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당【看堂】
참선하는 사람들의 마음을 부여잡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
간당틀을 차려 놓고 입선(入禪)하고, 방선(放禪)하는 것을 말한다.
먼저, 높이 한 자 서너 치쯤 되는 네 기둥을 세우고, 이 기둥 사이에 새재비를 넣어서 길쭉한 입방형(入方形)이 되게 한다.
그리고 두 기둥 위에 따로 두 널빤지를 둘러 잘 흔들리게 한다.
여기에 가는 대가지 열 개를 다섯 개씩 한 끝을 얽어매어 둘로 만드는데, 이것을 '간당상' 또는 '선채[禪-]라고 한다.
입선(入禪)할 때 사미가 간당틀을 내려놓고 죽비 세 번을 치면, 입승이 죽비 세 번을 치고 주장자를 세운다.
사미가 간당살을 들어 초(初) 3통(統)을 치면, 입승은 주장자를 한 번 구른다.
그 다음에 사미가 중(中) 1통을 치면, 입승이 다시 주장자를 한 번 구른다.
나중에 사미가 후(後) 3통을 치고 간당살을 엇갈리게 괴어 놓고 나와서 세 번 절하고 죽비를 세 번 친다.
이것을 '입선(入禪)'이라고 한다.
이때부터 대중은 묵언하고 좌선하거나, 경(經)을 본다.
얼마 뒤에 방선(放禪)할 때가 되어 입승이 죽비를 세 번 치면, 사미는 나와서 간당살을 들어 3통을 친다.
그리고 죽비를 세 번 치면 입승도 죽비를 세 번 친다.
이것을 '방선(放禪)'이라고 한다.
이때부터 대중은 자리에서 일어나 자유로이 행동한다.
간시궐【乾屎橛】
흔히 사용되는 화두(話頭)가운데 하나.
재래식 변소를 젓는 막대나무, 혹은 분뇨가 말라붙어 있는 나무막대기라고도 한다.
어떤 승려가 운문(雲門, ?-949)에게 “무엇이 부처입니까? 라고 물었는데,
운문(雲門)이 “간시궐(乾屎橛)이니라.”라고 대답하였다.
이후로 간시궐(乾屎橛)이 화두로 많이 사용되었다.
간취【看取】
① 선종(禪宗)의 용어로, 진의(眞義)를 파악하라는 뜻.
② 타인을 교사하고 목전에서 알게 하는 것.
콘사이스 판 불교사전(민족사:김승동 편저)에서 모셔왔습니다.>

성불하십시오!
첫댓글 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