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방십자인대 파열시 수술은 어떻게 하는것일까요???
전방십자인대란?
무릎에서 대퇴로 붙는 인대로써 경골의 과도한 전방이동과 대퇴부에서 시작되는 회전을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내반슬이나 외반슬이 되지 않도록 무릎에 긴장도를 유지시켜주고
몸무게와 중력에 의해 실리게되는 하중의 스트레스를 덜어주는 역할을 해줍니다.

전방십자인대는 무릎의 안정성을 주는 인대로써 연골판과 연골을 보호해주는 기능도 있습니다.
인대는 보기에는 1개의 큰 인대로 보이나 세분화해서 분류하면 2가닥의 인대가 꼬여있는것이 전방십자인대입니다.
전방십자인대의 파열의 원인?

전방십자인대의 손상은 갑작스런 감속과 무릎의 회전 (안쪽이나 바깥쪽으로 무릎이 꺽이는 모양), 과신전(무릎이 과하게 뒤로 밀리는 모양) 이 동반되면 파열이 발생할게됩니다.
인대의 파열시 퍽하는 소리가 나게됩니다.
발을 땅에 딛기가 어렵고 체중부하하여 걷기가 어렵고 심한 부종과 무릎관절운동범위의 감소와 불안정성이 나타납니다.
통증이 심하며 부종이 심하게 생기기때문에 반드시 병원을 방문하셔야 합니다.
전방십자인대의파열의 진단방법과 치료법
전방십자인대 파열이 되었다면 정확한 진단을 위해 검사를 실시합니다.
먼저 X-ray 촬영과 MRI 촬영을 실시합니다.

x-ray촬영이나 mri촬영으로 인대인접부위의 뼈상태와 무릎의 정렬상태 ,인대파열정도를 보고 수술의 여부와 치료 방향을 진단하며
무릎인대를 평가하는 테스트로도 알아볼 수 있습니다.

파열의 정도에 따라 수술을 결정하는데 보전적 치료로 가능한 파열이라면
관절 가동범위가 회복되도록 점차 점차 무릎을 구부렸다 폈다하는 위주의운동을 시작합니다.
무릎이 아프지 않는 범위에서 시행하며 허벅지 근육인 대퇴사두근도 같이 근력운동을 시작합니다.

파열의 상태가 심하여 수술을 해야 한다면
관절내시경으로 수술을 시행합니다. 십자인대는 동종건 혹은 자가건으로 재건술을 시행합니다.

수술후 재활은 동종건이나 자가건에 따라 진행정도가 다를수있습니다.
동종건(타인의 건)을 이식할경우 회복시 통증이 적을수 있으나
비용이 고가이고 감염의 위험이나 면역반응등이 생길수있습니다.
자가건(손상된 동측의 허벅지부위 건 , 대퇴슬개인대)을 이식할경우
저렴하고 재생률이 좋습니다.
통증이 동종건 이식에 비해 더 있을수있고 건 적출부위에 따라 무릎의 퇴행성변화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첫댓글 동종건도 있고 자가건도 있군요.. 오 신기하네요 ㅋㅋㅋ
관절내시경으로 인대재건술도 시행한다니 의료기술이 정말 많이 좋아졌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