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의 서괘는 몇가지 원칙이 있는데, 이를 중요한 것만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1.배합괘(부도전괘 음양을 바꾼괘) 또는 도전괘(본괘를 꺼꾸로한 괘)끼리 짝을 이루어 배열되었다 :
부도전괘(본괘의 상괘와 하괘를 바꿔도 같은 괘)인 건, 곤, 이, 대과, 감, 리, 중부, 소과의 8개 괘는 서로 배합되는 괘끼리 짝을 지어 배열하되
도전괘인 56개 괘는 서로 도전되는 괘끼리 짝을 이루어 배열하였다.
도전괘는 한 괘만 그리면 두 괘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두 괘를 한 괘씩 치면 모두 28개 (56^34,34^2=28)가 되며,
여기에 부도전괘 8개를 합하면 모두 36괘가 되니 주역을 36궁 또는 36천으로 이루어졌다고 하는 것이다.
또 주역을 36괘 보면 상경 30괘, 하경 34괘로 균형이 안맞는 것처럼 보였던 편제가, 상경 18괘 (부도전괘 6괘, 도전괘 12괘)와 하경 18괘 (부도전괘 2괘, 도전괘 16괘)로 같게 된다.
* 36괘를 18변하여 괘를 이루는 이치로써 살피면,
상경 18괘는 건, 하경 18괘는 곤이 되며,
더 크게는 36괘가 216효 (건책수 36*6=216 노양)가 되므로
주역 전체를 건이 통어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2. 양괘와 음괘를 교대로 배열되었다 :
복희 64괘는 체가 되므로 괘의 생성과정을 중시하여, 태극에서 양의가 나오고, 이어 사상, 팔괘, 64괘가 차례로 나오는 과정을 순서로 하였으니,
복희 64괘 차서도 또는 복희 64괘 방위도에서 보듯이 음과 양이 번갈아 나오는 모습을 괘로 그린 것이다.
즉 태극에서 제일 먼저 분화된 양의(일변)는 초효가 되어 '한번 양하고 한번 음한것'을 나타내며,
두번째 분화로 생긴 사상 (이변) 역시 음양이 두번 번갈아 교대하는 모습이며,
세번째 분화 (삼변 8괘),
네번째 (사변 16괘),
다섯번째 (오변 32괘),
여섯번째 (육변 64괘)로
차례로 분화하여 64괘를 이룰 때까지,
모두 음양이 규칙적으로 교대하는 상을 나타낸 것이다.
(부록, '복희 64괘 방위도' 참조:
예를 들어 육변중 상효는 오른쪽으로부터 양과 음의 교대를 32번 반복한 상이다.
이와는 달리 '문왕 64괘'라고도 하는 주역의 차서는
괘의 쓰임을 중시하는 용이 되므로,
여섯획으로 이루어진 괘 (대성괘)의 음양 순서로 차례를 삼는다.
즉 건은 노양괘이고 곤은 노음괘이며, 둔과 몽은 소양괘이고 수와 송은 소음괘이며, ...,소과는 소양괘이고 기제와 미제는 소음괘이니, 음과 양이 차례로 교대하며 자리잡은 것이다 (도표 참조).
3. 상하경의 시작과 끝은 복희 8괘 방위도의 방소가 그 체가 된다.
상경의 시작과 끝은 복희 팔괘 방위도에서 정방에 있는 건, 곤과 감, 이가 차지하며,
하경의 시작은 우방에 있는 태와 간이 합하여 함을, 진과 손이 합하여 항을 이룸으로써 시작되며, 감리의 사귐인 기제, 미제가 그 끝을 이루는 것이다.
이렇게 상수학적인 순서에 바탕하여, 이치적으로 정연하게 풀이한 것이 '서괘전'이니, 공자의 후학을 위한 마음을 엿볼 수 있는 것이다.
서괘전의 단락을 나눌때 1괘를 1절로 나눈 것도 있고,
두 괘를 1절로 나눈 예도 있어 학자들 마다 의견이 다르다.
여기서는 부도전괘는 두 괘를 1절로 나누고, 도전괘는 4괘를 1절로 나누어 총 18절로 하되, 그 안에 두 괘씩 작은 단락을 두었다.
이렇게 나눈 것은 각 효를 책수로 놓고 볼때 4괘 (사실은 두괘)가 360책수를 이루므로 당기지일하는 뜻을 살린 것이다.
이를 도표화하면 다음과 같다.
* 서괘 십팔절도(위 64괘참고)
건 () 36*6효=216책(노양)
곤 () 24*6효=144책(노음)
216+144=360 (책)
둔 몽 ()36*2+24*4=168책 (소양)
수 송 ()36*4+24*2효=192책 (소음) 168+192=360 (책)
사 비 (7 8)36*1+24*5=156 (+12=소양)
소축 리 (9 10)36*5+24*1=204 (-12=소음) 168+192=360책
태 비 ()36*3+24*3=180 (-12=소양)
동인 대유 ()36*5+24*1=204 (-12=소음) 168+192=360 (책)
겸 예 ()36*1+24*5=156 (+12=소양)
수 고 ()36*3+24*3=180 (+12=소음) 168+192=360 (책)
임 관 ()36*2+24*4=168 (소양)
서합 비 ()36*3+24*3=180 (+12=소음) 168+192=360 (책)
박 복 ()36*1+24*5=156 (+12=소양)
무망 대축 ()36*4+24*2=192 (소음) 168+192=360 (책)
이 ()36*2+24*4=168 (소양)
대과 ()36*4+24*2=192 (소음) 168+192=360 (책)
감 ()36*2+24*4=168 (소양)
리 ()36*4+24*2=192 (소음) 168+192=360 (책)
함 항 ()36*3+24*3=180 (-12=소양)
둔 대장 ()36*4+24*2=192 (소음) 168+192=360 (책)
진 명이 ()36*2+24*4=168 (소양)
가인 규 ()36*4+24*2=192 (소음) 168+192=360 (책)
건 해 ()36*2+24*4=168 (소양)
손 익 ()36*3+24*3=180 (+12=소음) 168+192=360 (책)
쾌 구 ()36*5+24*1=204 (-12=소음)
췌 승 ()36*2+24*4=168 (+12=소양) 192+168=360 (책)
곤 정 ()36*3+24*3=180 (-12=소양)
혁 정 ()36*4+24*2=192 (소음) 168+192=360 (책)
진 간 ()36*2+24*4=168 (소양)
점 귀매 ()36*3+24*3=180 (+12=소음) 168+192=360 (책)
풍 려 ()36*3+24*3=180 (-12=소양)
손 태 ()36*4+24*2=192 (소음) 168+192=360 (책)
환 절 ()36*3+24*3=180 (-12=소양)
중부 ()36*4+24*2=192 (소음) 168+192=360 (책)
소과 ()36*2+24*5=168 (소양)
기제 미제 ()36*3+24*3=180 (+12=소음) 168+192=360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