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PA필터가 요즘은 여기저기 워낙 많이들어가다 보니 별것아닌것처럼 보일수도 있지만 사실은 대단한 넘이지요.
HEPA필터는 화생방 위협 모두에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생물위협(바이러스, 생독소), 방사능입자 에 우수한 효과와
심지어 액상 화학작용제(신경, 수포작용제)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단 액상 화학작용제(신경, 수포작용제)는 증발하기 때문에 잠깐만 효과가 있고 화학작용제 방호용으론 반드시 가스필터가 뒷받침되어야합니다.
추후 이부분에 대해 자세히 한번더 다룰 예정이지만 미국 NIOSH(산업안전보건국) 에서 간단하게 정리된 자료가 있어 한번 번역해 봤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135F63C5677E9D808)
-> "뿌려진 화학, 생물작용제 에어로졸은 주로 1~10um 의 범위에 있습니다.
그리고 HEPA는 이러한 크기 범위에서 99.9999% 이상의 여과효율을 가지고 있습니다. (필터에 손상이 없을때)
이러한 높은 여과효율은 대부분의 에어로졸 위협에 방호를 제공합니다.
화학작용제, 최루탄과 VX와 같은 낮은휘발성을 가진 신경작용제들은 입자필터(HEPA)를 통해 제거됩니다.
하지만 이러한 작용제들이라도 기체상태의 작용제들은 존재할수(통과할수) 있습니다.
생물 작용제와 방사성입자들은 HEPA필터를 통해 효과적으로 제거됩니다."
덧붙이자면
생독소는 단순한 물질이 아닌 복잡한 단백질로 가스필터가 아닌 입자필터(HEPA필터)를 통해 제거됩니다.
방사성입자도 0.5um 내외의 크기로 분포하며 가스필터가 아닌 입자필터를 통해 제거됩니다. ->세슘 스트론튬 우라늄 플루토늄 등등
더 간단히 말하면 생물, 방사능 작용제는 산업용방진마스크로도 여과가 됩니다.
단 방사성물질중 트리튬, 라돈, 제논등은 제거되지 않으며, 방사성요오드는 TEDA활성탄이 필요합니다.
첫댓글 라돈...
무서븐 넘이네요. 헤파필터도 마리 사놔야ㅜ하낭.
집에 그냥 공기청정기 무난한거 하나 두시면 좋고
헤파필터 아니더라도 1급 특급 방진마스크면 왠만한건 대응 가능하죠~
가스필터와 입자필터의 차이가 뭔가요
입자필터(방진필터)
입자상의 위협을 여과
부직포 형태의 필터가 사용되며 먼지, 생물작용제, 방사능낙진 등을 여과
HEPA필터가 여기에 해당됩니다.
가스필터(방독필터)
가스상의 위협을 여과
주로 첨착활성탄이 사용되며 가스상의 화학물질, 화학작용제, 방사성 요오드 등을 여과
요렇게 됩니다^^ 만들던 자료집에서 복 붙..
국내 청소기에 있는 헤파청소기는 미세먼지 내뿜더라구요.
독일산도... 그렇다 하더라고요 왜 그런진 모르겠네요 ;;
일반적인 헤파필터는 10마이크로가 한계 입니다. 그리고 더 고운 헤파필터는 공조기 같이 커다란 양, 부압발생기를 위한 기기용인데 그런건 일반 가정용으론 공기가 안통해요. 병원에서 무균실용 이나 수술장, 음압병동용 필터는 일반적인 가정에선 못씁니다. 시설용 입니다.
말씀하신 10마이크로미터급은 일반 먼지필터 이야기 아닐까요? 헤파필터는 성능이 낮은것이라 해도 기본 0.3um 로 테스트 하는것으로 아는데요..
공기청정기 스펙보시면 고성능 헤파필터도 많이 사용합니다.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15.12.23 13:47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15.12.23 13:58
삭제된 댓글 입니다.
@바라보라(서울) 오 멋지네요 생각만 했었던 내용인데.. 잘 완성되길 기대합니다^^
B1232S12B2 모터는 찾아보니 1w 급이네요
최소 10와트급은 되어야 하지않을까 생각됩니다. 공기청정기, 공조기 최소전력이 수십와트 급이더군요
@바라보라(서울) 기존 제품을 활용하는 방안도 있겠군요
그런데 전력이 커지면 또 정전시 문제.. 말씀하신 발전기가 있다면 괜찮겠지만요 저의 경우는 아파트라^^;
30w 쓰면 제가 가진 배터리로 1~2시간이 한계군요
잘 하셔서 성공하시길 빕니다 저도 언젠간 도전해보려 합니다~ EMP 방호쪽도 생각해보시면 좋을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