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차전놀이는 안동 일대에서 행하던 민속놀이다. 차전(車戰)이란 명칭은 속어로 동채(동태) 싸움이라고 불리며, 동채란 수레바퀴의 방언이다. 차전놀이는 1937년까지 연중행사로서 매년 음력 정월 대보름날 백사장이나 벌판에서 거행되다가 일제에 의하여 금지되었다가 광복 후 1958년 부활하였고 1969년 국가무형문화재 제24호로 지정되었다. 후삼국 시대 말기 안동에 권행(權幸)·김선평(金宣平)·장길(張吉)의 세 장군이 고려 왕건을 도와 견훤과 합전교(현 안동시 송현동)에서 싸울 때 큰나무를 묶어서 여러 사람이 어깨에 메고 진격하여 승리한 것을 기념하기 위하여 매년 정월 보름날을 기하여 나무 묶음(동채)을 메고 싸움하는 놀이를 하였다.
차전놀이는 동·서편으로 갈라서 하는데, 여기에 드는 동채는 20∼30척이 되는 단단한 나무 두 개를 같은 길이로 잘라 차 머리를 ×형으로 졸라맨다. 사다리처럼 생긴 동채 머리에 고삐를 매어 대장이 잡고 지휘한다. 동채꾼은 대장, 머리꾼, 동채꾼, 놀이꾼으로 이루어지는데 대체로 25~40세의 남자 500여 명이 동서로 갈리어 승부를 겨룬다. 동부의 대장을 부사(府使), 서부의 대장을 영장(營將)이라고 동채와 동채가 서로 맞닿게 싸운다. 승부는 상대방 동채 앞머리를 땅에 닿게 하거나, 상대방의 대장을 머리꾼 들이 땅에 떨어드리거나, 자기편 동채의 앞머리가 상대방의 앞머리보다 높이 올라가면 이긴다.
가을 지자체 축제는 몇 년 전까지는 민속축제가 많이 성행했으나, 최근엔 꽃이나 먹거리 축제가 대세를 이루는 것 같다. 세월이 흘러 민속을 이해하는 사람들의 대규모 동원이 어렵고, 예행 연습도 해야 하는 등의 어려움이 있어 민속축제가 줄어드는 원인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