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변 : '초점'이 맞습니다. (촛점 x )
우리말의 한자어에서는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지 않기 때문입니다. 우리말에서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으려면 우선 말의 구조가 합성어여야 하며, 합성어를 구성하는 말 가운데 적어도 하나가 순 우리말일 뿐만 아니라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야 하며,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소리 나거나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거나 뒷말의 첫소리인 모음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나야 합니다. 이러한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는, 그 밖의 경우에는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을 수 없습니다.
질문하신 '焦點'은 두 개의 한자로 이루어진 합성어이고,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고, [초쩜]처럼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소리 나므로 일상 언어생활에서 '촛점'과 같이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는 경우가 잦습니다. 그러나 이 말은 '焦', '點'이라는 한자로만 구성된 말입니다. 따라서 '초점'처럼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지 않아야 합니다. '代價', '效果'도 일상 언어생활에서 '댓가', '횻과' 등으로 적히는 경우가 잦은데 '초점'과 마찬가지 이유로 '대가', '효과' 등으로 적어야 합니다. 특히, '效果'의 경우에는 그 표준 발음이 [효꽈]가 아닌 [효과]라는 점도 유의하셔야 합니다.
그러나 여기에는 예외가 있습니다. 즉, 아래와 같이 두 음절로 된 몇몇 한자어의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예외는 이들 여섯 단어에 국한됩니다. 이들 여섯 단어에만 예외적으로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는 것은,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지 않으면 실제 발음과 너무 동떨어지기 때문입니다.
<한자어 중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는 예>
(예)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