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1. 금슬지락(琴瑟之樂)
뜻 : 거문고와 큰 거문고 상이의 조화로운 소리. 부부사이의 화목한 즐거움을 일컫는 말. 줄여서 금슬이라고도 함.
한자풀이
琴 (금) 거문고
瑟 (슬) 큰 거문고
之 (지) 어조사
樂 (락) 즐겁다
152. 천생연분(天生緣分)
뜻 : 하늘이 맺어준 인연(연분)
한자풀이
天 (천) 하늘
生 (생) 나다
緣 (연) 인연
分 (분) 나누다
153. 원앙금침(鴛鴦衾枕)
뜻 : 원앙을 수놓은 이불과 베개. 부부의 신방을 상징하는 소재로 자주 쓰임
한자풀이
鴛 (원) 원앙
鴦 (앙) 원앙
衾 (금) 이불
枕 (침) 베개
154. 연모지정(戀慕之情)
뜻 : 이성을 그리워하고 사모하는 정
한자풀이
戀 (연) 사모하다
慕 (모) 그리워하다
之 (지) 어조사
情 (정) 정
155. 금슬부조(琴瑟不調)
뜻 : 서로 사이가 좋지 않은 부부를 일컫는 말
한자풀이
琴 (금) 거문고
瑟 (슬) 큰 거문고
不 (부) 아니다
調 (조) 고르다
156. 수어지교(水魚之交) 68쪽
뜻 : 물이 없으면 살 수 없는 물고기와 물의 관계라는 뜻. 아주 친밀하여 떨어질 수 없는 사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한자풀이
水 (수) 물
魚 (어) 물고기
之 (지) 어조사
交 (교) 사귀다
157. 문경지교(刎頸之交)
뜻 : 서로를 위해 목이 잘린다 해도 후회하지 않을 정도의 사이라는 뜻으로 생사를 같이 할 수 있는 아주 가까운 사이.
한자풀이
刎 (문) 목베다
頸 (경) 목
之 (지) 어조사
交 (교) 사귀다
158. 간담상조(肝膽相照)
뜻 : 간과 쓸개를 서로에게 내보인다는 뜻으로 서로 마음을 터놓고 친밀히 사귀는 것을 말함.
한자풀이
肝 (간) 간
膽 (담) 쓸개
相 (상) 서로
照 (조) 비치다
159. 막역지우(莫逆之友)
뜻 : 서로 거스름이 없는 친구라는 뜻으로, 허물이 없이 아주 친한 친구를 이르는 말
유래 : 본래 <장자>에 나는 말로 참된 도를 깨달아 사물에 얽매이지 않는 마음을 가진 사람 사이의 교류
한자풀이
莫 (막) 없다
逆 (역) 거스르다
之 (지) 어조사
友 (우) 벗
160. 단금지교(斷金之交)
뜻 : 쇠라도 자를 만큼 강한 교분이라는 뜻으로, 매우 두터운 우정을 이르는 말
한자풀이
斷 (담) 끊다
金 (금) 쇠
之 (지) 어조사
交 (교) 사귀다
161. 금석지교(金石之交)
뜻 : 쇠와 돌처럼 단단한 사귐
한자풀이
金 (금) 쇠
石 (석) 돌
之 (지) 어조사
交 (교) 사귀다
162. 백아절현(伯牙絶絃)
뜻 : 백아가 거문고 줄을 끊었다는 뜻으로, 자기를 알아주는 절친한 벗의 죽음을 슬퍼함
유래 : 중국의 전국 시대에 거문고 연주자 백아가 자신의 소리를 가장 잘 알아 주던종자기의 죽음을 슬퍼하며 거문고 줄을 끊고 다시는 연주를 하지 않았다는 고사에서 유래
한자풀이
伯 (백) 맏
牙 (아) 어금니
絶 (절) 끊다
絃 (현) 거문고
163. 금란지교(金蘭之交)
뜻 : 단단하기가 황금과 같고 아름답기가 난초 향기와 같은 사귐이라는 뜻. 두사람 간에 서로 마음이 맞고 교분이 두터워서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해 나갈 만큼 우정이 깊은 사귐을 뜻함.
한자풀이
金 (금) 쇠
蘭 (란) 난초
之 (지) 어조사
交 (교) 사귀다
164. 지란지교(芝蘭之交)
뜻 : 벗 사이의 사귐이 맑고도 고귀함을 이르는 말. 벗을 사귈 때 지초와 난초처럼 향기롭고 맑은 사귐을 가지라는 뜻.
유래 : <명심보감> ‘교우편’ 나오는 구절에서 유래. 공자는 “선한 사람과 함께 있으면 지초와 난초가 잇는 방으로 들어가는 것과 같아서 오래 되면 향기를 맡지 못하니, 그 향기에 동화되기 때문이다.”라고 말함.
한자풀이
芝 (지) 지초
蘭 (란) 난초
之 (지) 어조사
交 (교) 사귀다
165. 호형호제(呼兄呼弟)
뜻 : 서로 형이니 아우니 하고 부른다는 뜻으로, 매우 가까운 친구로 지냄.
한자풀이
呼 (호) 부르다
兄 (형) 형
呼 (호) 부르다
弟 (제) 아우
166. 붕우유신(朋友有信)
뜻 : 벗과 벗 사이에는 믿음이 있어야 함. 오륜의 하나
한자풀이
朋 (붕)
友 (우)
有 (유)
信 (신)
167. 교우이신(交友以信)
뜻 : 벗을 사귈 때에는 믿음으로 해야 함. 세속오게의 하나
한자풀이
交 (교) 사귀다
友 (우) 벗
以 (이) 써
信 (신) 믿다
168. 익자삼우(益者三友)
뜻 : 사귐에 있어 자기에게 유익한 세 부류의 벗이라는 뜻으로, 정직한 사람, 친구의 도리를 지키는 사람, 지식이 있는 사람을 이르는 말
한자풀이
益 (익) 더하다
者 (자) 사람
三 (삼) 석
友 (우) 벗
169. 빙탄지간(氷炭之間)
뜻 : 얼음과 숯 사이라는 뜻으로 둘이 서로 어긋나 맞지 않는 사이.
유래 : 중국의 시인 굴원이 간신들의 모함을 받아 귀양을 가며 자신과 간신들을 얼음과 숯에 비유한 데서 유래
한자풀이
氷 (빙) 얼음
炭 (탄) 숯
之 (지) 어조사
間 (간) 사이
170. 견원지간(犬猿之間)
뜻 : 개와 원숭이의 사이처럼 몹시 사이가 나쁜 관계
한자풀이
犬 (견) 개
猿 (원) 원숭이
之 (지) 어조사
間 (간) 사이
171. 수화상극(水火相克)
뜻 : 물과 불과 같이 서로 미워하며 지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한자풀이
水 (수) 물
火 (화) 불
相 (상) 서로
克 (극) 이기다
172. 철천지한(徹天之恨)
뜻 : 하늘을 뚫을 만큼 마음속에 사무친 한
한자풀이
徹 (철) 뚫다
天 (천) 하늘
之 (지) 어조사
恨 (한) 한
173. 각골통한(刻骨痛恨)
뜻 : 뼈에 사무치도록 마음속 깊이 맺힌 원한.
한자풀이
刻 (각) 새기다
骨 (골) 뼈
痛 (통) 아프다
恨 (한) 한
174. 원철골수(怨徹骨髓)
뜻 : 원한이 골수 사무침.
한자풀이
怨 (원) 원망하다
徹 (철) 뚫다
骨 (골) 뼈
髓 (수) 골수
175. 상전벽해(桑田碧海)
뜻 : ‘뽕나무 밭이 푸른 바다가 되었다.‘ 라는 뜻으로 세상이 몰라볼 정도로 바뀐 것. 세상의 많은 것이 매우 변해버린 것을 의미함.
한자풀이
桑 (상) 뽕나무
田 (전) 밭
碧 (벽) 푸르다
海 (해) 바다
176. 환골탈태(換骨奪胎)
뜻 : 옛사람이나 타인의 글에서 그 형식이나 내용을 모방하여 자기의 작품으로 꾸미는 일 .
본래 환골은 옛사람의 시와 글을 본떠서 어구를 만드는 것이고,
탈태는 옛 시의 뜻을 본떠서 다르게 짓는 것을 의미했다.
한자풀이
換 (환) 바꾸다
骨 (골) 뼈
奪 (탈) 빼앗다
胎 (퇴) 아이 배다
177. 고진감래(苦盡甘來)
뜻 : 쓴 것이 다하면 단 것이 온다는 뜻으로, 고생 끝에 낙이 온다는 말.
한자풀이
苦 (고) 쓰다
盡 (진) 다하다
甘 (감) 달다
來 (래) 오다
178. 흥진비래(興盡悲來)
뜻 : 즐거운 일이 다하면 슬픈일이 가가온다는 뜻으로, 세상일이 순환함을 가리키는 말.
세상일에 너무 자만하거나 낙담하기 말라는 뜻.
한자풀이
興 (흥) 흥하다
盡 (진) 다하다
悲 (비) 슬프다
來 (래) 오다
179. 구태의연(舊態依然)
뜻 : 아무 변화 없이 옛 모습 그대로임을 뜻함.
한자풀이
舊 (구) 옛
態 (태) 모습
依 (의) 의지하다
然 (연) 그러하다
180. 오월동주(吳越同舟)
뜻 : 서로 미워하면서도 공통의 어려움이나 이해에 대하여는 협력해나가는 경우
유래 : [손자] ‘구지편’에 “대저 오나라 사람과 월나라 사람은 서로 미워한다. 그러나 그들이 같은 배를 타고 가다가 바람을 만나게 되면 서로 돕기를 좌우의 손이 함께 협력하듯이 한다.” 라고 한데서 비롯하였다.
한자풀이
吳 (오) 나라이름 오나라
越 (월) 나라이름 월나라
同 (동) 같다
舟 (주) 배
181. 설상가상(雪上加霜)
뜻 : 눈 위에 서리가 덮인 격이라는 뜻으로, 어려운 일이 연거푸 일어남을 비유하는 말.
한자풀이
雪 (설) 눈
上 (상) 위
加 (가) 더하다
霜 (상) 서리
182. 전호후랑(前虎後狼)
뜻 : 앞문에서 호랑이를 막으려니까 뒷문으로 이리가 들어온다.는 뜻으로 재앙이 끝없이 닥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한자풀이
前 (전) 앞
虎 (호) 호랑이
後 (후) 뒤
狼 (랑) 이리
183. 錦上添花(금상첨화)
뜻 : 비단위에 꽃을 더하다는 뜻으로, 좋은 일에 또 좋은 일이 더하여 짐
한자풀이
錦 (금) 비단
上 (상) 위
添 (첨) 더하다
花 (화) 꽃
184. 日就月將(일취월장)
뜻 : 날마다 달마다 성장한다는 뜻으로, 학업이 날이 가고 달이 갈수록 나아감을 이름
한자풀이
日 (일) 날
就 (취) 이루다
月 (월) 달
將 (장) 장차
185. 漸入佳境(점입가경)
뜻 : 시간이 갈수록 더욱 뛰어나거나 들어갈수록 뛰어난 경치가 나타남. 또는 시간이 지날수록 하는 짓이나 몰골이 더욱 꼴불견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한자풀이
漸 (점) 점점
入 (입) 들어가다
佳 (가) 아름답다
境 (경) 경치
186. 山紫水明(산자수명)
뜻 : 산은 자줏빛이고 물은 맑다는 뜻으로, 경치가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
한자풀이
山 (산) 뫼
紫 (자) 자주색
水 (수) 물
明 (명) 밝다
187. 연하일휘 (煙霞日輝)
뜻 : 안개와 노을과 빛나는 햇살이라는 뜻으로 아름다운 자연 경치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한자풀이
煙 (연) 연기
霞 (하) 노을
日 (일) 해
輝 (휘) 빛나다
188. 淸風明月(청풍명월)
뜻 : 맑은 바람과 밝은 달이라는 뜻으로 아름다운 자연을 일컫는 말. 결백하고 온건한 성품을 나타내기도 함.
한자풀이
淸 (청) 맑다
風 (풍) 바람
明 (명) 밝다
月 (월) 달
189. 綠楊芳草(녹양방초)
뜻 : 푸른 버드나무와 향기로운 풀
한자풀이
綠 (녹) 푸르다
楊 (양) 버들
芳 (방) 꽃답다
草 (초) 풀
190. 만산홍엽(滿山紅葉)
뜻 : 단풍이 들어 온 산이 나뭇잎으로 붉게 물들어 있음.
한자풀이
滿 (만) 차다
山 (산) 뫼
紅 (홍) 붉다
葉 (엽) 잎사귀
191. 고색창연(古色蒼然)
뜻 : 오래 되어 옛날의 풀치가 저절로 드러남
한자풀이
古 (고) 옛
色 (색) 색
蒼 (창) 푸르다
然 (연) 그러하다
192. 심산유곡(深山幽谷)
뜻 : 깊은 산속의 그윽한 골짜기
한자풀이
深 (심) 깊다
山 (산) 뫼
幽 (유) 그윽하다
谷 (곡) 골짜기
193. 양춘가절(陽春佳節)
뜻 : 따뜻하고 좋은 봄철
한자풀이
陽 (양) 볕
春 (춘) 봄
佳 (가) 아름답다
節 (절) 절기
194. 만화방창 (萬化方暢)
뜻 : 온갖 생물이 좋은 계절을 만나 활짝 피어나눈 모습으로 봄의 생동감을 표현한 말
한자풀이
萬 (만) 일만
化 (화) 되다
方 (방) 방위
暢 (창) 펼치다
195. 녹음방초(綠陰芳草)
뜻 : 우거진 나무그늘과 꽃다운 풀로 여름날 경치를 표현할 때 사용
한자풀이
綠 (녹) 푸르다
陰 (음) 그늘
芳 (방) 꽃답다
草 (초) 풀
196. 천고마비(天高馬肥)
뜻 : 가을 하늘이 높으니 말이 살찐다는 뜻으로, 가을은 기후가 매우 좋은 계절임과 동시에 활동하기 좋은 계절임을 이르는 말
유래 : 중국 당나라 초시 두심언의 시에 “가을이 되니 변방의 말이 살찌는구나.”라는 구절에서 유래
한자풀이
天 (천) 하늘
高 (고) 높다
馬 (마) 말
肥 (비) 살찌다
197. 동빙한설(凍氷寒雪)
뜻 : 얼음이 얼고, 찬 눈이 내린다는 뜻으로 심한 추위를 이르는 말
한자풀이
凍 (동) 얼다
氷 (빙) 얼음
寒 (한) 차다
雪 (설) 눈
198. 엄동설한(嚴冬雪寒)
뜻 : 매서운 겨울의 심한 추위
한자풀이
嚴 (엄) 엄혹하다
冬 (동) 겨울
雪 (설) 눈
寒 (한) 차다
199. 세한고절(歲寒孤節)
뜻 : 대나무. 겨울에도 혼자 푸르른 존재. 절개와 지조를 지닌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한자풀이
歲 (세) 해
寒 (한) 차다
孤 (고) 외롭다
節 (절) 마다
200. 오상고절(傲霜孤節)
뜻 : 서릿발이 심한 추위 속에서도 굴하지 않고 홀로 꼿꼿하다는 뜻으로 충신이나 국화를 말함
한자풀이
傲 (오) 거만하다
霜 (상) 서리
孤 (고) 외롭다
節 (절) 마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