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참회(懺悔)
다라니 독송과 찬탄을 마친 후 무량겁으로부터 모든 죄를 참회할 것을 권유 하고 있는 참회문이 등장합니다.
'참회문'항목으로서 1) 참회게 2) 참회업장십이존불 3) 십악참
회 4) 참회후송 5) 참회진언 등을 독송하게 됩니다.
< 참회(懺悔) >
우리들은 세상을 과거와 현재 살면서 알게 모르게 몸과 입과 뜻
으로 많은 죄업을 짓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죄업에 대하여 반
성하지 않고 합리화하는데 그 문제성이 있는 것입니다.
참회란 죄를 진심으로 뉘우치고 용서를 구하고 다시는 저지르
지 않겠다고 부처님전에 고(告)하는 것입니다.
참회에 대하여 <육조단경>에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
<제자들이 과거, 현재, 미래의 생각 중에 어리석고 미혹한데 빠
지지 않으며, 이제까지 지은 바 악업인 어리석고 미혹하였던 죄
를 모두 다 참회하오니 바라옵건대 일시에 다 소멸되고 다시는
영영 일어나지 않아지이다.
제자들이 과거·현재·미래의 생각 중에 교만하고 진실하지 못
한데 물들지 않아지오며 이제까지 지은바 악업인 교만하고 속
이고 하던 모든 죄를 모두 다 참회하오니 바라옵건데 일시에
소멸하여 영영 다시는 일어나지 않아지이다.
제자들이 과거·현재·미래의 생각 중에 질투심에 물들지 않아지
오며 이제까지 지은바 악업인 질투 등 죄를 모두 다 참회하오
니 바라옵건대 일시에 소멸하여 다시는 영영 일어나지 않아지
이다.>
<참(懺)이라 함은 이제까지의 지은 허물을 뉘우치는 것이니(懺
者 懺其 前愆) 이제까지의 지은 모든 악업인 어리석고 미혹하
고 교만하고 속이고 질투하는 등 죄를 모두 다 참회하여 영영
다시는 일으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회(悔)라 함은 미래의 허물을 뉘우침이니(悔者 悔其後果), 지금
부터 이후의 짓는 바 악업인 어리석고 미혹하고 교만하고 속이
고 질투하는 등 죄를 지금 미리 깨닫고 모두 다 영영 끊고 다시
는 짓지 않겠다는 결심이다.
범부는 어리석고 미혹하여 다만 앞 허물만 뉘우칠 줄 알 뿐 미
래의 허물을 뉘우칠 줄 모르나니 미래의 허물을 뉘우치지 않
으므로 앞의 허물도 멸하지 아니하고 또한 뒤의 허물이 생기나
니 이미 앞 허물이 없어지지 않고 뒤 허물 이 또 생기니 어찌
참회라 할 것이냐.>
이미 저질러진 죄에 대해 인식하고 자각하는 것이 참이며, 다음
에 저지르기 쉬운 죄에대해서 조심하고 주위하겠다는 자기 맹
세가 회인 것입니다.
이것은 절대 잘못을 되풀이하지 않겠다는 결심으로 불교 신앙
의 첫걸음인 동시에 사회의 규법이 되는 것입니다.
부처님 당시 초기 불교 교단에서는 안거를 끝나는 마지막 날에
안거 기간 중 자신의 죄를 도반에게 청하는 자자(自恣)와 자신
의 잘못을 대중에게 고백하는 포살(布薩)이라는 의식으로 승려
들의 계율의 확인과 점검이 행해졌습니다.
잘못을 저지르고서도 후회할 줄 모르는 사람, 후회하면서도 고
칠 줄 모르는 사람이 많은 이 시대에 우리는 참회의 시간을 가
져 미래의 새로운 삶을 창조적으로 알차게 이루고 건강한 사회
를 이룩하여야 하겠습니다.
참회에는 세 가지로 분류하는데 이를 삼품(三品) 참회라 합니
다.
상품참회는 온몸의 털구멍(毛孔)과 눈에서 피가 나오는 것이며,
죄를 짓고서 짓는 바로 그 순간 참회하는 마을을 일으키는 참
회, 중품참회는 털구멍에서 뜨거운 땀이 흐르고 눈에서 피가 나
는 것이며, 시간을 거르는 참회. 하품참회는 온몸에 가벼운 열
이 나고 눈에서는 눈물이 나는 것이며, 날짜를 거른 참회 말합
니다.
1) 참회게(懺悔偈)
참회게는 참회를 고하기 전에 {화엄경(40화엄)} [보현행원품]
가운데 보현보살이 대중에게 고하는 참회게송을 독송합니다.
아석소조제악업(我昔所造諸惡業)
지난세월 제가지은 모든악업
전생이든 현세에서 과거의 내가 몸과 입과 뜻으로 지은 모든
악한 업
개유무시탐진치(皆由無始貪嗔癡)
무시이래 탐진치로 말미암아
그 악한 업은 시작도 알 수 없는 아득한 엣날부터 모두 다 인
연하여 나의 욕심과 성냄과 어리석음으로 말미암아 생기었습
니다.
탐진치는 나를 죽이는 가장 극한 독이기에 삼독심(三毒心)이
라 합니다.
종신구의지소생(從身口意之所生)
몸과말과 뜻으로 지었으니
신구의에 따라 악업이 생기었으니
일체아금개참회(一切我今皆懺悔)
제가이제 남김없이 참회합니다
제가 이제 그 모두를 남김없이 참회하옵니다.
2) 참제업장십이존불(懺除業障十二尊佛)
참회게에 이어 우리의 업장을 참회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도록
시방의 12 분의 부처님이 출현하시게 됩니다. 이 12분의 부처
님들은 현겁(賢劫)에 출현하는 천불(天佛)중에서 모두 괴로움
과 재앙 가운데에서 죄악을 느끼고 참회하여 해탈한 부처님
들이시며, 나아가 참회하면 업장을 소멸시켜 주고자 서원을 세
운 부처님이기도 합니다.
다생다겁 동안에 쌓아 온 우리의 죄업을 이들 부처님앞에 간절
히 참회하오며, 부처님의 능력으로 우리의 업장을 녹여 줄 것
을 청하는 것입니다.
12분의 부처님을 외우므로서 얻게 되는 공덕은 다음과 같습니
다.
나무(南無) 참제업장(懺除業障)
악업에 대한 모든 장애를 없애고자 부처님에게 예를 다하여
참회하옵니다.
보승장불(寶勝藏佛)
일생을 살아가면서 남에게 신세진 일과 모든 허물과 빛이 소
멸되며 온갖 짐승에게 학대하고 일생에 축생을 타고 다닌 죄
를 멸할 수 있습니다.
보광왕화렴조불(寶光王火炎照佛)
일생에 돈과 재물로 사치하고 낭비한 죄업이 소멸되며 공공
시설물 등 상주물(常住物)을 손상시킨 죄를 덜 수 있습니다.
일체향화자재력왕불(一切香火自在力王佛)
일생 동안 음행 등 계율을 잘 지키지 않고 파기한 죄와 크고
작은 악업을 멸할 수 있습니다.
백억항하사결정불(白億恒河沙決定佛)
일생에 지은 살생 등의 죄를 멸할 수 있습니다.
진위덕불(振威德佛)
일생에 지은 악구(惡口), 邪淫의 죄를 멸할 수 있습니다.
금강견강소복괴산불(金剛堅强消伏壞散佛)
아비지옥에 떨어질 죄업을 덜 수 있습니다.
보광월전묘음존왕불(普光月殿妙音尊王佛)
대장경의 독송이나 법문을 듣거나 혹은 교설을 널리 전하면
죄를 멸해 주는데, 이 부처님은 대장경을 독송한 것과 같은 공
덕입니다.
환희장마니보적불(歡喜藏摩尼寶積佛)
성내고 화를 내어 지은 죄를 멸할 수 있으며, 그 공덕이 응당
부처님과 같습니다.
무진향승왕불(無盡香勝王佛)
태어나고 죽는 고통을 초월합니다.
사자월불(獅子月佛)
태어나는 곳마다 축생의 몸으로 태어날 죄업을 소멸합니다.
환희장엄주왕불(歡喜莊嚴珠王佛)
살생, 도둑질 등 십중대계(十重大戒)의 죄를 멸할 수 있습니
다.
제보당마니승광불(帝寶幢摩尼勝光佛)
남을 괴롭히고, 욕심 내어 지은 죄를 멸할 수 있습니다.
3) 십악참회(十惡懺悔)
참회에 대해 마하지관(摩詞止觀)에서는 크게 사참(事懺)과 이
참(理懺)으로 분류하여 설명하였습니다.
사참은 몸과 입과 생각으로 지은 죄업을 불보살님전에서 불보
살의 가피와 예불, 독경 등을 통하여 참회하는 것으로 수사분
별(隨事分別)참회라 합니다. 일반적으로 참회라 하면 사참을
말합니다.
이 십악참회가 사참에 해당하는 참회입니다.
이참은 본래 마음 자리에서 볼 때 모든 죄가 본래 자성(自性)이
없다는 것을 꿰뚫어 보는 것으로서 마음으로 이치를 따져 몸과
마음의 번뇌를 끊어 죄를 짓지 않도록 스스로 다짐하는 참회입
니다. 즉 실상의 이를 보고 죄를 멸하는 참회로서 관찰실상(觀
察實相)참회라 합니다.
십악참회는 사참으로 앞의 참회게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개별적인 행위 하나 하나에 대하여 지적하며 불보살님전에 참
회하는 것입니다.
'몸과 입과 생각으로 행한 열 가지의 나쁜 행위에 대한 참회'를
표시하는 부분입니다.
신구의(身口意) 삼업(三業)의 행위에 대한 결과가 열가지 업(十
業)으로 이루어진 것을 말합니다.
'몸'으로는 살생(殺生) 투도(偸盜) 음행(淫行)과, '입[口]'으로
는 망어(妄語) 기어(綺語) 양설(兩舌) 악구(惡口)를, '뜻[意]'으
로는 탐심(貪心) 진심(瞋心) 우치(愚癡)로서 스스로 10악을 행
했고, 다른 이로 하여금 10악을 행하게 했으며, 10악을 찬탄
하고, 10악을 행하는 이를 찬탄하였으니 40가지 악업이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죄를 오늘 참회하오니 소멸해 주기를 간절히
바래야 합니다.
이렇듯 "몸으로 인한 세 가지 악업과 입으로 인한 네 가지 악
업, 뜻으로 지은 세 가지 악업(身三惡業 口四惡業 意三惡
業)"에 대한 참회야말로 우리를 "범부의 속박으로부터 성인의
해탈의 경지"에로 이끌어 주는 것이라 하겠습니다.
또한 참회는 매일 매일 이루어져야 하는 금일참회를 하여야 합
니다.
살생중죄금일참회(殺生重罪今日懺悔)
산목숨을 죽인중죄 금일참회
살생이란 나 이외의 생명체를 죽이는 것으로 남의 마을을 상하
게 하고, 지구와 우주 그리고 자연을 파괴하고 학대하는 행위
를 말합니다.
투도중죄금일참회(偸盜重罪今日懺悔)
남의것을 훔친중죄 금일참회
정당한 노력없이 남의 물건을 훔치는 죄는 물론 재산과 권력
그리고 지식 등을 가지고 남을 부당하게 괴롭히는 행위도 도둑
질이라 할 수 있다 하겠습니다. 예를 들면 투기, 사기, 탈세, 남
의 생명과, 행복을 헤치는 행위들을 말합니다.
사음중죄금일참회(邪淫重罪今日懺悔)
삿된음행 범한중죄 금일참회
나의 욕망을 주체하지 못하고 방황할 때 성적 탈선을 일으키게
되는데, 성 범죄와 성적 탈선을 부추기는 선정주의 행위 등을
말 할 수 있습니다.
망어중죄금일참회(妄語重罪今日懺悔)
거짓말을 행한중죄 금일참회
거짓말은 진실을 왜곡하며, 정의로운 삶과 질서의 사회를 혼란
으로 빠트릴 수 있습니다.
기어중죄금일참회(綺語重罪今日懺悔)
꾸민말을 행한중죄 금일참회
남을 이용하고 속이기 위해 좋고 달콥한 비단결 같은 말이며,
아첨하거나 유혹하는 말을 말합니다.
양설중죄금일참회(兩舌重罪今日懺悔)
이간질을 행한중죄 금일참회
여기서는 이 말, 저기서는 저 말 하며 서로 다른 말을 하여 이
간질시키는 말입니다.
악구중죄금일참회(惡口重罪今日懺悔)
나쁜욕설 행한중죄 금일참회
욕설을 하는 것으로 이는 나의 마음이 탐진치로 가득차 있기에
성난 마음이 입으로 거칠게 나타나는 것입니다.
<말은 할 때가 있고 않 할 때가 있으며, 전할 말이 있고 전하지
말아야 할 말이 있으며, 용기와 희망을 주는 말이 있으며, 좌절
과 어둠으로 빠지게 하는 말이 있습니다.>
탐애중죄금일참회(貪愛重罪今日懺悔)
욕심으로 지은중죄 금일참회
진에중죄금일참회(瞋에重罪今日懺悔)
성냄으로 지은중죄 금일참회
치암중죄금일참회(癡暗重罪今日懺悔)
못남으로 지은중죄 금일참회
이와 같이 몸과 입과 뜻으로 지은 악업의 잘못을 저질렀으면 반
성을 해야 합니다. 한가지 잘못에는 한번의 반성을, 열번의 잘못에는 열번의 반성을 하면서 다시는 그와 같은 죄를 짓지 않으려는 다짐을 해야 합니다. 이렇듯 잘못한 일에 따라 반성하며 참회하여야 합니다.
전생이나 현세에 살면서 내가 지은 잘못을 합리화하며 고집으로 잘난 체 하며 사는 것이 바로 나를 모르는 큰 악업입니다.
고집과 잘난 맛 그리고 타성에 젓어 악업의 행위도 무감각하게 혹은 의식도 못하며 지내는 삶 속에서는 나의 잘못을 발견치 못하고 지나쳐 버리는 것이 일상입니다.
우리는 나 자신에 대하여 냉정하게 객관적으로 볼 줄을 알아야 합니다. 그래서 나를 찾아 헤메이는 것입니다.
그 나라는 놈을 찾아 지은 악업을 참회하고 소멸하고 또한 생겨나지도 않게하여 청정심으로 열반 적정에 도달하는 것이 우리의 길입니다. 이러기 위해서 우리는 수행을 하고 지혜를 얻기 원하고 자비심을 갖추기를 원하는 것입니다.
머리 꼭대기부터 발끝까지 온 몸을 통하여 나를 돌아보고 참다운 참회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