도록 한다. 대사가 들리지 않더라도 여러 번 따라 읽고 나서 스크립트를 확인하는 훈련이다.
초보자는 반드시 뉴스와 광고를 딕테이션 하라.
하루 30분 이상 미국 시트콤과 뉴스를 따라 읽어라.
따라읽기 훈련요령
딕테이션
오랄테이션(입으로 소리내어 적는 것, 영화나 시트콤과 같은 대화형의 문장 훈련시)
을 통해 안들리는 부분이 흉내내며 따라읽기와 문장암기를 통해 들리게 된다.
따라읽기는 모두 다 에코리딩과 쉐도우리딩, 쉐도우 액팅으로 이루어진다.
에코리딩
긴문장은 적당히 나눠서 메아리 치듯이 여러 번 반복해서 따라읽으며 혀의 위치와 입 모양, 리듬 등 발음을 연습하고 문장을 외우는데 효과적인 읽기훈련 방식.
쉐도우리딩(쉐도우 액팅) 한 문장 이상 또는 긴 문장이나 한 단락, 토픽 전체를 따라읽을 때 쓰는 방식, 마치 그림자처럼 대략 한 박자, 한 리듬 느리게 뒤쫓아가면서 읽는다. 쉐도우 리딩은 뉴스 같은 것을 따라 읽을 때 쓰는 방식이고, 쉐도우 액팅은 영화나 드라나와 같이 연기가 필요할 때 쓰는 방식이다. 리듬을 느끼고 전체 내용을 파악하는데 효과적이 훈련으로, 반드시 리듬을 느끼면서 한 박자 늦게 쫗아가도록 한다.
소리를 가능한 똑같이 흉내 내다.
가능한 비슷하게 흉내낸다. 리듬!!!
혀의 위치, 입 모양, 리듬, 강양, 억양, 목소리, 몸의 움직임까지 흉내낸다. 마치 성대모사나 모창, 아니 연기(acting)과 같음.
가능한 overaction 하면서 크게 따라 읽는다. 제스처까지 흉내낸다. 입으로만 읽는 것이 아니라 온 몸으로 읽는다고 생각하면 된다. 손과 발 몸으로 체스처를 해가며 읽는다. 그래야 리듬을 타기 쉬울 것이다. 마치 자기가 그 배우인 듯, 아나운서인 듯, 목소리는 가능한 크게 내려고 노력.
절대로 절대로 스크립트를 보지 않는다. 어떤 배우도 대본을 보며 연기하지 않는다. 스크립트 없이 소리로만 듣고 흉내내며 연습해야 한다.
1)
뉴스 - 문장별로 5-10회 반복 청취 들리는 단어 다적기 안들리는 부분 찾기 위해!
최대 20회 이상 듣지 말자.
영화나 시트콤과 같은 대화형의 영어는 딕테이션을 하지 않는다.
2)
스펠링 무시 자기만 알 수 있는 속기로 대충 아느것은 패스무방, 가능한 앞에서부터 수서대로 적고 들리지 않는 부분은 빈 칸
-> 안들리는 부분 찾기
3)
대명사, 지명, 사람 이름들은 대충 약자로 적거나 넘어가도 무방.
4)
계속들어도 안들리는 부분은 들리는 소리 그대로 적는다. 폴리쎄이로 들리면 polisey라고 적는다. 원래 police say 인데 이러한 실수와 수정단계를 여러 번 거쳐 나중에 자연스럽게 청취 가능.
5)
틀린 부분을 빨간색 펜으로 수정 -> 이 부분을 위주로 집중해서 따라 읽고 훈련
문장암기 요령
입과 머리에 소리, 의미로 남겨져야 한다.
문장이 입에 리듬, 덩어리로 익어야 한다. 그래서 자연스럽게 말로 나온다.
스크립트는 키판과 같다 빨리 배우기 위해 처음에 필요하지만 나중엔 절대 보지 않도록 해야 한다.
훈련한 내용은 반드시 다시 확인해야 한다.
뉴스는 초반에 많은 분량을 하기 보다는 완벽히 익혀나가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에코잉, 쉐도우리딩하면서 익히기 처음 시도시 2분정도 뉴스 토픽 추천
뉴스가 이해되고 문장이 외워지면 이를 종이에 요약해서 적어보자. 이를 다시 친구에게 말하듯이 전체 내용을 요약해서 말해본다.
혼자라도 꼭!!!!! 그리고 이를 녹음해서 들어보면 그 효과는 극대화
No transcript! Just feel the rhythm!
들리지도 않는 소리를 무턱대고 외우라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안 들리는 부분을 스크립트를 보며 연습하고 그 후엔 스크립트를 보지 말고 "리든(덩어리)"를 느끼며 따라읽어야 한다.
배우나 아나운서의 동작,몸의 움직임을 자세히 보고 따라하면 저절로 리듬을 탈 수 있을 것이다.
눈썹이나 어깨나 손을 심하게 움직이면서 말 해라.
Acting 을 꼭 해야하는 이유 -> Secondhand experience 간접경험
배우들도 실제로 그 삶을 사는 것이 아니라 연기(acting)를 하고 있는 것이다!
문장암기 -> 문장의 구조 암기
어떤 내용인지 어떤상황에서 하는 표현인지 파악!!!
흉내내며 연기, 실제상황처럼 연극하듯이
자신이 직접 내용을 요약.정리해 말해보고
외운문장은 같은 구조를 활용해서 다른 예문을 만들어 이를 말해보는 연습
되도록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다른예문을 많이 같이 외워주면 더욱 좋다.
영영사전
3,500단어 정도면 이 세상에 설명하지 못할 것이 없다.
이 3,500단어를 익히는 데 가장 좋은 readig 교재가 바로 영영사전이다.
즉, 사전의 역할 보다 "영어어순 적응훈력" 직독직해 훈련에 가장 좋은 material.
-> 내게 맞는 영영사전 (보통 5 단어를 찾아서 3개 정도는 이해가 되어야 한다. 좋은 예문이 많을수록 좋은사전)
영화, 시트콤
영화 전체를 한 번에 다 보기보다, 한 문장씩 끊어서 따라 읽으며 체계적으로 발음교정을 하고, 꾸준히 문장암기.
100번이 아닌 10번만을 보더라도 그 영화의 대사를 좋은 발음으로 외울 수 있기만 하면 되는 것.
쉬운 애니메이션으로 처음 기본기 다지기, 프렌즈
전체내용 한 두번 자막없이 보면서 이해해본다. -> 전체 내용 한 두번 영어자막보면서 본다 -> 첫 문장부터 따라 읽으며 문장암기 훈련
->영영사전 이용해 모르는 단어 찾으며 해석 -> 쉽게 들리거나 외워지는 문장은 그냥 넘어가고, 안들리고 안외워지는 문장을 더 집중해서 훈련하면서 외운다. -> 다시 영화 전체를 2-3회 정도 보면서 안들리는 부분을 집중해서 연습. 점점 그 속도가 빨라질것이다.
-> 어느정도 문장이 외워지면 쉐도우액킹 -> 챕터별로 내용 요약 -> 요약한 내용을 친구에게 말하듯이 말해본다.
팝송
가사보며 의미 파악-> 듣고 다니면서 발음 신경쓰며 가능한 많이 부르며 외원다. 특히 여의 위치와 입 모양 신경. -> 한 소절씩 듣고 일시정지 시킨 후 말하듯이 각 문장을 외워본다.
뉴스
CNN,AP뉴스 다소 보수적인 방송, 어렵고 격식 있는 단어나 표현 주로사용
CBS, ABC, NBC 중간정도
Fox 뉴스 미국젊은이에게 인기가 많은 편 주로 쉬운 단어와 표현을 이용 재밌있고 신나게 뉴스 보도 노력
연설문
대부분 발음이 좋고 문장이 좋아서 거의 다 좋다고 볼 수 있지만 마틴 루터킹 비추
스티브잡스 대학 졸업식 축사.
회화교재
Grammar in use, Inertchange, English Firsthand, Side by side
직독직해
문장을 외우기보다 책을 많이 읽어야 한다. 반드시 소리내서 읽던지, 되도록 소리를 들으며 따라읽어라. 이렇게 처음부터 끝까지 쉼이 없어야 하고, 반드시 여러번 읽어라.
3-4번 읽고 모르는 단어 정리 -> 다시 일기
Dvd나 다큐멘터리를 많이 본다. 처음 2-3번 자막없이 -> 자막 있게 2-3회 -> 단어정리 -> 흉내내서 읽기2-3회
신문 잡지도 같은 방법
웹서핑하면 많은 영문 읽어라.
이렇게 죽을때까지 해야 된다.
좋은 듣기와 읽기 (input) 가 충분히 있었으르로 좋은 말하기와 쓰기 (output)가 가능할 수 있다.
ABC,NBC,CBS, Night Line, 20/20, 60 minutes와 같은 좋은 시사프로그램을 많이 외운 사람.
미국인 교수를 설득시킬 수 있을 만한 논리와 뛰어나 영어실력을 가질 수 있었던 것.
Ted, 연설문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는 동시에 다 하는 것
input + 1
자신의 능력에 비해 좀 버거운 것을 가지고 훈련해야 실력도 늘 수 있다.
운동과 같은 원리. 힘들게 해야 실력도 빨리 늘언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