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뜨물을 재활용하기 전 색깔이 검거나 푸르다면 쌀뜨물은 물론 씻은 쌀도 전부 버려야 한다.
쌀 씻은 물인 쌀뜨물엔 각종 영양소가 들어 있어 세수할 때, 요리할 때 등 다양한 곳에 재활용되곤 한다. 그러나 재활용하기 전 먼저 색깔을 확인해야 한다. 쌀뜨물이 검은색이나 푸른색을 띤다면, 쌀에 곰팡이가 핀 것으로 쌀뜨물은 물론 씻은 쌀도 전부 버려야 한다. 쌀 등 곡류에 피는 곰팡이에선 아플라톡신, 오크라 독신, 제랄레논 등 독소가 분비되기 때문이다. 곰팡이 독소는 쌀 내부에 생성되고, 열에 강해 깨끗이 씻거나 가열하는 것만으로는 없앨 수 없다. 아플라톡신은 간암을 유발하는 발암성 물질이며, 오크라톡신은 콩팥에 치명적인 손상을 줄 수 있다. 제랄레논은 생식기능 장애, 불임 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쌀에 곰팡이가 피지 않게 하려면 온도변화가 적은 곳에 두는 것이 좋다. 습도 60% 이하, 온도 10~15도 이하에서 보관하고, 주방이라 습기가 차기 쉽다면 보일러를 가동해 건조하거나 제습기로 습기를 제거하도록 한다. 다른 곡류나 콩류에도 곰팡이가 생기면 곰팡이 독소인 아플라톡신이 남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옥수수, 땅콩 등 껍질이 있는 식품은 껍질째 보관하고, 개봉한 견과류는 잘 밀봉하면 곰팡이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쌀을 고를 땐 포장지에 있는 투명 창으로 쌀알을 잘 확인해야 한다. 신선한 쌀일수록 부서지거나 새하얀 쌀보다 투명하고 광택이 나는 쌀이 많다. 품종, 등급, 단백질 함량, 생산지, 생산연도, 도정 일자 등을 살피는 것도 중요하다. 쌀은 정미 제조일을 꼭 확인 해야 됩니다 정미후 1개월 이상된 쌀은 구매하면 않 됩니다 최승규는 충청도 저의 고향 쌀을 선호합니다. 쌀에 찰기가 없다 있다는 크게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어떤 물을 먹고 자란 쌀(벼) 인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전답 부근에 제조공장 산재해 있다면? 땜 물을 이용 벼를 키운다면..? 일단 값보다 한 번 더 생각해 봅니다 쌀은 물속에서 쌀의 찰기는 땅의 기운을 반영합니다 진흙. 찰흙. 개흙. 등 자란 쌀은 밀도가 조밀하므로 같은 부피에 무게가 더 나갑니다 반해서 모래땅(사질토) 자란 쌀은 밀도가 덜 조밀하므로 같은 부피에 무게가 적게 나갑니다 우리 입맛은 찰진 쌀을 즐겨 하는 분들이 많은듯합니다 아시는 분들은 알겠지만 쌀의 종류에 따라 찰기 차이가 나기도 합니다 안남미는 허하다 아끼바리.동진벼.는 찰지다 쌀에서 지방을 얻는 시대는 벌써 지났으므로 내 입맛에 맞는 쌀을 찾는 게 중요하겠지요..? 저의 고향 5개 마을 벼를 도정하는 정미소 가 있습니다 주위에 저수지조차 없어 산에서 내려오는 물을 사용하고 가뭄이 들면 지하에 관정을 묻어 지하수로 벼를 키웁니다 한 점 오염수도 벼가 먹지 않고 생수만 먹고 자라는 벼(쌀 )입니다 가히 최고의 쌀이지만 세인들이 몰라주니 그 값은 보통 이하 수준으로 저렴해서 일석 3조 5조 혜택을 보는 것과 같습니다 저의 집에 사 사용하는 쌀 항아리입니다 20년 전쯤 도기 명장 회원께서 선물로 주신 쌀 항아리(20kg) 아직 사용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