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미부진(萎靡不振)
시들고 약해져 떨치고 일어나지 못한다는 뜻으로,
활기를 잃은 절망상태를 이르는 말이다.
萎 : 시들 위
靡 : 쓰러질 미
不 : 아닐 부
振 : 떨칠 진
마르고 시들거나 힘에 눌려
기를 펴지 못할 상태가 위축(萎縮)이다.
어떤 현상이 사회에 널리 퍼지는 것을 풍미(風靡)라 하는데
초목이 바람에 쓰러지는 것을 뜻한다.
시들어 쓰러진데다(萎靡) 도저히 세찬 기세에 떨쳐
일어나지 못하는 부진(不振)까지 겹쳤으니 절망상태다.
엎친데 겹쳐 활기를 잃고
희망을 바라볼 수 없는 상태를 나타내는 말이다.
어떤 일을 해도 잘 풀리지 않거나 잘나가다 큰 벽에 걸려
오도가도 못 하면 고개를 푹 숙이고 맥이 풀리는
수두상기(垂頭喪氣) 상태가 되는데 이와 마찬가지다.
이런 사람에겐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이 있다'고
아무리 위로해도 들리지 않는다.
맡길 위(委)에도 시들다, 쇠퇴하다란 뜻이 있어
위미(委靡)로 써도 같다.
중국 당(唐)나라의 명문장가로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사람인
한유(韓愈)의 글에 먼저 나타난다.
유가를 존중하고 불교를 멀리했던 한유도
초서의 대가인 고한(高閑)이란
승려와는 글을 화제로 논했다.
불문에 있다고 세상사에도
담담하면 생기가 없다며 말한다.
(泊與淡相遭 頹墮委靡)
박여담상조 퇴타위미.
'편안과 담담이 서로 만나면 의기소침해지고 맥이 빠진다
한유는 초성(草聖)으로 불렸다는 장욱(張旭)의 서체처럼
힘이 있어야 한다고 느낌을 말한 것이다.
'송고한상인서(送高閑上人序)'란 글에 나온다.
북송(北宋)의 휘종(徽宗, 재위 1100∼1125)은
시문과 서화에 뛰어나 선화(宣和)시대를 열었으나
정치는 뒷전이라 여진족(女眞族)의 금(金)나라에
나라를 빼앗긴 어리석은 황제로 기록된다.
휘종이 여느 때처럼 술자리를 즐길 때
수도 부근까지 금의 군대가 다가오자 너무 놀라 우왕좌왕했다.
이때 양시(楊時)라는 대부가 침착하게 나서며 말했다.
지금은 장작에 불이 붙은 위급한 시기인데 용기를 갖고
백성들의 사기를 진작시켜야 한다며 잇는다.
'이전처럼 겁을 먹고 원기를 잃는다면
모든 일이 끝장날 것입니다
송사(宋史) 양시전에 실려 있다.
정치에 관심이 없고 평시 국방에 대해 대비가 없었으니
양시의 건의도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쫓겨 남송(南宋)이 된 것은 필연이다.
보통사람들도 지금 안락한 생활이 계속된다고
후일을 생각하지 않고 흥청이면 머지않아 바닥이 난다.
그런데 국민이 원한다고 인기에 영합한 국가가
세입을 생각하지 않고 부채에 의존한다면
미래세대에게 짐만 물려주게 된다.
인구는 줄어들고 괜찮은 직장도 갈수록 줄어들어
그렇지 않아도 어깨가 늘어진 청년세대는
떨쳐 일어날 기회도 없어지니 유의할 일이다.
-옮긴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