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습지1-1 |
학습주제 |
1. 국토 인식과 지리 정보 |
교과서 |
1. 국토란 무엇인가? |
10~14 |
1. 국토란 무엇인가? 우리 조상들은 국토를 어떻게 인식했을까?
⇒국토의 의미/ 조상들의 국토 인식
(1) 국토 :주권이 미치는 범위, 영토․영공․영해를 포함
①자연 환경 : 다양한 자연 현상이 나타나는 곳
②생활 공간 : 일상적인 삶의 터전
③생산 공간 : 경제적인 가치를 창출하는 곳
④문화 공간 : 민족의 고유한 역사와 생활 양식이 뿌리 내린 곳
(2) 국토의 의미 변화 : 국민들의 노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국토에 대한 바른 인식과 효율적인 이용이 중요
(3) 조상들의 국토 인식 - 풍수 지리 사상
①배경 : 중국의 음양 오행설, 전통적인 대지모(大地母) 사상
②내용 : 산의 모양과 기복, 바람의 물의 흐름 등으로 땅의 성격을 파악하여 좋은 터전을 찾는 사고 체계
③의미 : 음양의 조화를 이룬 곳을 명당(明堂) 또는 길지(吉地)라고 하며, 이 곳에 삶터를 정하면 후손에 이르기까지 복을 누릴 수 있음
④명당의 형세 : 장풍 득수의 형세(산지로 둘러싸여 있는 곳에 하천이 흐름)
⑤현대적 의미 : 북서 계절풍의 추위, 강수량의 계절 변동이 큰 기후 조건 등을 고려해 볼 때, 삶터로서 좋은 조건을 지님
2. 실학이 국토 인식에 미친 영향은?
⇒실학 사상이 국토관에 미친 영향
(1)지리서
①조선 전기와 후기의 지리서 비교
․조선 전기 :백과 사전식 서술, 국가에 의해 편찬→통치 자료로 이용
․조선 후기 : 설명식 서술, 실학의 영향→국토의 실체를 밝히기 위한 노력(택리지, 아방 강역고)
②택리지
․인간과 환경과의 관계를 설명식으로 서술
․가거지(可居地)조건 : 지리(地理), 생리(生利), 인심(人心), 산수(山水)
(2) 고지도
①조선 전기와 후기의 고지도 비교
․조선 전기 : 관념적 지도, 중국 중심의 세계관 반영(천하도,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조선 후기 : 실제 답사를 통한 실측도 ,실학의 영향(청구도, 대동여지도, 동국지도)
②대동여지도
․10리마다 방점을 찍어 거리 표현→현대적 의미의 축척 개념 도입
․범례에 해당하는 지도표 이용→지표의 다양한 지리 정보를 기호로 표현
․축척은 1:160,000정도로, 이전 지도에 비해 대축척 지도→비교적 자세한 정보 표현
․산줄기와 하천의 흐름을 강조→자연 조건과 인간 활동의 관계 중시
학습지1-2 |
학습주제 |
1. 국토 인식과 지리 정보 |
교과서 |
2. 오늘날 우리는 우리의 국토를 어떻게 인식하는가? |
15~17 |
1. 일제 강점기의 국토 인식은 어떻게 왜곡되었는가?
⇒식민지 시대 국토관, 오늘날의 국토 인식
(1)일본인들의 한반도 인식
①한반도의 위치를 부정적으로 해석
․대륙에 대하여 주변적인 위치, 해양에 대하여 교량적인 위치
․수동적인 위치로 인해 침략을 겪을 수 밖에 없는 운명
②한반도의 형상을 허약한 토끼로 묘사
③국토 잠재력의 과소 평가 : 산지가 많고 지하 자원이 빈약한 땅, 갯벌로 이루어진 쓸모 없는 땅→소극적인 국토관 형성에 영향을 끼침
(2) 우리 국토의 잠재력
①자연 환경의 다양성→ 생물 종의 다양성 풍부
․계절의 변화가 다양하고 뚜렷한 기후
․영토보다 넓은 영해→육지 요소와 해양 요소의 조화로운 배합
②인구 부양력이 높은 공간
․농업 생산에 유리한 기후 조건→여름에 기온이 높고 강수량이 많으며, 가을이 건조하고 일사량이 풍부함
․교역에 유리한 거점적 위치→대륙과 해양 연결로 중요성 부각
(3) 국토 인식의 변화
①산업화 과정에서의 국토관→경제적 효율성의 관점에 비중을 둠
․국토의 잠재력 향상
․환경 문제 심화
․지역 간의 발전 격차 발생
②바람직한 국토관
․개발과 보전의 조화를 고려하는 국토관
․생태계의 보전과 자원 이용의 형평성 추구→생태 지향적 국토 개발
학습지1-3 |
학습주제 |
2. 지리 정보와 지도 |
교과서 |
3. 지리 정보와 지도 |
18~22 |
1. Know-how에서 Know-where의 시대로 지리 정보와 지도
⇒ 지리정보의 의미와 종류
(1) 지리 정보의 의미와 종류
①의미 : 지표상의 지리 현상을 확인․분석하고 그 특성 파악에 필요한 모든 자료
②종류
․공간 자료 : 한 장소의 위치와 형태를 나타내는 자료
․속성 자료 : 장소의 특성을 나타내는 자료
․관계 자료 : 다른 장소 및 현상들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자료
(2) 지리 정보와 지도
①지도 : 지표상의 여러 현상들을 일정한 비율로 줄인 후 기호를 사용하여 표현한 것
→어떤 장소의 지리 정보를 축적하는 도구, 지리 정보 전달의 수단
②지도의 종류(축척에 따른 분류)
․소축척 지도 : 넓은 지역을 간략하게 나타낸 지도
․대축척 지도 : 좁은 지역을 자세하게 표현한 지도→등고선, 기호 등을 사용
③축척 : 지표상의 실제 길이(거리)를 지도상으로 표현할 때 줄인 비율
④대축척 : 지도의 분석을 통해 알 수 있는 사실 : 땅의 높고 낮음(지형), 두 점 간의 실제 거리, 토지 이용과 취락 분포의 특색 등
2. 지리 정보를 어떻게 해석하고 표현할 것인가?
⇒지리정보의 해석 및 표현/ 통계 자료와 주제도
(1) 대축척 지도의 지리 정보 표현
①방위 : 방위 표시가 없는 경우에는 지도의 위쪽이 북쪽
②기호 : 지표상의 현상들을 지도에 표현하는 방법→해석에 유의하여야 함
③등고선 : 같은 높이의 지점들을 연결한 폐곡선→해발 고도, 땅의 경사진 정도나 모양 등을 파악할 수 있음
․1:50,000지도: 20m마다 가는 실선인 주곡선, 100m마다 굵은 실선이 계곡선 표시
․등고선의 간격 : 간격이 좁으면 급경사, 간격이 넓으면 완경사
․등고선의 모양 : 해발 고도가 높은 쪽으로 굽은 곳은 계곡, 그 반대는 능선
(2) 통계 자료와 주제도
①사용 목적에 따른 지도 구분
․일반도 : 자연․인문 현상을 종합적으로 나타낸 지도→지형도, 지세도
․주제도 : 특수한 내용만을 나타낸 지도→기후도, 지질도, 해도, 대부분의 통계 지도
②통계 지도 : 정적 도법의 기본도에 점․선․면․도형 등을 이용하여 통계를 나타냄→점묘도, 등치선도, 유선도, 도형 표현도 등
학습지1-4 |
학습주제 |
2. 지리 정보와 지도 |
교과서 |
4. 지리 조사의 순서 |
23~27 |
3. 지리 조사의 순서
⇒지리 조사의 순서 및 방법
(1) 조사 주제 및 지역 선정
①조사 주제 선정 : 지역 특성의 확인, 지역 문제의 발견과 대책 모색 등을 목적으로 조사 주제를 선정
②조사 지역 선정 : 야외 조사가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지역인가를 고려하여 조사 지역 선정
(2) 지리 정보의 수집
①실내 조사 : 문헌 조사라고도 하며 야외 조사시의 예비 지식을 갖추기 위한 조사로서, 문헌․통계 자료 및 지도 분석을 통해 이루어짐
②원격 탐사 : 사람의 접근이 어려운 곳의 조사, 사람의 눈을 보이지 않는 현상(지표면의 온도 분포, 수질 오염도, 삼림의 병충해 피해 등)에 대한 정보 수집 등에 이용
③야외 조사 : 현지 조사라고도 하며, 관찰․실측․면담․견학 등의 형태로 자료를 수집하는 과정
(3) 지리 정보의 분석 및 정리 : 수집된 자료의 항목화․도표화․지도화
(4) 조사 보고서 작성 : 수집․정리된 자료의 바탕으로 조사 주제에 맞는 보고서 작성
학습지1-5 |
학습주제 |
3. 지리 정보의 이용 |
교과서 |
4. 지리 정보 체계의 필요성 |
28~32 |
1. 지리 정보를 습득하고 표현하는 방법들 지리 정보 체계의 필요성
⇒지리 정보 표현 방법/ 지리 정보 체계의 필요성
①과거에 비해 과학의 발달로 지리 정보의 양이 엄청나게 늘어남→필요성 정보의 파악 및 습득 방법이 중요
②지리 정보 습득 방법 : 지도, 항공 사진, 인공 위성의 원격 탐사 등
③지리 정보 표현 방법 : 그림, 지도, 항공 사진, 인공 위성 영상 자료, 지리 정보 체계
․그림 : 고대에는 돌이나 조개 따위에 그림을 그려 지리 정보를 전달함
․지도 : 상징 체계, 즉 기호를 이용하는 지리 정보의 전달 방법
․지리 정보 체계(GIS) : 컴퓨터를 이용한 지리 정보 표현 및 분석 체계
(2) 지리 정보 체계(GIS)의 필요성
①지리 정보의 조직․관리는 지리 정보를 이용하는 질적 수준 결정→효율적인 지리 정보의 조직과 관리를 위해 지리 정보 체계 필요
②지리 정보 체계의 발달과 의의
․지리 정보 체계의 정의 : 컴퓨터를 이용하여 각종 지리 정보를 효과적으로 입력․저장․관리․분석․모형화․지도화하는 한편, 이를 결합하는 분석 및 모델링하여 출력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지리 정보 체계 발달의 결정적 계기 : 컴퓨터 이용 기술의 발달
․지리 정보 체계의 절차
수집 ▶저장 ▶관리 ▶검색
변환 ▶분석 ▶모델링 ▶출력
2. 일상 생활에서의 지리 정보 체계
⇒지리 정보 체계의 이용
(1) 일상 생활 속에서 지리 정보 체계의 유용성
①공간적 위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 해결
②찾기 어려운 지역 탐색, 교통 혼잡을 피한 빠른 길 선택, 민원 행정 도는 복지 시설 이용
(2) 실용화되고 있는 지리 정보 체계
①실시간 교통 정보 관리 체계
․현재 위치에서 이동하려는 위치까지의 총 거리, 소요 시간 등 파악
․도로별 실시간 주행 속도 파악(색으로 구분되어 표현됨)→목적지까지 가장 빠른 길을 선택할 수 있음
②자동 항법 체계(Car Navigation System-CNS)
․자동차 내에서 이용하는 실시간 교통 정보 관리 체계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최적 경로 서비스 제공
․연료 및 잔여 거리, 주유소의 위치 파악 가능
③지능형 교통 체계(Interlligent Transport System-ITS)
․교통량에 따른 신호등의 자동 제어
․교통사고 발생시 즉각적인 부상자 구호 기능
<지능형 교통망 체계>
교통정보수집(인공위성, 카메라,전자파감지기, 초단파 감지기) ▷교통관리센터
▷교통정보활용(개인 및 방송사 등에 정보제공, 교통신호제어, 사고의 신속한 처리)
(3) 지리 정보 체계를 이용한 입지 결정
①입지 결정 주체의 의도에 가장 적합한 선택 가능
②입지에 영향을 끼치는 다양한 요인들의 분석 및 비교 가능
③입지 이전에도 입지 이후의 지역 변화에 관한 예측이 가능
④최근 들어 학교나 사회적 편의 시설의 입지 선정에 활용
⑤환경 영향 평가 및 재난 극복 등에도 지리 정보 체계 활용
학습지1-6 |
학습주제 |
3. 지리 정보의 이용 |
교과서 |
5. 지방 자치 단체의 지리 정보 체계 구축 |
33~34 |
3. 지방 자치 단체의 지리 정보 체계 구축
⇒지방 자치 단체의 지리 정보 체계
(1) 지방 자치 단체의 지리 정보 체계 구축 효과
①지역 특성에 맞는 행정 수요 예측 및 행정 서비스 제공
②지리 정보의 적절한 분석을 통한 정책 수립 능력의 향상
(2) 도시 정보 체계(UIS)
①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구축
②도시 기반 시설물에 대한 정보 관리→도시 문제의 대처 방안
③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새 주소 시스템 등
④생활 정보화, 산업 정보화, 도시 기반 정보화, 행정 정보화 등 추진
⑤현재 서울과 6개 광역시, 청주․창원․과천․성남시에서 추진 중
4. 국가 수준의 지리 정보 체계 ⇒국가 지리 정보 체계
(1) 국가 지리 정보 체계
①내용 : 지도 또는 원도를 전산 처리 가능하도록 수치로 전환, 그 위에 토지․자원․시설물․환경․경제 등의 자료를 체계적으로 입력하고 각종 의사 결정에 활용하는 시스템
②배경 : 정보화 사회의 생존 경쟁에서 우위에 서기 위해 지리 정보 체계 구축
(2) 국가 지리 정보 체계 구축의 목적
①국가 경쟁력 강화
②국민들에게 양질의 공공 서비스 제공
(3) 국가 지리 정보 체계의 구성
①재난․재해 관리 분야 : 재해 관리 체계, 소방 관리 체계, 지하 시설물 관리 체계
②토지 관리 분야 : 건축물 관리 체계, 지가 정보 관리 체계, 토지 종합 정보 관리 체계
③국토․환경 관리 분야 : 환경 정보 관리 체계, 토양 정보 관리 체계, 지하수 정보 관리 체계. 지질 자원 관리 체계
④교통 관리 분야 : 교통 및 관광 정보 종합 관리 체계, 도로․철도․공항 등
학습지2-1 |
학습주제 |
1. 지형과 인간 생활 |
교과서 |
1. 지형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
38~40 |
1. 지형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1) 지형
①산지, 골짜기, 평야, 해안 등 지표의 다양한 기복 상태→내적 영력과 외적 영력의 상호 작용으로 형성․발달
②물과 공기의 흐름에 영향, 생물의 서식 환경 제공 등→지형의 이해는 자연 환경과 인간 생활의 종합적이고 기본적인 이해
(2)지형 형성 작용
①내적 영력
․의미 : 지구 내부의 열에너지가 지각에 작용하여 대지형을 형성하는 작용
․지형 형성 작용 : 조륙․조산 운동과 같은 지각 변동, 화산 활동
②외적 영력
․의미 : 지구 외부의 태양 에너지에 의해 물과 공기가 순환됨으로써 지표를 변형시키는 작용
․지형 형성 작용 : 풍화 작용, 침식․운반․퇴적 작용
③1차적으로 내적 영력에 의해 대지형이 만들어지며, 2차적으로 외적 영력에 의해 소지형 형성→내적․외적 영력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하나의 지형 형성
2. 산지와 고원
(1) 산지 : 산들이 밀집되어 있는 지대
①지각판의 경계에는 대규모 산지 발달→히말라야․알프스․로키․안데스 산지 등
②지각판의 경계에서 멀어진 지역에는 중․소규모의 산지 발달→우랄․애팔래치아․태백 산지 등
(2) 고원
①오랜 기간 침식․퇴적된 넓은 평탄면이 융기에 의해 고도가 높아져서 형성된 지형
②데칸․컬럼비아․티베트․영서 고원 등
(3) 산지․고원 지형과 인간 생활
①생태계의 보고, 깨끗한 물과 공기의 공급원→목축, 고랭지 농업, 여가 활동 공간
②예로부터 교통의 장애가 되어 이들을 경계로 지역의 특색이 달라짐→국경이나 행정 구역 등 지역 구분의 경계가 되기도 함
학습지2-2 |
학습주제 |
1. 지형과 인간 생활 |
교과서 |
2. 고랭지 농업 및 목축업이 발달한 고원 지대 |
41~43 |
3. 고랭지 농업 및 목축업이 발달한 고원 지대
(1) 우리 나라의 고원
①고도 약 700~800m 정도에서 나타나는 평탄한 지형
②영서 고원, 개마 고원, 진안 고원, 운봉 고원 등
(2) 고원의 특성과 이용
①특성 : 기온이 낮은 고랭지, 적은 증발량, 많은 강수량, 봄철 융설수에 의한 토양 수분의 안정적 공급→대규모 초지 조성
②이용 : 대규모 초지 조성→고기소와 젖소 사육, 고랭지 농업→감자, 배추 등 고랭지 채소 및 특용 작물 재배
4. 하천과 평야의 관계는?
(1) 하천
①지표수와 지하수가 바다로 흘러들어가는 통로
②하천의 수면은 지하수층의 연장선→지표 위에 노출된 지하수면
(2) 하천의 작용
①침식 작용(측방 침식․하방침식), 운반 작용, 퇴적 작용, 용수 공급
②평상시 : 하방 침식으로 골짜기 형성
③유량이 증가했을 경우 : 측방 침식으로 하천의 폭을 넓히며, 하천 범람으로 운반 물질을 주변에 퇴적하여 평야 형성
5. 하천 중․상류 일대의 평야
(1) 평야
①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넓어지는 경향
②하천 중․상류 일대의 평야
․곡저 평야 : 산지와 산지 사이의 편평한 땅→하천의 침식 및 퇴적 작용으로 형성
․침식 분지 : 하천 중․상류의 지류에 위치한 편마암으로 둘러싸인 화강암 지대→화강암 지대는 풍화․침식되고 편마암 지대는 주변의 산지로 남아 형성
(2) 하천 중․상류 일대의 평야 이용
①예로부터 우리 민족의 삶터
②과거의 자본, 토목 기술, 노동력으로 경작 가능(하류는 미개척→개간할 수 있는 능력 부족)
학습지2-3 |
학습주제 |
1. 지형과 인간 생활 |
교과서 |
3. 하천 하류에 넓게 나타나는 평야 |
44~47 |
6. 하천 하류에 넓게 나타나는 평야
(1)하천 하류 지역
①하천 하류
․넓은 평야(저습지) 발달
․근대적 자본과 토목 기술의 발달, 대규모 노동력으로 개간하여 삶의 터전으로 이용
②하천 하류 일대의 넓은 평야 : 범람원과 삼각주
․형성 : 최후 빙기 대의 넓은 골짜기→해수면 상승 후 토사가 매립
․이용 : 근대적 자본․기술․노동력에 의한 개간, 주로 농지로 이용되었으나 도시 팽창과정에서 주택지나 공장 부지, 시설 원예 단지 등으로 개발
(2) 하천 하류 일대 저습지와 인간 생활
①저습지의 개발 : 농업 용지로 이용, 도시의 팽창에 따른 시가지화, 시설 농업 지대로 이용
②여름철 집중 호우 때 홍수 피해→빗물 배수 펌프장 설치
7. 해안에는 어떤 지형이 있을까?
(1) 해안 : 바다와 육지가 만나는 곳
①암석․사빈 해안 : 파랑에 의해 형성
②갯벌 해안 : 조류에 의해 형성, 밀물 때 침수되고 썰물 때 드러나는 해안 퇴적 지형
(2) 해양
①해양은 관광․수산․지하 자원의 보고, 교통로로 이용 가능
②해양의 잠재력을 개발․이용할 수 있는 거점으로 해안 이용
8. 암석 해안
(1) 암석 해안
①형성 : 파랑의 침식 작용
②주요 지형 : 해안 절벽, 바위섬, 촛대 바위, 해식 동굴, 해안 단구 등→등 정자나 휴게소 등 관광 자원으로 이용
③움푹 들어간 해안에 어촌 발달
(2) 해안 단구
①형성 과정 : 과거 파랑의 침식 작용에 이해 파식대 형성→융기나 해수면 하강에 의해 파식대가 육지화되어 단구면 형성
②동해안의 암석 해안을 이루는 상단부에 해안 단구 발달(정동진)
학습지2-4 |
학습주제 |
1. 지형과 인간 생활 |
교과서 |
4. 아름다운 사빈 해안으로 휴가를 떠나자. |
48~51 |
9. 아름다운 사빈 해안으로 휴가를 떠나자.
(1) 사빈 해안 : 사빈, 시구, 사주, 휴가를 떠나자
①사빈 : 하천으로부터 운반된 모래와 해안 절벽이 침식을 받아 생긴 모래들이 연안류에 의해 해안을 다라 이동하면서 퇴적되어 형성
②사주 : 만입이 깊을 경우 연안류에 의해 만의 입구에 모래가 퇴적되어 형성
③석호 : 하천이 흘러들고, 만입 전면에 발달한 사주가 바다 쪽을 막아 생긴 자연호→하천 퇴적물에 의해 매립되어 점차 규모가 축소되는 경향
④사구 : 사빈의 모래가 탁월풍이나 해풍에 의해 이동․퇴적하여 이룬 모래 언덕
(2) 동해안 해안 지형 : 경사가 급한 산지를 따라 흐르는 하천이 많은 모래 공급, 파랑의 작용에 의한 암석 해안으로부터의 모래 공급→사빈과 석호 발달이 뚜렷
10. 생태계의 보고, 갯벌 해안
(1) 갯벌 해안의 특징과 형성 과정
①조차가 큰 해안에서 발달→우리 나라 황해안은 세계적인 갯벌 지역
②형성 과정 : 하천에서 바다로 운반되어 온 미립 물질들이 다시 조류에 의해 섬․만․반도 등으로 막혀 있는 후미진 곳으로 운반․퇴적되어 형성
(2) 갯벌의 이용과 환경 문제
①염전, 굴․조개 등 패류 양식장, 간척 후 농경지․주택 단지․공업 단지 등으로 이용
②생태계의 보고를 무분별하게 개발하여 환경 문제 발생
11. 인간의 활동은 지형을 어떻게 변화시킬까?
(1) 인간에 의한 지형 변화
①인간에 의한 직접적인 지형 변화
․인간이 채굴하여 생긴 지형 변화 : 노천광, 계단식 채광, 골재재취, 간척 사업을 위한 제방 축조나 매립에 필요한 토석을 공급하기 위한 산지의 파괴 등
․인간이 쌓아 놓아 생긴 지형 변화 : 광산 폐기물 더미, 생활 폐기물의 집적, 철로 노반 공사 등
②인간에 의한 간접적인 지형 변화
․자연 식생의 제거→빗물에 의한 사면 침식 활발, 침식된 토사가 하천으로 유입, 집중호우시 산사태 발생
․석유나 가스, 지하수, 지하 자원 등의 채굴→지반 침하
․인공 제방의 축조→하천의 유속 증가
(2) 인간의 활동으로 인한 환경 문제
①인간의 직․간접적인 지형 변화 : 물과 공기의 흐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예기치 못한 환경문제를 초래하기도 함→경기도 수도권 지역의 무분별한 택지 개발로 인해 수도권 남서부 지역에 빈번한 홍수 발생 등
②개발에 앞서 철저한 환경 영향 평가 필요
학습지2-5 |
학습주제 |
1. 지형과 인간 생활 |
교과서 |
5. 우리 나라 하천의 특색와 주민 생활 |
52~53 |
12. 우리 나라 하천의 특색와 주민 생활
(1) 우리 나라 하천의 특색
①높은 산지가 북족과 동쪽에 분포하기 때문에 큰 하천이 대부분 황해나 남해로 흐름
②계절에 따른 강수량의 변화가 심하고 특히, 여름철 집중 호우가 잦음→하천의 유량 변동이 심함
③하천 유역 면적이 좁고 식생의 피복이 적어 비가 오면 산지 사면을 타고 빠르게 하천으로 유입→유량 변동의 폭이 커 범람의 위험
④압록강․한강․대동강․금강 등 황해로 유입되는 하천은 유로가 길고 경사 완만→황해 조류의 영향으로 감조 구간이 나타나기도 함
(2) 하천의 특색에 따른 주민 생활
①집중 호우로 인한 범람 : 범람원 형성(농경지 이용)
②심한 유량 변동 : 내수로의 발달 미약→강수가 여름철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
하천 |
한강 |
낙동강 |
금강 |
나일 강 |
야쯔 강 |
라인 강 |
콩고 강 |
하상 계수 |
1 : 393 |
1 : 372 |
1 : 299 |
1 : 30 |
1 : 22 |
1 : 8 |
1 : 4 |
③댐 건설 활발 : 물 자원 이용률 향상→댐 건설로 인한 환경 문제 발생으로 물 부족 문제 해결 방안으로서 댐 건설 방안 제공
학습지2-6 |
학습주제 |
2. 기후와 인간 생활 |
교과서 |
1. 우리 나라의 기후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 인자는? |
54~55 |
1. 기후 요소와 기후 인가
우리 나라의 기후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 인자는?
(1)기후 요소와 기후 인자
①기후 : 기후는 장기간의 평균적인 대기 상태
②기후 요소 : 기후를 구성하는 요소→기온, 강수, 바람, 습도, 운량 등
③기후 인자 : 기후 요소의 시․공간적 차이를 일으키는 요인(위도․수륙 분포․ 지형․해발 고도․해류와 기단․전선․이동성 저기압 등)
(2) 우리 나라의 기후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 인자
①위도→북 반구의 중위도권에 위치→냉․온대 기후
②수륙 분포
․대륙과 해양 사이에 위치→계절풍 기후
․유라시아의 대륙 동안에 위치→대륙성 기후
③지형 : 산맥의 형태와 배열→강수량의 지역차, 겨울 기온의 동서차
④해발 고도 : 고원 지대에서의 고랭지 기후 환경
⑤해류
․난류 : 겨울 기온의 경우 동해안이 서해안보다 높음
․한류 : 관북 지방의 잦은 안개 및 냉해 발생 요인
⑥기단 : 계절에 따른 대륙 및 해양 기단의 확장과 쇠퇴→계절 변화
⑦전선 : 한 대 전선의 남북 이동→장마철의 기후 현상
⑧이동성 저기압 : 열대 이동성 저기압의 통과→태풍 피해 발생
학습지2-7 |
학습주제 |
2. 기후와 인간 생활 |
교과서 |
2. 기후의 지역적 차이는 어떠한가? |
56~57 |
2. 기후의 지역적 차이는 어떠한가?
(1) 기온 분포의 지역차
①기온의 수평적 분포 : 저위도에서 고위도로 가면서 낮아짐
②기온의 수직적 분포 : 고도가 높아질수록 낮아짐
(2) 대기 대순환
①의미 : 저위도의 에너지 잉여와 고위도의 에너지 부족 상태를 해소하고 균형 상태에 도달하기 위한 대기의 흐름
②위도에 따른 기압 배치
․적도 저압대 : 무역풍의 수렴대→상승 기류 발생, 다우지
․중위도(아열대) 고압대 : 하강 기류 발달→건조 기후대 형성
․고위도 저압대 : 편서풍과 극동풍이 만나 한 대 전선 형성
․극 고압대 : 극 주위의 찬 공기가 축적되어 고압대 형성
(3) 강수의 지역차
①다우 지역 : 적도 저압대, 고위도 저압대
②소우 지역 : 아열대 고압대, 극 고아대, 바다의 영향이 작은 대륙 내부 지역
(4) 식생의 분포
①기온 및 강수량 등의 기후의 영향을 받음
②식생의 수평적 분포 : 저위도에서부터 열대 우림-혼합림-타이가-툰드라-빙설지
③강수량과 식생 분포 : 건조 지역에서는 사막과 스텝 분포
(5) 토양 분포
①저위도에서 고위도로 가면서 위도대 별로 성대 토양 분포
②습윤 지역에서 건조 지역으로 가면서 라테라이트 토, 적색토, 체르노젬, 밤색토, 사막토로 변화
학습지2-8 |
학습주제 |
2. 기후와 인간 생활 |
교과서 |
3. 기후가 인간 생활에 미친 영향은? |
58~59 |
3. 기후가 인간 생활에 미친 영향?
(1) 주거 문화에 미친 영향
①기후에 따라 가옥 구조가 다름
②열대 기후 지역에서의 가옥 구조
․높은 기온과 습도 : 통풍 기능을 강화한 개방적 구조→나무나 물 위에 지은 가옥
․열대 기후 지역의 많은 강수량 : 대체로 지붕 경사가 급함
③건조 기후 지역에서의 가옥 구조
․심한 일교차 및 습기 부족을 극복하기 위한 가옥 구조
․두꺼운 벽이 흡열 및 방열 작용을 하여 일교차 극복
․비가 적어 지붕의 경사를 고려하지 않아도 됨
④한랭 지역에서의 가옥 구조 : 폐쇄적인 구조, 온돌․벽난로와 같은 난방 시설의 설치
⑤우리 나라의 가옥 구조
․북부 지방으로 갈수로 폐쇄적인 구조 : 온돌, 정주간
․남부 지방으로 갈수록 개방적인 구조 : 대청
(2) 의복 문화에 미친 영향
①저위도 지방
․더위를 피하기 위한 개방적인 의복 문화
․건조 지역의 경우 : 직사 광선의 차단을 위해 온몸을 얇은 천ㅇ로 휘감는의복 발달
②고위도 지방 : 방한 및 보온을 위한 밀폐적인 의복 발달
학습지2-9 |
학습주제 |
2. 기후와 인간 생활 |
교과서 |
4. 고온 다습한 기후를 좋아하는 벼 |
60~61 |
4. 고온 다습한 기후를 좋아하는 벼
(1) 열대 기후 지역의 먹거리 생산
①열대 기후
․원시 이동식 농업 카사바 등의 식량 작물
․플랜테이션 농업 : 카카오, 차, 바나나, 사탕수수 등
②열대 및 아열대 계절풍 기후 : 벼농사
․원산지 : 동남 아시아의 열대 계절풍 지대
․벼 재배 조건 : 생육 기간 150일, 성장기의 고온 다습한 기후
․벼농사의 특징 : 인구 부양력이 높은 작물, 인구 조밀 지역에서 주로 발달
․대표적인 벼농사 지역 : 아시아의 계절풍 지대
․관개 시설의 확충 : 남부 유럽 및 북미의 지중해성 기후 지역에서도 벼농사가 행해짐
(2) 온대 기후 지역에서의 먹거리 생산
①온대 계절풍 기후 : 벼농사
②서안 해양성 기후
․혼합 농업 : 밀․목초 재배와 가축 사육
․낙농업 : 대소비지 주변 지역에서 발달
③지중해성 기후 : 고온 건조한 여름에 잘 견디는 포도․올리브 등의 수목 농업
(3) 건조 기후 지역에서의 먹거리 생산
①구대륙의 초원 지대 : 유목을 통한 육류 및 유제품 생산
②신대륙이 초원 지대 : 기업적 방목, 상업적 곡물 농업(밀) 발달
학습지2-10 |
학습주제 |
2. 기후와 인간 생활 |
교과서 |
5. 온실 효과에 따른 지구의 기온 상승 |
62~63 |
5. 온실 효과에 따른 지구의 기온 상승
(1) 지구 온난화
①의미 : 인간의 활동에 의해 지구의 평균 온도가 높아지는 현상
②지구 온난화에 따른 변화
․기온 상승에 따른 생태계의 서직처 변화 및 혼란
․해수면 상승에 따른 해안 저지대의 침수
․농작물 수확량․수산물 어획량의 변화
(2) 지구 온난화의 발생 원인
①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증가시키는 화석 연료 사용량의 증가
원인 물질 |
이산화탄소 |
염화플루오르화탄소 |
산화질소 |
메탄가스 |
영향(%) |
55 |
24 |
6 |
15 |
②건조 기후 지역에서의 경지확대
③열대 우림 지역의 마구잡이식 삼림 개발에 따른 식생 파괴
(3) 지구 온난화 현상의 영향 : 세계 각 지역에서 홍수, 가뭄, 폭설 등 이상 기후 현상 발생, 해수면 상승, 생태계와 농․어업, 축산 및 산업 활동 전반에 변화를 가져옴
(4) 지구 온난화 방지를 위한 대책
①화석 연료 사용량의 감축
․기후 변화 협약(1992) : 지구 온난화 방지를 위한 국제 협약→화선 연료의 가스 배출 규제, 저 에너지 소비 구조로 산업 구조 개선 노력
․화석 연료 대신 사용할 대체 에너지의 개발→풍력, 태양력, 조력 등
②삼림 보전을 위한 노력 : 열대림 보호, 식목 사업 등
학습지2-11 |
학습주제 |
2. 기후와 인간 생활 |
교과서 |
6. 도시의 기후는 어떻게 달라지는가? |
64~65 |
6. 도시의 기후는 어떻게 달라지는가?
(1) 도시 기후의 발생 원인
①아스팔트나 콘크리트 등의 지면 피복
②주거․산업 시설․자동차 등에서 열 방출
③빌딩․대기 오염 물질에 의한 지구 복사열 차단
(2) 도시 기후의 특색
①주변 지역에 비해 기온이 높은 열섬 현상 발생
②구름의 양, 안개, 강수량이 많음
③습도, 일사량, 풍속은 감소함
7. 계절에 따라 풍향이 바뀌는 계절풍
(1) 계절풍
①계절풍의 발생 원인과 주요 발생 지역
․발생 원인 : 대륙과 해양의 비열 차이에 따른 계절적인 기압 배치
․주요 발생 지역 : 대륙 동안(東岸)에서 뚜렷하게 나타남
②계절풍의 특색과 인간 생활
․특색 : 열대 계절풍(남부 아시아)→하계 고온 다습, 온대 계절풍(동부 아시아)→동계 한랭 건조
․계절풍 지대의 주요 산업 활동 : 벼농사→여름 계절풍은 많은 비를 가져옴
(2) 높새 바람(푄 현상) : 영서 지방의 고온 건조→초여름의 가뭄 피해
학습지2-12 |
학습주제 |
3. 환경과 자연 재해 |
교과서 |
1. 자연 재해란 무엇인가? |
66~68 |
1. 자연 재해란 무엇인가?
자연 재해에는 어떤 종류가 있을까?
(1) 자연 재해
①자연 현상이 인간의 이익에 상반되는 방향으로 작용해 인간 활동에 피해를 입히는 것
②자연 재해의 유형
․지형적 요인 : 지진, 화산 활동, 산사태 등
․기후적 요인 : 홍수, 가뭄, 태풍 등
(2) 자연 재해의 유형별 특색
①지진 : 짧은 시간 동안 넓은 지역에 막대한 피해를 입힘
․건물, 도로, 교량, 철도, 가스관, 수도관, 전선 등을 파괴
․교통․통신 체계의 혼란과 마비 및 화재로 인한 피해
․복구를 위해 막대한 비용과 시간 필요
②화산 : 용암과 화산 분출물에 이한 직․간접적인 피해
․용암 분출과 화산 분출물의 낙하에 따른 매몰
․속도가 빠른 열운 및 화산 이류에 의한 인명 피해
․화산 폭발로 불안정해진 사면에서의 대규모 산사태
․화산 가스와 화산재에 의한 태양 빛의 차단에 따른 피해→대기의 온도 낮춤
③산사태 : 화산, 지진, 집중 호우 등에 의해 발생되는 경우가 많음
․불안정한 사면→토양층의 미끄러짐 현상 발생
․빠른 속도로 나타나기 때문에 매몰 사고로 인한 인명 피해가 큼
④홍수 : 많은 비가 내려 하천이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함
․하천의 범람에 다른 침수 피해 및 산사태 발생
․집중 호우 및 열대 이동성 저기압이 내습시 발생
⑤가뭄 : 비교적 오랫동안 비가 내리지 않는 현상
․넓은 면적에 장기간에 걸쳐 누적적으로 피해 발생
․물 부족 문제, 기근 문제 등 유발
⑥열대 해상에서 발생하는 이동성 저기압→태풍, 허리케인, 윌리윌리, 사이클론
학습지2-13 |
학습주제 |
3. 환경과 자연 재해 |
교과서 |
2 자연 재해가 주로 발생하는 지역은 어디인가? |
68~71 |
2. 자연 재해가 주로 발생하는 지역은 어디인가?
(1) 화산 및 지진대의 분포
①화산 활동 및 지진의 발생 원인
․지진 : 지각판의 이동에 따른 단층 작용
․화산 : 지각의 갈라진 틈을 따라 나타나는 마그마의 분출
②분포 특색 : 지진과 화산이 주로 발생하는 지역은 대체로 일치(지각판이 충돌하거나 분리되는 경계)
(2) 기후적 요인에 의한 재해 발생 지역
①발생 원인
․홍수 : 태풍의 내습․전선 형서에 따른 집중 호우의 발생→하천 유역의 난개발, 도시화의 진전 등 인위적인 요인에 의해 더욱 심화
․가뭄 : 기압 배치에 따른 강수량 부족, 기후 변동에 따른 장기간의 강수량 부족, 과도한 경지 개간에 따른 인위적인 식생 파괴 등
․열대 이동성 저기압 : 열대 해상에서 발생하여 고위도 지역으로 이동
②발생 지역
․홍수 : 다습한 기류가 유입되는 바람받이 사면
․가뭄 : 건조 기후 지역과 그 주변 지역(사헬 지대에서 심각하게 나타남)
3. 우리 나라의 자연 재해
(1) 지형적 요인에 의한 자연 재해 : 안정 지괴→지진과 활동에 의한 피해는 매우 적음
(2) 기후적 요인에 의한 자연 재해
①홍수 : 집중 호우에 의한 피해가 큼→태풍, 장마 전선에 남서 기류가 유입될 때 주로 발생
②가뭄 : 겨울~봄 가뭄→건조한 기단의 영향
학습지2-14 |
학습주제 |
3. 환경과 자연 재해 |
교과서 |
3. 자연 재해와 인간 생활 |
71~74 |
4. 자연 재해와 인간 생활
(1) 홍수와 인간 생활
①홍수의 영향 : 운반되던 물질들이 퇴적되어 하천 주변의 비옥한 충적토 형성→농업 생산력이 기반이 됨
②홍수 피해를 줄이기 위한 대책
․다목적 댐 건설, 하도 정비, 하상 퇴적물 제거 등
․저지대에서는 터돋움 집, 피수대(돈대) 등의 설치
․유여 분자의 산지 사면에서의 식목 사업 시행
․적절한 토지 이용 계획의 수립과 홍수가 자주 일어나는 지역의 개발 제한
(2) 가뭄과 인간 생활
①가뭄의 성격상 장기간의 대책 수립 필요성이 큼
②대책 : 다목적 댐 건설, 지하수 개발, 물절약의 생활화 등
(3) 화산 및 지진과 인간 생활
①화산 피해의 대책
․인공벽 건설로 인한 용암류 차단
․과학적인 예보 체계 확립 등
②화산 활동의 긍정적 측면
․화산회토의 형성 : 영양염류가 많은 비옥한 토양 발달
․온천 발달 : 주요 관광 자원으로 활용 가능
③지진 피해의 대책
․건물을 지을 때 진동에 대비한 강도를 높이는 내진 설계
․지진에 대비한 평상시의 훈련 실시 및 대피 시설 확보 등의 안전 대책 마련
5. 우리 나라에서의 태풍 피해
(1) 태풍의 성격
①필리핀 근해의 열대 해상에서 발생하는 강한 이동성 저기압
②여름철에 주로 발생하여 이동함
③강한 회오리 바람과 많은 비를 동반함
(2) 태풍에 의한 피해
①집중 호우에 따른 피해 : 하천 범람, 산사태 등
②강풍에 의한 피해 : 해일 발생, 선박 파손 등
(3)대책 : 태풍 발생 시기와 영향 정도의 예측, 신속한 대피 등
학습지3-1 |
학습주제 |
1. 장소의 인식과 입지 결정 |
교과서 |
1. 사람들은 장소를 어떻게 인식할까? |
78~81 |
1. 사람들은 장소를 어떻게 인식할까?
(1) 장소의 의미
①우리가 일상적으로 생활하는 공간
②구체적이고 독특한 지표면의 일정 구역
(2) 장소 인식의 특색
①장소에 대한 정보→의사 결정 과정의 중요한 자료
②장소 인식의 차이
․시대적․공간적 차이에 따른 장소 인식의 차이
․연령, 사회적 지위나 직업에 다른 장소 인식의 차이
․각자의 경험담과 동일한 장소에 대해서도 인식의 차이
③장소 인식의 중요성 : 주거․산업 활동 등의 입지 결정 과정에 영향을 끼침
2. 어디에 집을 지을까?
(1) 주거 입지의 자연적 요인
①주거 이지에 미친 영향
․농경 사회에는 자연적 요인이 결정적인 영향을 끼침
․농경지 개간의 필요성과 가능성이 주거지 확대에 영향을 끼침
②거주지 정착 순서
구릉과 구릉 사이의 소규모 저습지 |
하천 지류 주변의 저습지 |
하천 본류 주변의 넓은 저습지 |
③자연적 요인을 고려한 대표적인 주거지
․배산 임수(背山臨水)지역 : 좋은 기후 조건, 물․경지 및 연료 확보 용이
․범람원․삼각주 : 홍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자연 제방에 입지
․제주도, 선상지 : 물을 확보하기 쉬운 용천대에 입지
․산간 지대 : 경지와 물을 얻기에 유리한 계곡에 입지
(2) 주거 입지의 사회적 요인
①방어와 취락 입지 : 국경 지대의 취락, 산성 취락 등
②교통과 취락 입지
․나루터 취락 : 도(渡), 진(津), 포(浦) 등의 취락
․영 취락 : 문경, 수안보, 단양 등 고개 양쪽의 취락
․영원 취락 : 과거 육상 교통의 결절점에 위치한 취락
․경제적 여건을 고려한 취락 입지 : 오늘날에는 지가, 교통 등을 고려하여 취락 입지 결정
․환경을 고려한 취락 입지 : 환경 악화로 최근 전원 주택 발달
학습지3-2 |
학습주제 |
1. 장소의 인식과 입지 결정 |
교과서 |
2. 어느 곳에 무엇을 심는 게 좋을까? |
78~91 |
3. 어느 곳에 무엇을 심는 게 좋을까?
(1) 농업 입지의 자연적 요인
①과거의 자급 자족적 성격의 농업 : 자연 환경의 영향이 큼
②자연적 요인과 농업의 특색
요인 |
농업의 특색 |
기후 |
․최한월 평균 기온과 무상 일수→작물 재배의 북한계 결정(경작 양식에 의한 농업 지역 구분) ․시설 농업의 확대로 기후 제약이 점차 작아짐 |
지형 |
․산지가 많은 우리 나라 : 남서부 논농사 ,북동부로 갈수록 밭농사 발달 ․경지 이용 방식(논․밭 비율)에 따른 노업 지역 구분 |
(2)농업 입지의 사회적 요인
①과거와는 달리, 오늘날에는 사회적 요인의 영향이 매우 커짐
②사회적 요인과 농업의 특색
요인 |
농업의 특색 |
교통 수단의 발달 |
원교 농업의 발달, 낙농업 지대의 확산 |
시장 조건의 변화 |
인구 증가 및 소득 향상→상품 작물의 재배 확대 |
농업 기술의 혁신 |
자연적 조건의 제안 극복→시설 농업 지역의 확대 |
③농업 입지의 변화 요인 : 사회적 요인의 변화에 의함
․수요의 증대, 영농 기술의 다양한 발전, 교통의 발달, 식생활 변화 등
․자급 자족적인 농업에서 상업적인 농업으로 변화
4. 어디에 공장을 짓는 것이 가장 유리할까?
(1) 공업의 입지
①자연적 요인(지형․용수․동력 등), 사회적 요인(원료․노동력․시장․집적 이익 등)
②공업의 입지 유형
학습지3-1 |
학습주제 |
1. 장소의 인식과 입지 결정 |
교과서 |
1. 사람들은 장소를 어떻게 인식할까? |
78~91 |
입지 유형 |
공업의 특색 |
사례 |
원료 지향 |
․제조 과정에서 원료의 무게, 부피 감소 ․부패․파손이 쉬운 원료를 사용 |
․시멘트 공업, ․수산물 가공업 |
시장 지향 |
․제조 과정에서 제품이 무게․부피 증가 ․제품의 변질 및 파손 위험이 큼 ․소비자와의 잦은 접촉 필요 |
․주류․음료 제조업, ․가구 및 유리 제조, ․인쇄, 의류 제조업 |
교통(적환지)지향 |
․운송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큰 공업 ․무거운 중량의 원료를 해외에서 수집 |
석유 화학, 제철 공업 |
집적 지향 |
관련 계열 공장이 많고, 대자본과 고도의 기술을 필요로 하는 공업 |
기계, 석유 화학 공업 |
노동 지향 |
저렴하고 풍부한 노동력 필요 |
섬유․전자․신발 공업 |
입지 자유형 |
운송비에 비해 부가 가치가 큼 |
첨단 산업 계열 |
(2) 오늘날의 공업 입지 변화
①교통․정보 통신이 발달한 오늘날에는 운송비 비중 약화
②저임금 노동력․저렴한 공장 부지 확보, 소비자 정보․기술에의 접근성 등이 중시→지방 및 다른 나라로 공장을 분산 입지
5. 상점은 어느 곳에 입지해야 이익이 가장 클까?
(1) 상점의 입지
①고객이 많아야 이익을 크게 얻을 수 있음
②교통이 편리하여 접근성이 좋은 지역에 상점이 입지함
․마을을 드나드는 길목, 버스 정류장 근처
․도로 주변 등 교통로의 결절점에 위치함
(2) 상점 입지의 변화
①변화 요인
․대형 상점의 발달
․도로 신설, 자가용 승용차의 보급 확대
․인터넷을 통한 전자 상거래의 확대
②상점 입지의 변화
․대형 상점에 대한 선호도 증가로 중․소규모 상점이 쇠퇴
․인터넷을 이용하는 경우에 가격 할인율이 높아 off-line 상점의 위기 도래
(3) 상점 유지에 필요한 조건
①최소 요구치를 만족하는 범위가 재화의 도달 범위 내에 있어야 함
②최소 요구치 : 상점이 유지되기 이한 최소한의 고객 수→상점 기능이 유지되기 위해 최소한의 수익 확보
③재화의 도달 범위 : 시장이나 상점에서 재화나 서비스가 공급되는 최대 범위, 거리에 따른 운송비 증가를 전제 조건으로 함
④재화의 최대 도달 범위 : 재화의 판매 수익이 0이 되는 공간적 범위
학습지3-3 |
학습주제 |
1. 장소의 인식과 입지 결정 |
교과서 |
3. 상점의 수나 규모는 왜 변할까? |
78~91 |
6. 상점의 수나 규모는 왜 변할까?
다국적 기업과 공업 입지
(1) 시장의 변화와 그 요인
(2) 다국적 기업과 공업 입지
①다국적 기업 : 기업 내 국제 분업을 반영하는 현상
②다국적 기업의 발달 과정 : 달일 공장의 성장→주변에 분공장이나 영업점 설치하여 네트워크로 연계→해외에 영업 대리점 및 지점 설치→해외에 분공장을 세워 다국적 기업으로 통합된 기업 조직 형성
③다국적 기업의 경영 방식이 우리 나라 기업에 끼친 영향
․본사를 국내에 두고 분공장을 해외에 설치하는 경우 증가
․주요 해외 진출 지역 : 동남 아시아, 중․남미, 유럽 등
․해외 진출 효과 : 값싼 노동력 확보, 무역 장벽의 극복 등
학습지3-4 |
학습주제 |
2. 도시 체계와 내부 구조 |
교과서 |
1. 도시 분포에는 어떤 규칙성이 있을까? |
92~101 |
1. 도시 분포에는 어떤 규칙성이 있을까?
우리 나라의 도시는 어떤 과정을 거쳐 발달하였을까?
(1) 중심지 이론과 도시 체계
①중심지 이론의 의의 : 중심지의 공간적 분포․계층성, 상권․도시 분포에 이상적인, 모델
②중심지 체계의 형성
․중심지 형성 : 최소 요구치가 재화의 도달 범이 내에 만족될 경우
․중심지 체계의 형성 : 중심지 기능마다 각각의 최소 요구치가 다르기 때문
(2) 도시 체계 : 크고 작은 도시들이 계층 체계를 이루고 잇는 현상
①도시 계층과 기능과의 관계 : 중심지 이론의 적용
․도시 규모가 클수록 수는 적고 도시 간의 거리는 멀며, 기능이 다양함
․중․소규모의 도시는 많으나 기능은 단순하고 도시 간의 거리가 짧음
②우리 나라의 도시 체계 : 도시 체계의 불균형 심화→급속한 도시화에 따른 문제, 수위 도시인 서울의 과도한 성장, 대도시와 중․소도시 간의 성장 불균형
2. 도시 내부를 들여다보자. / 도심은 어떤 곳일까?
(1) 도시의 내부 구조
①도시 내부 구조 분화 과정
․지역 분화 요인 : 지대와 접근성의 차이→접근성이 높으면 지대도 높음
․지역 분화 과정 : 집심(執心) 현상과 이심(離心) 현상
집심 현상 |
높은 지가를 지불하고라도 접근성이 큰 도심으로 집중 |
업무․관리, 상업 및 서비스 기능 |
이심 현상 |
넓고 쾌적한 땅을 얻기 위해 지가가 낮은 외곽 지역으로 분산 |
주택, 공장, 학교 등 |
(2) 도심
①도심의 특색 : 도시 중심부에 위치→접근성이 가장 좋음
․땅값이 비싸 높은 건물이 많음→고층화 경향
․유동 인구 및 교통량이 많고, 범과 낮의 인구 밀도 차이가 큼(인구 공동화 현상)
②최소 요구치가 큰 활동들(상업, 업무, 관리 기능)의 집적→중심 업무 지구 형성
학습지3-5 |
학습주제 |
2. 도시 체계와 내부 구조 |
교과서 |
2. 도시의 주변 지역을 탐험해 보자 |
92~101 |
3. 도시의 주변 지역을 탐험해 보자.
도시화와 도시 문제
(1) 도시의 주변 지역
①주변 지역 : 지대 지불 능력이 낮은 주택, 학교, 공장 등의 혼재
②부심의 성장
․주변 지역과 도심 지역을 연결하는 교통 요지에 위치
․도심의 기능과 유사한 상업․업무 활동이 입지하는 경우가 많음
(2) 도시화와 도시 문제
①도시화 과정
도시화 단계 |
발달 정도 및 요인 |
초기 단계 |
․농업 중심 사회 ․도시 인구율이 낮음 |
가속화 단계 |
․이촌 향도 현상 뚜렷 ․도시 인구 급증으로 도시 문제 밝생 |
종착 단계 |
․이촌 향도 현상 완화 ․도시 간 이동이 활발해짐 |
②도시 문제
․도시 간 성장의 불균형→대도시의 급성장과 지방 중소 도시의 정체
․대도시의 과밀화→주택․교통․상하수도 문제, 공해 발생
․도시이 무질서한 팽창(스프롤 현상)
③도시 문제의 대책
․도농 통합시, 광역 도시권의 설정→지방 도시의 성장 추구
․신도시 건설을 통한 기능 분산, 도심 재개발 사업을 통한 정비
․개발 제한 구역의 설정 및 철저한 관리
학습지3-6 |
학습주제 |
2. 도시 체계와 내부 구조 |
교과서 |
3. 대도시 주변의 인구 및 토지 이용 변화 |
92~101 |
4. 대도시 주변의 인구 및 토지 이용 변화
(1) 인구 증가 경향
①대도시 주변 농촌 지역은 인구 증가(대도시에서 먼 농촌 지역은 인구 감소)
②인구 증가 요인
․대도시에서 이전된 분공장에 고용된 사람들
․대도시로부터 땅값이 싼 지역으로 이주한 사람들
․소득이 높은 시설 농업을 하기 위해 이주한 사람들
(2) 경관의 특색
①경지와 대형 아파트의 혼재→농촌 경관과 도시 경관이 공존함
②넓은 도로의 발달→대도시와이 접근성 고려
③도시적 경관의 증가→도시적 생활 양식이 보편화됨
(3) 주민 특성
①도시와의 접근성이 좋아 도시로 출․퇴근 가능→도시에서 멀리 떨어진 농촌에 비해 주민들 간의 동질성 및 유대감이 떨어짐
②겸업 농가의 증가→주민 구성이 이질적, 도시적 생활 양식
③베드 타운의 성격 : 직장을 대도시에 둔 주민이 많음
④고급 상품의 구매나 여가 활동은 대도시에서 이루어짐
(4) 토지 이용 방식
①농목업 방식의 특색
․비닐 하우스, 유리 온실 등의 시설을 통한 원예 작물이 재배
․소규모의 목장이나 양계장 및 양돈장 등의 입지→대도시로 공급
②택지 규모의 증가
․인구 증가에 따른 주택 수요의 증대
․기존의 경지나 야산 개발을 통한 대규모 택지→도시 이주민들의 주택 수요 충당
학습지3-7 |
학습주제 |
3. 지역 생활권의 형성과 변화 |
교과서 |
1. 지역 생활권은 어떻게 변화하는가? |
102~110 |
1. 지역 생활권은 어떻게 변화하는가?
(1) 지역 생활권의 형성 : 개인 및 집단의 공간적 상호 작용에 의해서 형성
(2) 지역 생활권의 변화 : 교통과 통신의 발달에 따라 달라짐
①교통의 발달
․시간적․장소적 거리의 극복→생활 공간 확대, 생활 양식의 평준화
․인구의 도시 집중과 인접 지역 분산→대도시권 형성
②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
․절대적인 시․공간의 중요성 약화
․사이버 공간의 출현→일상 생활의 공간 확대
2. 농민이 도시로 간 까닭은?
(1) 도시화와 이촌 향도
①산업화에 따라 부가 가치가 높은 2․3차 산업 발달
․도시의 일자리 증가→인구 흡인 요인 발생
․농어촌 지역이 인구가 도시 및 공업 지역으로 집중
②1960년대 도시화․산업화의 진전으로 우리 나라에 대규모 이촌 향도 현상 발생→농촌은 과소화 현상, 발생
③이촌 향도의 영향
․농촌 : 노동력 부족, 농가 1호당 경지 면적 증가, 공동체적 성격의 악화 등
․도시 : 땅값 상승, 주택난, 교통난, 환경 오염, 실업 문제 발생 등
(2) 도시화와 농촌 사회의 변화
도시에서 먼 농촌 지역 |
․휴경지 발생, 노동력의 노령화→영농의 기계화 ․편의 시설 위축 및 정체의 악순환 |
도시에서 가까운 농촌 지역 |
․상업적 농업 발달→집약적 토지 이용, 원예 농업 발달 ․도시적 경관의 증가→대도시권의 확대 및 상호 의존성 증가 |
학습지3-8 |
학습주제 |
3. 지역 생활권의 형성과 변화 |
교과서 |
2. 대도시권은 어떻게 형성될까? |
102~110 |
3. 대도시권은 어떻게 형성될까?
(1) 대도시건의 형성
①대도시권
․대도시가 중심 도시로서 주변의 위성 도시 및 근교 지역을 흡수하여 하나의 지역 생활권을 형성하는 것
․대도시의 경제 성장과 인구 집중이 대도시권 형성에 크게 작용
②대도시권 형성의 주요 요인
․대중 교통 수단 발달(광역 교통망의 확충)
․공업 분산화 정책→주변 지역의 취업 기회 확대→수도권 서남부 지역 성장
․쾌적한 주거 환경에 대한 욕구
․정부의 인구 분산 정책 : 서울의 과밀 문제와 성장 억제 정책
․서울과 주변 지역 간의 기능적 의존 관계 심화
③대도시권의 형성 과정 : 중심 도시의 계속적인 성장에 따른 과밀 문제 발생→중심도시의 인구 및 산업 시설이 주변 지역으로 분산→중심 도시와 주변 지역을 연결하는 교통망 정비→대도시와 주변의 위성 도시 및 근교 농업 지구로 이루어지는 대도시권 형성
(2) 대도시권 형성의 영향
①대도시의 통근권 확대
②위성 도시의 성장과 베드 타운화 경향
③근교 농업 지구의 상업적 농업 발달
④연담 도시․메갈로폴리스의 형성 : 도시 간 고속 도로의 발달로 인해 시가지가 연속되어 나타남
학습지3-9 |
학습주제 |
3. 지역 생활권의 형성과 변화 |
교과서 |
3. 농촌 지역의 생활권은 어떻게 변화되었을까? |
102~110 |
4. 농촌 지역의 생활권은 어떻게 변화되었을까?
(1) 농촌 지역 생활권의 확대
①교통의 발달→도시와의 접근성이 좋아짐
②농촌 지역과 인근 도시의 상호 의존성 증대→도시에서 구매․여가 활동
③도시로의 통근자 증가 : 비농업 종사자 수의 증가
(2) 농촌 인구의 변화
①이촌 향도 현상의 완화
․농가 인구에 비해 농촌 인구의 감소추세가 뚜렷하게 둔화
․인근 도시에서 취업할 수 있는 기회증대, 생활 여건 향상
②도농 복합의 새로운 주거 지역으로 변화]
․도․농 통합시의 증가
․농촌 지역의 생활 여건 개선 및 생산 활동 변화
(3) 농촌 지역이 생산 활동 변화
①현대인의 식생활 변화→채소 등 상품 작물 소비 증가
②시설 농업의 확대 : 계절에 관계 없이 상품 작물을 연중 생산
③원예 작물 재배 지역의 확산
․교통 여건의 개선→근교 농업 지역과 함께 원교 농업 지역으로 확대
․지대가 비싼 근교 농업 지대에 비해 조방적인 농업 가능
학습지3-10 |
학습주제 |
3. 지역 생활권의 형성과 변화 |
교과서 |
4. 서울은 인구가 줄고, 경기도는 인구가 늘고 |
102~110 |
5. 서울은 인구가 줄고, 경기도는 인구가 늘고
(1) 수도권은 인구 집중
①최대의 인구 밀집 지역
․서울의 인구는 2001년 현재 약1,100만 명
․우리 나라 전 국토의 0.6%에 해당하는 수도권에 우리나라 인구의 약 50%가 집중
②인구 밀집의 원인
․1960년대 이후 산업 시설과 각종 교육, 문화, 서비스 시설이 수도권에 집중
․눈덩이 효과(snow ball effect)로 인해 인구와 시설 유입 가속화
(2) 최근의 인구 변화
①서울의 인구 감소 : 1993년 이후 인구 감소 추세
②인천과 경기도 지역의 인구 증가 : 1980년대 이후 전국에서 전입률이 가장 높음
․일산, 분당, 평촌 등 신도시 건설 : 서울에서의 인구 이동 활발
․수도권의 인구 변화
지역 |
1990년 |
1995년 |
2000년 |
서울 |
24.4% |
22.9% |
21.4% |
인천 |
4.2% |
5.3% |
5.4% |
경기 |
14.2% |
17.1% |
19.5% |
수도권(계) |
42.8% |
45.3% |
46.3% |
(3) 수도권 과밀 현상으로 인한 문제점
①위성 도시의 자족 기능 약화
․서울 인근의 부천, 성남, 안양, 과천, 광명 등지는 베드 타운화
․과천과 광명은 출․퇴근 인구의 60%가 서울로 향함
②통근자 수와 출․퇴근 거리의 증가→교통비 증가, 교통 체증에 따른 시간의 소비, 정신적 긴장 등
③서울 주변 지역의 녹지 감소→생활 환경 악화, 환경 파괴
학습지4-1 |
학습주제 |
1.환경문제의 확산 |
교과서 |
1. 환경문제는 왜 생기는 것일까? |
114~123 |
1. 환경문제는 왜 생기는 것일까? ⇒환경문제 발생의 원인
(1) 생태계
①인간 생활은 태양과 지구에 전적으로 의존
■태양으로부터 생태계에 필요한 기본적인 에너지 흡수
■지구로부터 대기의 물, 토양, 삼림, 초지, 동물과 광물 등을 얻음
②생태계의 구성요소는 인간 생활의 배경을 이룸→자정 작용과 순환 체계를 통해 균형과 조화를 이룸
(2) 환경 문제의 발생 원인
①환경 문제
■환경 체계의 균형과 조화가 깨지는 것
■농경을 바탕으로 하는 정착 생활이 진전되어 자연에 대한 인간의 간섭이 커지게 되면서 시작→인구증가, 생활수준 향상에 의한 자원 소비 증가, 기술 개발, 자연에 대한 인간의 이기적 생각과 태도 등
②환경오염의 종류
■대기 오염 : 공장, 차량, 난방 설비, 화력 발전 등에서 나오는 매연과 먼지→스모그 현상, 오존층 파괴, 산성비, 온실효과 등
■하천 오염 : 축산, 산업, 생활폐수 등→상수원 오염, 하천 생태계 파괴 등
■해수 오염 : 오염된 하천수, 공장폐수, 선박 폐유→해안 생태계 및 연안
어장 황폐화
■토양 오염 : 농약, 화학비료의 남용, 중금속 공업 폐기물 등 →중금속의
축적성 중독
③문제점
■환경 체제의 악화는 인간 생활의 기반을 파괴함
■악화된 환경 체계는 또 다른 환경 문제의 원인이 됨→되풀이되는 악순환
2. 환경문제가 확산되고 있다! ⇒ 환경문제의 확산
(1) 공간적 확산
①인류의 거주 공간이 확대되면서 환경 문제의 공간적 확산이 이루어짐
②일부 공업국의 환경 문제가 전 지구적인 규모로 확산
(2) 환경 문제의 심화
①산업 혁명으로 인구 부양력이 크게 향상되면서 인구 증가와 자원 이용량의 증가 속도도 폭증→환경이 빠른 속도로 악화, 다양한 형태의 환경 문제 발생
②환경 문제는 시급한 대책 마련이 필요한 인류의 당면 과제가 됨
3.지구가 몸살을 앓고 있다 ⇒환경문제의 특성
(1) 전 지구적인 문제
①오염 물질의 확산과 전파 : 대기 대순환에 의한 확산, 오염 물질 이동에 의한 확산
②오염 발생국과 인접 국가에 영향→지역 갈등 원인, 공동 대처의 필요성
증대
(2) 지구 온난화
①지구 대기의 평균 온도가 상승하는 현상
②원인 : 산업화에 따른 다량의 오염 물질 배출로 온실 가스 배출량 증가(이산화탄소가 대표적→지구 복사열을 대기 중에서 흡수)
③영향 : 빙하가 녹음으로 해수면 상승하여 해안 저지대 침수, 지형 변화, 기후 변동, 이상 기후 발생, 농업 체계의 혼란 등
(3) 오존층의 파괴
①오존층
■대기권 내의 성층권 부근에 위치하는 오존(O₃)으로 구성된 얇은 층
■성층권 내에 위치한 오존층은 태양 광선 중에서 생물체에 해로운 자외선을 흡수, 차단해 인간과 생물 생존에 중요한 역할 담당
■지표 부근에서 질소 산화물과 태양 광선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오존은 광화학 스모그의 원인, 강한 산화력 때문에 동, 식물에 피해
② 오존층 파괴
■파괴원인 : 냉매, 발포제, 세정제, 분사 추진제 등으로 사용되는 염화플루오르화탄소(CFC,프레온 가스라고 알려짐)
■대책 : 프레온 가스의 배출 규제, 대체 물질의 개발 시급→1987년 세계적으로 오존층파괴 물질을 규제하는 몬트리올 의정서 채택, 1992년 우리나라도 가입
③ 오존층의 파괴로 인한 영향
■인체의 유전자와 면역 체계가 파괴되어 피부암, 백내장 등 각종 질병 유발
플랑크톤이 감소하여 먹이 사슬 파괴
4.국가와 지역을 넘나드는 환경문제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 환경오염의 종류
(1) 열대림 파괴
①열대림 : 일년 내내 고온 다우한 환경에서 형성되는 식생→가장 다양한 식물 종 분포, 지구 최대의 산소 생산 지역, 의약품의 원료 제공
②열대림 파괴의 원인 : 인구 증가에 따른 화전경작 및 경지 확대, 지나친 방목과 무절제한 삼림 파괴 등
③열대림 파괴의 영향
■생물 종 다양성 감소
■토양침식, 물 순환체계의 변화로 환경 변화
■광합성을 하는 식물의 감소로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증가하여 지구 온난화 가속
(2) 산성비 문제
①산성비
■공장이나 교통 기관의 배기 가스에 함유된 황 화합물과 질소 산화물 등의 대기 오염 물질이 빗물에 섞여 내리는 비
■깨끗한 자연 상태에서도 빗물은 pH 5.6 내외의 약한 산성 →산성비는 이보다 강한 pH5.6 이하의 산도를 나타냄
②산성비에 의한 피해
■세계 각지의 삼림 황폐화, 토양 오염, 호수나 하천의 물고기 떼죽음, 건축 구조물과 고고학적 유물 부식
■대기 오염 물질의 국제적 이동 : 유럽의 산성비 피해, 1970년대 미국과 캐나다 간의 산성비 분쟁, 동북아시아 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중국의 황사
③대책 : 저공해 자동차 개발, 청정 연료를 에너지원으로 사용 등
5.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들이 필요할까?
중국산 산성비? ⇒환경 문제 해결방안
(1)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제적 노력
①환경 문제는 인구와 자원 이용, 기술수준, 이용된 자원의 오염 정도에 따라 달라짐
환경오염을 가져오는 요인들
인구수× 1인당 자원 소비량 × 자원소비에 따른 환경악화 = 환경 오염
②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환경문제
■개발 도상국 : 인구 과잉으로 인하여 환경 문제 발생→자원, 자본, 기술 등 다각적인 검토필요
■선진국 : 과다한 소비에 의해 환경문제 발생→기술개발로 자원 소비량 감소
③국제 협약을 통한 환경문제 해결
■지구 온난화 현상이나 오존층 파괴는 인류 공동의 해결 노력 필요
■‘리우 선언’ :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 가능한 개발의 원칙을 이념으로 함
(2) 중국의 공업화가 우리 나라 환경에 미치는 영향
①황사 현상과 다이옥신 문제
■황사의 미세 먼지로 인한 피해 : 호흡기 질환, 기계 고장 유발
■중국의 공업지대를 통과한 황사는 다이옥신을 비롯한 대기 오염 물질을 다량 함유
②산성비 문제 : 중국은 석탄을 주요 에너지원으로 하고 있어 편서풍에 의해 오염 물질이 우리 나라로 이동하여 피해를 줌
③황해 오염 문제 : 중국의 동쪽 해안 지역에 공업 시설 집중→바람과 황해로 유입되는 하천에 의해 황해 오염 심각
<참고 자료>
프레온 가스: 미국 기업인 뒤퐁사의 상품이 일반화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무 맛과 색이 없다. 폭발성이 없고 불연성에다 독성이 없으므로, 냉장고나 냉동고․ 에어컨 등의 냉매제로 사용된다. 프레온 가스는 화학적으로 안정하므로 사용후 성층권까지 도달하는데, 이 때 자외선에 의해 염소 분자가 분해되어 오존층파괴의 원인이 된다.
학습지4-2 |
학습주제 |
2. 지역 개발과 환경 보전 |
교과서 |
1.지역개발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은? |
124~129 |
1.지역개발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은? ⇒지역개발의 목적과 방법
(1) 지역 개발
①의미 : 지역을 효율적으로 개발하여 국토의 생산성을 높이고, 지역의 경제 구조를 개선하여 주민의 생활 수준을 향상시키는 사업
②목표
■재화나 용역의 효율적인 생산과 분배
■소득 격차나 빈곤의 해결 등을 통한 복지 사회 건설
■개발과 보전의 조화, 성장의 극대화 및 지역의 균형 발전
(2) 지역 개발 방식
①거점 개발 방식
■어느 정도 산업 기반이 갖추어진 곳을 거점으로 삼아 집중적으로 개발하고, 그 개발의 성과가 다른 지역으로 퍼지게 하는 방법
■중앙 정부가 계획을 수립하고 집행하는 하향식 개발
■장점 : 국민 경제의 총생산을 증가시키는 데에 효과적
■단점 : 개발효과가 주변 지역으로 잘 파급되지 않으면 지역 격차 심화
②균형 개발 방식
■경제적으로 낙후된 지역에 우선적으로 투자하여 지역 간에 고른 발전을 유도하는 방법
■지방 정부가 주도하는 상향식 개발→지역 주민의 의사가 잘 반영되는 개발 방식
■자본과 기술이 부족하거나 주민 참여가 없을 경우에 실효를 거두기 어려움
③제 4차 국토 종합 계획(2000~2020년)
■목표 : 더불어 잘 사는 균형 국토, 자연과 어우러진 녹색 국토, 지구촌으로 열린 개방 국토, 민족이 화합하는 통일 국토
■특징 : 국가, 지방 자치 단체, 지역 주민이 함께 참여, 국토 환경 보전 중시
2.지역개발 및 자원개발과 환경⇒환경문제와 해결방법
(1) 개발 수준에 따른 환경 문제의 차이
①선진국 : 일찍 산업화를 이룩한 서구 선진국들은 이미 개발에 따른 환경 문제를 겪음
②개발 도상국
■짧은 기간 동안 공업화와 도시화가 동시에 진행
■국토개발이나 지역 개발 과정에서 토지 및 각종 자원이 무절제하게 개발됨
■극심한 생태계 파괴와 환경 오염 현상 발생
(2) 우리 나라의 지역 개발과 환경 문제
①환경 보전보다는 개발에 집중된 국토 개발 실시
■1960년대 이후 도시화와 산업화를 거치면서 생태 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국토 개발→좁은 국토, 많은 인구, 빈약한 부존 자원 등이 원인
■고도 경제 성장은 이루었으나, 자원 남용과 에너지 소비 증가로 국토는 위기를 맞음
②무분별한 개발에 따라 피해 발생
■급속한 도시화 과정에서 무분별한 주거 단지 건설→경기 북부 지역의 잇따른 홍수 피해의 가장 큰 원인
■농경지와 삼림이 갖고 있는 자연적인 홍수 조절 기능을 살리면서 개발이 이루어져야 재해 예방
③간척 사업 문제
■해수면 간척 : 제방을 쌓아 바닷물을 막고 바다를 매립하여 농업 용지와 공업 용지를 조성하는 방법
■쌀 소비 감소, 휴경지 및 폐농 증가→지난 10여 년 사이에 식량 확보와 국토 확장이라는 간척의 명분이 많이 퇴색
■무분별한 간척과 개발에 따른 폐해→국민 개개인의 환경 보전에 대한 필요성 인식
■간척보다는 갯벌의 보전 가치가 더 큰 것으로 알려짐→간척 사업에 앞서 철저한 환경영향 평가, 간척 사업 실시에 신중을 기해야 함
3. 환경을 파괴하지 않고서도 개발할 수 있다.
지하수와 하천의 무분별한 개발로 인한 환경문제 ⇒친환경적 개발
(1) 지속 가능한 개발
①환경적으로 건전하며 지속 가능한 개발
■경제 성장이나 생활 환경 개선 등을 위한 개발로 환경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대안으로 제기된 것
■미래 세대의 수요를 충족시키는 능력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현재 세대의 수요도 만족시키는 개발
②자원의 유한성과 자연의 자정 능력을 전제로 한 개발
■환경이 지탱할 수 있는 용량의 범위를 넘어서는 인간 활동을 억제
■개발과 보전의 이익을 동시에 추구→생태계 보전 가능
(2) 개발로 인한 환경 문제
①지하수 개발과 환경 문제
■물 수요의 증가로 지하수가 중요한 물 자원으로 부각
■무분별한 관정 개발, 관리 부실, 폐공 방치→지하수 고갈 및 오염, 지반 침하
■지반 침하 : 토양 속의 지하수 제거로 빈 공간이 압축되면서 지반이 낮아지는 현상→새로운 지하수의 유입 곤란, 지표의 건축물 붕괴
②중앙 아시아의 개간 사업과 아랄 해의 환경 문제
■아랄 해 : 중앙 아시아의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 사이에 위치한 호수→아랄 해로 흘러드는 강물을 관개 용수로 이용하면서 호수 면적 축소, 주변 지역은 염분이 많은 사막으로 변화
■원인 : 1950년대 구 소련의 개간 사업→지나친 관개, 면화의 과잉 생산
■영향 : 강물이 말라 버려 호수 면적 축소, 지하수 오염, 생활 환경 파괴
<참고자료>
아랄해의 축소:중앙 아시아의 아랄해는 염호(鹽湖)인데, 구 소련이 아랄 해로 흘러드는 강물을 1950년대부터 대량으로 관개에 이용하였다. 그 결과, 물의 양이 예전보다 1/3로 줄어들어 염분이 많은 사막으로 변해버림으로써 생물이 살지 못하는 곳으로 변하였으며, 소금기 섞인 바람이 주변지역의 생태계에 엄청난 위협을 주고있다. 이는 환경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여 않은 개발의 문제점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학습지4-3 |
학습주제 |
1.지역차와 지역갈등 |
교과서 |
1. 생산기반을 둘러싼 지역갈등 |
130~136 |
1. 생산기반을 둘러싼 지역갈등 ⇒지역갈등과 해결방안
(1) 지역 이기주의
①님비(NIMBY, Not In My Backyard) 현상
■혐오 시설이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 사회에 들어서는 것을 기피하는 현상
■쓰레기 매립장, 소각장, 화장장 설치등을 둘러싸고 주민들의 집단 행동이 뒤따르기도 함
■국가나 지역 주민의 지혜가 절실히 요구됨
②핌피(PIMFY, Please In My Frontyard) 현상
■지역 사회에 경제적 이익을 가져오는 사업이면 자신의 지역사회에 유치하겠다는 현상
■새로운 행정 관청을 유치하기 위한 지방 자치 단체들의 경쟁 등
(2) 대규모 댐 건설을 둘러싼 갈등
①물 자원 확보 필요성 : 인구 밀집 지역의 용수 수요 충족, 계절 변동이 큰 강수량→댐 건설의 필요성 증대
②댐 건설을 둘러싼 갈등 발생 : 지역 및 이해 관계가 대립되는 각 계층 간의 갈등 발생
■하류 지역에 물 자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류에 댐 건설→상, 하류 지역 주민 간의 이해 관계 대립
■대규모 댐 건설로 주변 지역의 환경 파괴 및 생태계 변화→안개 일수 증가로 기관지 환자 증가, 농산물 생산량 감소, 수질 오염 심화 등으로 지역 주민과 정부 간의 갈등
■댐 건설을 반대하는 환경 보호론자와 댐 건설을 찬성하는 개발론자의 갈등
■다양한 이해 관계의 대립→다목적 댐과 같은 대형 기반 시설의 입지 결정이 어려움
(3) 갈등의 해결 방안
①경쟁 당사자 간의 공동 이익을 추구하는 동반자 의식 필요
②갈등 당사자 간의 민주적, 합리적인 노력을 통해 해결 모색
③자원 이용과 배분에 있어서 효율성, 형평성 추구
2.지역차와 지역갈등⇒ 지역개발에 따른 지역갈등
(1) 지역 개발과 환경 문제
①지역 개발의 특성
■삶의 질을 높이고 편리함을 추구하기 위해 자연 환경을 변화시킴→환경 문제 발생
■우선적으로 환경 문제가 발생한 지역 주변의 현지 주민들이 피해
②지역 개발로 인한 지역 갈등
■지역 주민들 간의 이해 관계에 따라 지역 갈등 심화
■개발에 따른 경제적 이익과 환경 보전에 따른 생태계 이익에 대한 견해 차이 때문에 지역 갈등 발생
(2) 세계적인 규모의 지역 갈등
①남북 문제 : 경제적 격차에 따른 선진국과 개발 도상국의 차이→국제 사회가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
■선진국은 대체로 북반구의 냉, 온대 지역에, 개발 도상국은 적도 부근의 저위도와 남반구에 주로 위치하기 때문에 붙여진 명칭
■선진 공업국 : 수준 높은 과학 기술을 바탕으로 풍요로운 생활을 영위하며 국제 사회에서 주도적인 영향력 행사
■개발 도상국 : 낙후된 기술 수준, 사회 기반 시설의 부족, 빈약한 자본 등의 문제→1차산품의 생산에 주력하여 경제적으로 어려움, 많은 인구는 근대화에 걸림돌
②지역 개발로 인한 분쟁
■개발로 인해 주변 지역이나 국가에 환경 문제나 경제, 사회적 격차 발생
■갈등 사례 : 위천 산업 단지 건설, 국제 하천을 둘러싼 물 자원 분쟁 등
3.문화적 차이로도 지역갈등은 발생한다. ⇒지역갈등의 원인
(1) 문화적 차이로 인한 지역 갈등
①인종, 언어, 종교 등의 문화적 요소는 생활 양식에 많은 영향을 미침→서로 다른 인종의 종교, 언어를 갖는 집단 간에는 이해 관계에 따라 갈등 발생
②인구 증가와 생활 공간의 확대→세계 도처에서 문화적 차이에 의한 갈등 증가
(2) 서로 다른 인종 간의 갈등
①미국 : 흑인을 비롯한 유색 인종에 대한 차별 존재
②남아프리카 공화국 : 법적으로 평등하지만, 여전히 흑백 갈등 존재
(3) 서로 다른 언어사용에 따른 갈등
①다수 언어사용 집단과 소수 언어사용 집단의 갈등
②캐나다의 퀘벡 주 독립 운동 : 프랑스 계 퀘벡 주 주민이 영어 사용권에서 독립 시도
4.지역갈등과 지역분쟁 ⇒갈등 배경
(1) 종교, 민족 간 갈등→지역 간, 국가 간 분쟁으로 확대되기도 함
(2) 발생지역 : 경제적, 정치적 불안정 상태에 있는 저개발국이나 개발 도상국
①많은 난민 발생, 내분으로 인한 국가 분리(인도 반도, 동부 유럽 등)
②주로 아프리카, 아시아 대륙에서 난민 발생
③분쟁을 치룬 지역에서는 경제 파탄, 빈곤과 질병으로 인한 사망자 급증
(3) 경제적 이권을 둘러싸고 강대국의 개입이 이루어지기도 함 : 카슈미르와 서남 아시아 지역의 분쟁
<참고자료>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관점: 환경 보호자들은, 빠른 경제성장이 문제를 낳았으므로, 경제성장률과 인구 증가율을 줄여야한다고 주장한다. 반면, 경제 성장론자들은, 지금까지 너무 분별 없이 경제 성장만을 추구한 것이 문제이므로, 앞으로 좀더 분별있게 경제성장을 추구하면 환경을 해결하면서도 계속 성장을 이룰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학습지5-1 |
학습주제 |
1. 종교와 문화의 다양성 |
교과서 |
1. 농경의 시작과 문화 발전의 관계는? |
140~142 |
1. 농경의 시작과 문화 발전의 관계는? ⇒문화의 생성과 발전배경
(1) 농경과 문화의 관계
①문화
․특정 집단이 가지고 있는 사상, 종교, 언어 관습 등을 포함하는 생활 양식
․문화(culture) : 라틴어의 ‘경작(cultura)'에서 유래→문화와 농경은 밀접한 관계
②농경
․인류는 장기간에 걸쳐 채집과 수렵 기술을 축적
․농경의 시작→정착 생활 가능
․좁은 지역에서 많은 식량 생산→인구 급증, 문화 형성, 문명 발달
(2) 고대 문명의 형성
①고대 문명 : 이집트․메소포타미아․인더스․황하 문명
②건조 기후 지역→관개를 위한 노동력의 관리 필요
③비옥한 하천 유역→문화가 발달할 수 있는 터전 제공
2. 문화권은 어떤 과정을 거쳐 형성되었을까?⇒문화권의 형성과정
(1) 문화권의 형성
①문화권 : 종교, 언어, 생활, 양식 등이 비슷한 곳을 묶어 놓은 지역 범위
②대하천 유역에서 농업 생산력 확대를 위해 수리 관개 시설을 비롯한 대규모 토목 사업 필요→노동력의 동원과 효과적 조직 과정을 통해 고대 국가 체제 발달
③고대 문화권 : 고대 국가 체제를 바탕으로 성립-서아시아 세계, 남아시아 세계, 동아시아 세계, 유럽 세계
(2) 문화권과 종교 : 종교는 문화권을 통합하는 데 중요한 역할
학습지5-2 |
학습주제 |
1. 종교와 문화의 다양성 |
교과서 |
종교는 문화권 형성에 어떤 구실을 해 왔는가? |
142~143 |
3. 종교는 문화권 형성에 어떤 구실을 해 왔는가?
⇒문화권 형성에종교가 미치는 영향
(1) 종교
①인간의 가치관을 형성하는 중요한 문화 요소→인류는 종교를 바탕으로 지역별로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킴
②세계 종교는 인간의 보편적 가치관에 바탕을 붐→국경과 민족을 초월하는 신봉
문화권 형성에 미친 종교의 영향
(2) 문화권 형성에 미친 종교의 영향
①사회 유지 및 통합에 큰 역할
②일상 생활에도 많은 영향을 주어 목적을 뚜렷하게 반영하는 문화 요소가 됨
(이슬람 교의 경우 경전인 코란이 총체적 법전의 역할→문화와 법 체제에도 영향)
(3) 문화권 종교
고대 문화권 |
서아시아 세계 |
남아시아 세계 |
동아시아 세계 |
유럽 세계 |
종교 |
이슬람 교 |
힌두 교 |
불교, 유교 |
크리스트 교 |
4. 유교를 빼 놓고 동아시아 문화를 이야기 할 수 있을까?
⇒유교와 동아시아 문화권
(1) 동양 문화권
①중국의 영향을 강하게 받음→유교와 불교, 당나라의 법률 체계인 율령에 토대
②중국과 일본, 우리 나라가 하나의 문화권을 형성하는데 바탕이 됨
(2) 유교
①춘추 전국 시대에 활동했던 공자와 맹자의 사상이 유교로 발전
②한나라 때 국가 통치 이념으로 채택
③남송의 주희에 의해 우주의 원리와 인간의 본성을 탐구하는 성리학으로 발전
④일상 생활 양식으로 뿌리내림→동아시아 여러 나라의 생활 윤리로 중요한 역할 담당
⑤효도, 예절, 학문과 교육, 공동체적 생활 양식 및 가부장 중심의 가족 제도 발달
지배층 |
대의 명분의 윤리 제공, 민중 교화의 도구 |
피지배층 |
중요한 생활 윤리로 작용→부모와 형제에 대한 예의와 군신 관계 강조 |
학습지5-3 |
학습주제 |
1. 종교와 문화의 다양성 |
교과서 |
불교는 어디에서 생겨나 어디로 갔는가? |
144~145 |
5. 불교는 어디에서 생겨나 어디로 갔는가?⇒불교의 전파와 영향
(1) 불교의 성립
①6세기경 석가모니에 의해 인도에서 창시
②만민 평등 주장→카스트 제도와 브라만 교에 큰 불만을 가지고 있던 당시의 하층민 사이에 널리 퍼짐
(2) 불교와 동아시아 문화권
①불교의 전파
․소승 불교 : 개인의 깨달음을 중시→실론 섬에서 동남 아시아로 전해져 인도차이나 반도의 여러 지역으로 확대
․대승 불교 : 개인의 해탈보다 중생의 구제를 중시→중국, 우리 나라, 일본에 전파
․간다라 미술 : 인도 고유의 문화와 그리스․페르시아 문화가 융합되어 성립→대승 불교와 함께 동아시아로 전달되어 예술적 측면에 큰 영향을 줌
․라마 교 : 불교와 티베트 지방의 토속 신앙의 결합→몽골이나 신장․티베트 지방으로 확산
②불교의 영향
․살생을 금지하는 교리 : 농경이 발달하여 이미 채식 위주의 식생활이 보편적이었던 동아시아로 쉽게 확산됨
․목축 생활을 하는 몽골의 초원 지대에서도 고기 대신 양이나 말의 젖을 주식으로 함
6. 인도인들에게 힌두 교는 무엇인가?⇒힌두 교와 인도 문화권
(1) 힌두 교
①인도의 전통 문화와 브라만 교에 바탕을 둔 전형적인 다신교→불교를 누르고 인도의 민족 종교로 자리 잡음
②카스트 제도와 함께 인도인들의 생활에 큰 영향을 줌
③윤회 사상에 기반을 둔 교리→제사와 고행, 선행을 중시하며 내세를 위해 현재의 고통을 정신적으로 극복
④소 숭배 사상 : 소의 노동력은 농업에 지대한 공헌, 소의 젖은 양질의 식량, 소의 배설물은 거름이나 연료로 사용
(2) 인도 문화권 : 힌두 교는 인도 문화권의 범위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
학습지5-4 |
학습주제 |
1. 종교와 문화의 다양성 |
교과서 |
이슬람 문화권이 빠르게 확산된 까닭은? |
146~147 |
7. 이슬람 문화권이 빠르게 확산된 까닭은?⇒이슬람교의 전파
(1) 이슬람 교
①7세기 초 아라비아 반도에서 마호메트에 의해 창시
②유대 교와 크리스트 교, 아랍 원시 종교의 요소가 복합된 종교
③알라 앞에서 평등, 돼지고기 금기, 코란은 총체적 법전이자 법률의 모체
(2) 전파
①북부 아프리카 및 동남 아시아로 아시아로 빠르게 전파
②정복지의 주민이 이슬람 교로 개종할 경우 세금 면제
8. 크리스트 교는 어디에서 생겨나 어떤 곳으로 퍼졌을까?
⇒크리스트교의 전파
(1) 크리스트 교
①팔레스타인 지방에서 창시→이웃을 사랑할 것을 강조
②4세기경 로마의 국교로 인정되면서 세력 확장
③종파 : 신교(서부 유럽), 구교(남부 유럽), 그리스 정교(동부 유럽)
(2) 확산
①지중해 세계에서 시작되어 점차 유럽 전역으로 확산
②신항로 개척 이후 유럽 인의 이주에 의한 전파→신교(앵글로아메리카, 오스트레일리아), 구교(라틴아메리카, 필리핀)
③크리스트 교의 확산과 함께 유럽 문화가 신대륙으로 전파됨
학습지5-5 |
학습주제 |
1. 종교와 문화의 다양성 |
교과서 |
문화권 사이의 교류가 남긴 것은 무엇일까? |
148~149 |
9. 문화권 사이의 교류가 남긴 것은 무엇일까?
⇒문화권 간의 교역로와 교역 내용
(1) 문화권 사이의 교류
①서로 다른 문화의 접촉→새로운 문화 창출, 새로운 문화 요소가 만들어짐
②오랜 세월에 걸쳐 전파와 이식을 되풀이하면서 문화 형성→시대 흐름에 따라 더욱 다 양해짐
③고대 문화권에서도 육로와 해로를 통해 끊임없이 접촉이 이루어짐
(2) 고대 문화권 간의 통로
①초원길
․유목 민족의 거주 지역
․아시아 북부와 러시아 남부의 초원 지대로 가로지름
․흑해 연안에서 발생한 스키타이 문화(청동기 문화)가 중국과 만주 및 한반도에까지 전파되는 데 사용된 교역로
②비단길
․중앙 아시아 사막 지대의 오아시스를 연결하는 통로
․중국산 비단이 교역품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함→‘비단길’로 명명
․동아시아와 서아시아 및 유럽 세계를 연결하는 중요한 교통로
중국으로 문화 전달 |
이슬람 교, 포도, 말, 인도의 불교, 유리 그릇, 산호 등 |
유럽으로 문화 전달 |
비단, 거울, 나침반, 제지법, 칠기 등 |
③바닷길
․해류와 계절풍을 이용→중요한 교통로로 부각
․중국 정화의 해외 원정과 이슬람 상인의 상업 활동에 적극적으로 이용된
․이슬람 상인들은 바닷길을 통해 인도와 동남 아시아 및 중국과 왕래→이 지역의 지리 적 정보가 이슬람 세계로 전해짐
․유럽 인의 신항로 발견 후 유럽 세계가 확대되기 전까지 이슬람 상인들의 활동 지속
학습지5-6 |
학습주제 |
1. 종교와 문화의 다양성 |
교과서 |
종교적 갈등이 심한 지역에서는 어떤 일이 발생 하는가? |
150~151 |
10.종교적 갈등이 심한 지역에서는 어떤 일이 발생 하는가?
⇒종교 갈등으로 인한 지역 분쟁
(1) 종교 갈등
①문화권 사이의 갈등은 종교에서 비롯되는 경우 많은
②다른 종교에 대한 두 가지 입장
․동아시아 : 다른 종교에 대하여 비교적 관대함→다양한 종교가 평화롭게 공존
․서남 아시아 : 다른 종교에 대하여 배타적→특정 종파별로 집단 거주하여 종교의 지역화 현상이 나타남→잦은 갈등 발생
(2) 종교 갈등으로 인한 지역 분쟁과 타결책
①종교 갈등으로 인한 지역 분쟁
․카슈미르 지방 : 이슬람 교와 힌두 교도 간의 갈등→인도․파키스탄 간의 영토 분쟁
․스리랑카 : 불교도와 힌두 교도 간의 갈등
․서남 아시아 : 유대 족과 아랍 족 사이에 오랜 종교 갈등
․이란과 이라크 : 이슬람 교도 사이에 종파 분쟁
․북아일랜드 : 크리스트 교도와 가톨릭 교도의 대립
․코소보 : 그리스 정교와 이슬람 교 간의 대립
②종교 분쟁을 타결하기 위한 노력 : 국제 기구의 중재, 무력을 지양하려는 강대국과 분쟁 당사자 간의 의지
학습지5-7 |
학습주제 |
2. 상업의 발달과 생활권의 확대 |
교과서 |
인도로 가는 길을 찾아서 |
152~153 |
1. 인도로 가는 길을 찾아서⇒신항로 개척과 유럽세력의 확대
(1) 신항로 개척
①신항로 개척의 계기
․향료 수용의 증대
․항해 기술 발달 : 나침반, 항해용 지도 등
․동양에 대한 호기심 : 마르코 폴로의『동방 견문록』출판
②신항로 개척의 영향 : 신대륙에 대한 정보가 유럽으로 유입→유럽 인의 시야가 유럽을 넘어 전 세계로 확대
(2) 신항로 개척의 중심 국가
①포르투갈
․항해 왕 엔리케의 주도하에 서아프리카 해안을 탐험
․바르톨로뮤 디아스 : 아프리카 남단의 희망봉 도달(1488)
․바스코 다 가마 : 인도의 캘리컷에 도착(1498)→몰루카 제도와의 향료 교역을 위한 전기 기지 설치
②에스파냐
․콜럼버스 : 서인도 제도에 도착(1492)→아메리고 베스푸치 등이 신대륙임을 확인
․마젤란 : 세계 일주(1522)→지구 구체설 입증
학습지5-8 |
학습주제 |
2. 상업의 발달과 생활권의 확대 |
교과서 |
유럽 인들이 아메리카에 남긴 것은 무엇일까? |
154~154 |
2. 지중해에서 대서양으로 유럽 인들이 아메리카에 남긴 것은 무엇일까?
⇒유럽 세력 확대의 영향
(1) 신항로 개척의 결과
①대서양 교역로 형성
․유럽과 아메리카, 아프리카 사이의 교류 증대→삼각 무역
․지역 간이 농산물 유통으로 인구 성장 촉진
아메리카에서 유럽으로 |
옥수수, 감자, 강낭콩, 토마토, 호박, 향신료, 기호, 식품 등 |
유럽에서 아메리카로 |
말, 양, 소, 곡물류, 포도, 올리브, 사탕수수, 커피, 쌀 등 |
②유럽 중심의 세계 시장 형성
․가격 혁명 : 16세기 후반 라틴아메리카에서 유럽으로 대량의 금과 은이 유입→화폐 가치 하락, 물가 폭등
․상업 혁명 : 동양 산물 유입, 시장 확대(아시아․아메리카)→근대 자본주의 발전
․중상주의→절대 군주의 강력한 지원으로 산업 발전
․원료와 시장 확보를 위해 식민지 건설
(2) 아메리카의 변화
①유럽 인들의 집단 이주에 의해 신대륙에 유럽의 문화 전파
②아메리카 대륙의 언어 분포는 유럽 인의 진출과 밀접한 관련을 가짐
③식민 지배의 흔적
앵글로아메리카 |
영국인과 프랑스 인 진출→영어․프랑스 어 사용, 개신교 신봉 |
라틴아메리카 |
포르투갈 인과 에스파냐 인 진출→에스파냐 어․포르투갈 어 사용, 가톨릭 신봉 |
학습지5-9 |
학습주제 |
2. 상업의 발달과 생활권의 확대 |
교과서 |
유럽 인의 활동 무대가 전 세계로 넓혀지다. |
156~157 |
3. 유럽 인의 활동 무대가 전 세계로 넓혀지다. 세계의 확대
⇒운송․교통 수단의 발달에 따른 세계의 확대
(1) 유럽 세력의 확대
①유럽 인의 활동 범위 확대
․교통․통신 수단의 발달의 성과
․유럽 인들의 세계 인식의 범위 확대
②신항로 개척의 영향
․전 세계가 하나의 세계 시장으로 단일화
․유럽 인들의 생활 양식에 세계의 다른 지역으로 확대→세계 각지역의 문화에 큰 영향
유럽 중심의 세계 시장 형성→유럽은 경제․정치면에서 다른 지역에 비해 우위 차지
(2) 세계의 확대 과정
①정화의 해외 원정
․명나라의 환관 정화의 대함대는 동남 아시아 및 남부 인도와 교역
․상아를 확보하기 위해 아프리카 동안까지도 진출
②이슬람 상인의 해상 활동
․활발한 해상 활동→당나라의 양주, 광주에 이슬람 상인의 대규모 거주지가 형성
③유럽 인의 신항로 개척 : 에스파냐와 포르투갈에 의해 신항로 개척 주도
학습지5-10 |
학습주제 |
3. 세계화와 지역화 |
교과서 |
작아지는 세계 / 세계화의 시작 |
158~159 |
1. 작아지는 세계 / 세계화의 시작⇒교통과 통신의 발달과 세계화
(1) 작아지는 세계
①교통․통신 수단 발달의 영향→인간 활동이 지리적 범위 확대
②이동에 따르는 위험을 줄여 다른 지역과의 교류를 활발하게 함
③지역 사이의 상호 의존 관계를 더욱 밀접하게 함
(2) 세계화의 시작
①세계화
․각 지역 사회가 고립되어 있던 상태에서 서로 다른 지역들 사이의 교류가 널리 일반화 되어 가는 현상
․지구 환경, 자원 등 인류가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가 간의 상호 협조를 중시하는 관계
․어느 지역이 세계로부터 낙오되거나 고립되지 않고 함께 생존하고 발전하기 위한 일련의 노력 과정
②세계화의 시작
․신항로 개척 이후 유럽 중심의 무역 활동이 증가하면서 시작
․세계 무역 기구(WTO)가 출범한 이후에 세계가 하나의 시장으로 통합되면서 무한 경쟁 시대가 도래
학습지5-11 |
학습주제 |
3. 세계화와 지역화 |
교과서 |
세계화와 지역화 |
160~162 |
2. 세계화와 지역화⇒세계화 시대의 지역변화
(1) 세계화(globalization)
①국제 적인 연계망을 통한 상호 연계성의 증대 및 경제 활동에서의 국경 소멸을 의미
②국가 간의 경계를 넘어 사람․물자․정보의 교류 활발→국제 경쟁이 치열해지는 동시에 국제 협력과 분업이 정착되는 과정
③환경, 자원 등 인류가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가 간 상호 협조를 중시
(2) 지역화(localization)
①각 지역의 고유 특성에 따라 가장 지역적인 것을 만들어 가는 과정→지역적인 것이 이전과는 달리 세계적 차원의 가치를 지니게 되는 현상
②지역화 추세의 진전으로 국경의 개념이 미약
(3) 세계화와 지역화의 관계 : 세계화로 인해 국경의 의미는 희박해지는 반면, 지역 간의 연결은 빈번해 짐→지역과 지방이 세계화 시대의 경쟁 주체로 등장
3. 세계화 시대의 지역 구조 변화⇒세계화 속에서 지역 사회의 위상 변화
(1) 지역 위상의 변화
①국가의 역할이 줄어들고 다른 지역 단위들의 위상이 높아짐
②지역화를 통해 공동의 경제적 목표를 달성하는 곳이 많아짐
③다국적 기업은 국경의 제약을 받지 않음→고유한 연계망을 통해 기업 활동
(2) 지역 단위들 간의 상호 교류․협력 관계 형성
①동남 아시아의 삼각 지대 : 싱가포르(싱가포르), 조호르(말레이시아), 리아우(인도네시아)
②유럽의 경제 협력 지대 : 바젤(사위스), 알사스 지방(프랑스), 바덴 지방(독일)
학습지5-12 |
학습주제 |
3. 세계화와 지역화 |
교과서 |
지구촌 사회의 형성 |
162~164 |
4. 정보화와 지역 구조의 변화 및 세계화와 일상 생활의 변화 지구촌 사회의 형성⇒세계화에 따른 일상생활의 변화
(1) 정보화에 따른 변화
①지역 구조의 변화
․고도로 발달된 연결망을 소유한 세계 도시들은 전 세계를 단위로 하는 도시 계층 구조에서 가장 높은 영향력 행사→금융 활동의 중심지, 새로운 산업 혁신의 발생지
․새로운 격차 문제 발생→세계 연결망의 핵심에 연결되는 사람과 지역, 그렇지 못한 사람과 지역 간의 큰 격차 발생
②존 세계를 대상으로 한 경쟁
․지역 경쟁력 강화와 지역 정체성을 추구할 필요
․국내 분업과 해외 공장의 운영이 동시적으로 이루어짐
․축소 지향적 세계, 상호 연결되는 세계, 다원화 세계로 변화하고 있음
③세계화 및 일상 생활 변화
․해외 여행과 상품의 이동이 자유로워짐
․통신의 발달로 안방에서도 지구촌 소식을 실시간으로 접함
․세계화로 인해 일상적인 생활 문화까지 전 세계적으로 비슷해짐→외양만으로는 어느 나라 사람인지 구분하기 곤란함
(2) 지구촌 사회의 형성
①지구를 세계적 단일체로 인식하게 됨
②국경의 의미 퇴색→지역과 지역의 관계가 중요해짐
③세계화가 진전될수록 각 지역의 역할이 세계 무대에서 중요해짐
④한 지역에서 발생한 문제가 다른 지역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문제의 해결을 위한 공동이 노력 필요→지역 분쟁, 환경 문제 등
학습지6-1 |
학습주제 |
1. 서양 시민 사회의 형성 |
교과서 |
신민에서 시민으로 |
168~169 |
1. 신민에서 시민으로⇒근대 시민혁명의 원인 및 결과
(1)절대 왕정과 부르주아 계급
①절대 왕정 시기
․군주 주권, 소수 특권 계급존재
․평민들은 통치대상인 신민(臣民)으로만 존재, 국가 재정의 대부분을 담당
․절대 왕정 시기의 신분 제도
②부르주아 계급
․도시의 상공 시민층을 가리키는 말
․절대 왕정의 모순에 맞서 투쟁
․사회적 지위에 걸맞는 정치적, 경제적 자유 요구
(2) 시민 혁명
①의미 : 시민 계급이 주도하여 절대 왕정을 무너뜨리고 스스로 사회의 주인으로 일어선 역사적 변화
② 영향 : 자유주의의 확립
․신분 제도 타파→자유와 평등을 보장하는 사회
․세습 군주에 타파→국민이 직접 장치에 참여
․국가의 경제 개입 반대→재산권의 보호와 경제 활동의 자유 추구
학습지6-2 |
학습주제 |
1. 서양 시민 사회의 형성 |
교과서 |
시민 사회의 발전 |
170~172 |
2. 시민 사회의 발전⇒산업혁명에 따른 정치적, 사회적 변화
(1) 산업 혁명
①영국에서 시작된 후 여러 나라로 확산
②수공업에 바탕을 둔 전통적 생산 방식→기계에 의한 대량 생산 방식
(2) 산업 혁명의 영향
①영농 사회에서 산업 사회로 전환
․공업의 발달
․인구의 도시 집중
②자유주의 운동의 성장
․공장을 경영하는 산업 자본가 계급의 성장→시민계급이 전통적인 지주 계급을 대신 하여 사회의 주도권 장악
․자유주의 운동의 전개 : 시민 계급이 주도하여 경제 활동의 자유, 참정권 확대 요구
․예 : 프랑스의 7월 혁명(1830), 영국의 제 1차 선거법 개정(1832)→도시 대표들이 더 많이 의회에 진출하게 됨
③노동 운동의 성장→노동자 계급의 대두
․배경: 낮은 임금, 긴 노동 시간, 열악한 작업 환경, 실업의 위협 등 산업 혁명이 초래한 노동 문제
․내용: 노동 조합 결성, 임금 인상과 근무 여건 개선 등 노동 조건의 개선 요구, 자본가와 정부를 상대로 한 노동 운동 전개, 선거권 확대․노동자의 권리 보장 등을 요구하는 정치운동 전개
(3) 시민 사회의 새로운 발전
①시민으로서의 권리 확대
②여성의 참정권 확보 운동 : 19세기 말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일어남→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여성 참정권이 일부 안정됨
③여러 소외된 계층의 운동이 활발해짐
학습지6-3 |
학습주제 |
1. 서양 시민 사회의 형성 |
교과서 |
복지 사회의 추구 |
173~174 |
3. 복지 사회의 추구⇒복지사회의 이념과 등장배경
(1) 자유 방임주의
①경제 활동의 자유 추구
․국가의 간섭 최소화 : 야경 국가, ‘정부의 권력은 작을수록 좋다.’
․개인의 자유를 최대한 보장, 시장을 통한 경제 문제의 해결
②자유 방임의 문제점
․생산과 소비의 불균형으로 인한 과잉 생산
․지나친 경제적 자유의 보장으로 인한 빈부 격차
․무절제한 생산에 따른 환경 오염 심화
(2) 공황과 자유 방임주의의 수정
①경제 공황의 발생 : 늘어나는 생산을 소비가 뒷받침하지 못함(재고 증가, 생산 감소, 경기 침체, 실업자 증가)
②뉴 딜 정책의 추진 : 생산량 조절, 구매력 증대를 위한 공공 사업 추진→혼합 경제 체제 성립
(3) 복지 사회의 추구
①실질적 평등 지향 : 모든 국민의 인간다운 삶 보장
②노동 운동의 성장과 생활 개선→구매력의 증대로 경제 성장에 기여
③국가의 경제 활동 개입 : 공공 지출 강화, 복지 정책 확대
학습지6-4 |
학습주제 |
2. 우리 나라 시민 사회의 형성과 발전 |
교과서 |
이루지 못한 시민 혁명 |
178~179 |
1. 이루지 못한 시민 혁명⇒시민사회 형성을 위한 노력
(1) 시민 사회 건설을 위한 노력
①조선 후기의 사회적 변화
․농업과 상공업의 발달, 새로운 계층의 형성
․민중들의 의식 성장 : 신분제를 폐지하고 민중의 권리를 인정하자는 주장 제기
②동학 농민 운동
․반봉건․반외세 개혁 추진
․신분제 폐지․토지의 균등 분배 주장→평등 사회의 건설 지향
③정치 개혁 운동의 전개
․국민 주권 사상의 발전
․독립 협회의 국민 주권 운동․의회 설립 운동
(2) 독립 운동의 전개
①자주적 근대화 운동의 실패
․지배 세력이 탄압과 외세의 개입으로 실패
․주권 상실과 일제의 지배
②독립 운동의 전개
․독립 운동은 주권 회복 운동인 동시에 시민 혁명을 완수하려는 신국가 건설 운동
․3․1 운동과 임시 정부의 수립 : 국민 주권을 바탕으로 한 공화주의 확립
․독립 운동의 진전: 다양한 국가 건설 방침 검토→시민 사회 발전의 계기
학습지6-5 |
학습주제 |
2. 우리 나라 시민 사회의 형성과 발전 |
교과서 |
우리 나라 시민 사회의 성장 |
178~179 |
2. 우리 나라 시민 사회의 성장⇒우리 나라 시민사회의 성장 과정
(1) 자주 국가 건설 운동과 단독 정부의 수립
①광복과 분단
․광복 이후 자유롭고 평등한 민주 시민 사회 건설의 기회가 주어짐→자주 국가를 건설 하려는 운동 전개
․미국과 소련의 진주, 독립 국가 건설을 둘러싼 민족 내부의 갈등→남북한 단독 정부 수립과 분단
②6․25 전쟁
․이데올로기가 극단적으로 대립되는 계기
․분단의 고착화
․남한과 북한에 권위주의 정권 확립
․시민 사회의 성장에 제약 조건
(2) 시민 사회의 발전
①시민 사회 건설 노력 : 독재 정권에 맞선 민주화 투쟁
②민주화 운동의 발전
․4․19 혁명 : 이승만 자유당 정권의 독재와 부정 부패에 대한 항거
․유신 체제 반대 운동 : 박정희 정권의 장기 집권에 대한 저항
․5․18 광주 민주화 운동 : 신군부 등장에 대한 항거
․6월 민주 항쟁 : 장기 집권 음모 저지, 권위주의적 지배 종식을 위한 항거
․1980년대 후반 이후 : 다양한 시민 운동 전개
학습지6-6 |
학습주제 |
2. 우리 나라 시민 사회의 형성과 발전 |
교과서 |
산업화의 시민 사회의 과제 |
180~181 |
3. 산업화와 시민 사회의 과제
⇒우리나라 산업화 과정의 특징과 시민 사회의 과제
(1) 일제의 감정과 분단
①일제의 강점 : 자립적 민족 경제를 확립시키지 못함
②남북 분단 : 왜곡된 경제 구조의 개혁기회 상실
(2) 산업화의 진전
①1960년대 이후 본격적인 산업화
․정부 주도의 경제 성장, 수출 산업의 집중적 육성
․공업의 발달, 경제 규모의 비약적 성장
․농업 사회→산업 사회
②경제 성장의 부작용
․수출품의 가격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저임금과 저농산물 가격 정책→노동자와 농민의 희생강요
․경제 개발이라는 명분하에 시민 사회의 성장과 발전이 억압됨
․계층 간의 빈부 격차, 도시와 농촌 간의 불균형,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불균형, 환경 오염의 심화 등
③경제 정의 실현을 위한 시민 운동 전개
․정당한 경제 활동에 대한 보상, 부당한 경제 활동에 대한 제재
․공정한 분배, 최저 생활 보장
․부유층의 사회적 책임 의식 제고
학습지6-7 |
학습주제 |
3. 사회적 쟁점과 합리적 의사 결정 |
교과서 |
사회적 쟁점과 해결, 우리 사회적 쟁점 변화 |
182~184 |
1. 사회적쟁점과 해결⇒사회적 쟁점의 해결 과정이루지 못한 시민 혁명
(1) 시민 사회 건설을 위한 노력
①의미 : 다수의 구성원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그 문제의 해결 방안에 대해 의견이 상층 되는 것
②발생 원인 : 개인 간, 집단 간의 이해 관계나 가치관의 차이
(2) 사회적 쟁점의 해결
①사회적 쟁점에 대한 입장 차이→집단 갈등을 초래하고 심할 경우 사회를 분열시키기 도 함
②시민들이 능동적으로 의사 결정에 참여하고 대화와 타협을 통해 합의를 도출할 경우→ 사회 발전의 원동력이 되기도 함
2. 우리 사회의 사회적 쟁점 변화
(1) 우리 사회의 사회적 쟁점 변화 : 사회 변동이 빨랐던 만큼 사회적 쟁점도 빠르게 변화 했고, 그 모습도 다양한 형태로 나타남
(2) 사회적 쟁점의 변화
①근대화 시기
․동학 농민 운동과 갑신정변, 개화파와 위정 척사파의 대립 등으로 인한 사회적 쟁점
․내용 : 신분의 제도의 철폐, 근대화의 방향과 내용, 새로운 국가의 모습, 서구 문물의 수 용 여부 등
②광복 이후 : 시민의 정치 참여 보장, 기본적 인권이 보장 등
③1980년대 후반 이후 : 사회적 쟁점의 다양화→환경과 개발, 자유와 평등, 소외 집단의 인권, 성장과 분배 등
학습지6-8 |
학습주제 |
3. 사회적 쟁점과 합리적 의사 결정 |
교과서 |
사회적 쟁점의 해결 절차 |
185~186 |
3. 사회적 쟁점의 해결 절차
⇒구체적 사례를 통한 사회적 쟁점의 해결 절차 이해
(1) 합리적 의사 결정 능력의 필요성 : 이해 관계의 차이, 가치관의 차이로 인한 대립과 갈등을 극복하기 위함
(2) 사회적 쟁점의 해결 절차 : ‘두발 자율화’와 관련된 논쟁의 예
①문제 제기
․문제 제기의 배경이나 의도, 문제에 대한 생각과 내용 등을 분명히 하는 것
․두발 자유화와 관련된 핵심적인 쟁점이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과정
②사실 문제와 가치 문제의 구분
․구분의 필요성 : 사실 문제와 가치 문제는 성격이 다르고 해결 방법도 다름
․사실 문제는 경험적 증명이 가능한 문제이고, 가치 문제는 가치 판단이 필요한 문제임
․‘두발 자율화와 학생들의 탈선이 어떠한 관계를 갖느냐.’는 사실 문제이고, ‘학생의 인권 보장과 공동체의 안정 중 무엇을 우선할 것이냐.’는 가치 문제임
③개념과 용어의 명확화
․동일한 용어나 개념을 서로 다르게 해석하면 혼선이 일어날 수 있음
․‘두발 자유화’에서 자율화의 개념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음
④주장의 근거 확인
․과학적 탐구 과정을 통해 주장의 타당성을 확인하는 과정
․과학적 탐구 과정 : 가설 설정→자료 수집→자료 분석→결론 도출
․두발 자율화가 청소년 비행이나 탈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상반된 주장이 제기될 경우, 과학적 탐구를 통해 주장의 타당성을 확인함
⑤가치 갈등이 해결
․상반되는 가치 중 어느 것을 선택할 것인가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
․학생의 인권과 공동체의 안정이라는 가치 중 어떤 가치를 선택해야 하는지 탐구
⑥대안의 선택과 실천 : 여러 가지 대안의 예상되는 결과와 장․단점을 비교한 후, 최선의 대안을 선택
학습지6-9 |
학습주제 |
3. 사회적 쟁점과 합리적 의사 결정 |
교과서 |
합리적 의사 결정의 원칙 |
187~188 |
4. 합리적 의사 결정의 원칙
⇒합리적 의사결정에 필요한 기본 원칙들
(1) 균형 있는 관점
①특정 이론이나 주장에만 의존하면 편견에 사로잡히기 쉬움
②개인과 공동체, 안정과 변동, 갈등과 통합에 대한 균형 있는 관점 필요
(2) 개방적인 자세
①개방적인 분위기에서 자유롭게 토론하는 분위기 조성
②찬성과 반대의 의견이 다양하게 진술되고, 토론자의 의견이 존중되어야 함
(3) 다수결의 원칙, 소수 의견이 존중
①합의에 도달하지 못했을 경우, 합리적인 절차를 밟으면서 다수의 동의를 이끌어내려는 노력이 필요함
②소수 의견이 충분히 반영될 수 있는 기회가 보장되어야 함
학습지7-7 |
학습주제 |
3. 민주 정치 발전과 시민 문화 |
교과서 |
법과 정치, 그 야누스의 두 얼굴 |
213~216 |
3. 법과 정치, 그 야누스의 두 얼굴⇒법과 정치의 순기능과 역기능
(1) 법과 정치의 의미
①정치의 의미
․사회적 희소 자원의 배분 결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참여자 간의 이익 상충을 조정하고 해결하는 과정
․사회 문제를 해결하고, 질서 있고 살기 좋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것
②법의 의미
․국민들의 주권적 의사가 구체화된 것
․정치를 할 수 있는 근거
(2) 법과 정치의 순기능과 역기능
①순기능
․사회 질서의 유지
․인권 보장
․복지 수준이 향상
․사회적 갈등의 합리적 조정
②역기능
․법을 이용한 독재와 인권 탄압
․물리력을 동원한 사회 문제 해결→사회적 갈등의 증폭
․법의 불공정한 적용과 집행→힘 잇는 집단들의 이해 관계만을 중시, 공익 침해
4. 시민의 정치 참여⇒책임 있고 비판적인 자세
(1) 정치에 대한 시민의 감시와 비판
①정부의 정책 결정이 자의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함
②정부가 책임 있는 정책 결정을 하게 됨
(2) 시민의 무관심과 소극적 참여
①정치가 일부 소수 집단의 의사대로 움직이게 됨
②전체 시민의 의사에 반하는 정책 결정이 있을 수 있음
(3) 정치 발전을 위한 시민들의 자세
①민주 정치에서 정치적 의사 결정권은 시민에게 있음을 자각
②건전한 비판 정신과 능동적인 참여 필요
학습지8-10 |
학습주제 |
3. 세계 시장이 경제 경쟁과 협력 |
교과서 |
3.환율의 의미 |
245~252 |
5. 환율의 의미
(1)국제 거래의 특징
①국가 간 화폐가 서로 달라 거래를 위해서는 화폐를 바꾸어야 하는 문제 발생
②국가 간 거래에는 흔히 국제통화(미국 달러 등)가 기준이 됨
(2)환율
①경제적으로 거래하는 두 나라 화폐 간의 교환 비율
②우리 나라 돈으로 표시한 다른 나라 돈의 가격
6. 국제 수지와 환율의 관계
(1) 환율의 결정
①외화에 대한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
②외화에 대한 수요 : 외국으로부터 상품과 서비스를 구입하고자 할 때 발생
③외화에 대한 공급 : 상품과 서비스를 외국에 판매할 때 발생
(2)경상 수지 흑자가 발생하는 경우 : 외화의 공급>외화의 수요→환율의 하락
(3)경상 수지 적자가 발생하는 경우 : 외화의 공급<외화의 수요→환율의 상승
7. 무엇이 국제 경쟁력을 결정하는가?
(1) 기업이 내부 환경 : 기업의 재무 구조, 기업가의 경영 능력, 기술 수준 등→제품의 가격과 품질 결정
(2) 기업의 외부 환경 : 정부 정책의 효율성, 국제화의 정도, 사회 간접 자본의 정비, 금융 환경 등
(3) 국민들의 의식수준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긍정적 요인 : 상위 수준의 연구 개발비 지출
8. 우리의 국제 경쟁력 수준은 어떠한가?
(1) 국제 경쟁력 수준 : 매우 열악함
(2) 경쟁력 약화의 요인
①정부의 지나친 시장 개입
②기업 경영 능력 부족 및 기업가 정신 결여
③금융 기관의 비효율성 및 자본 조달의 어려움→생산비 상승
(3)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긍정적 요인 : 상위 수준의 연구 개발비 지출
9. 어떻게 국제 경쟁력을 높일 것인가?
(1) 기업의 경영 능력 강화
①기업가들의 방만한 경영과 도덕적 해이 현상→경제 위기 초래의 한 요인
②지속적인 기업 혁신으로 생산성 향상
③끊임없는 변화의 모색
④생산적인 노사 관계 정착을 위한 노력
(2) 기업 활동에 유리한 환경 조성
①정부의 시장에 대한 부적절한 개입 축소
②금융 환경의 개선
③사회 간접 자본에 대한 투자 확대
(3)가계와 정부 부문의 적절한 역할 강화
①가계 : 합리적 소비, 저축을 통한 자금 공급
②정부 : 행정 서비스의 향상, 일관성 있는 정책 추진
(4) 과학 기술 수준의 향상
①21세기는 고부가 가치의 창출이 중요
②연구 개발에 대한 투자 요구
③경쟁이 가능한 부문에 대한 집중력 투자 필요
(5)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한 경제주체들의 역할
학습지9-1 |
학습주제 |
1. 공동체 생활의 제 문제 |
교과서 |
1. 현대 사회의 변화 |
256~259 |
1. 현대 사회의 변화 ⇒ 현대사회의 일반적인 변화 양상
(1) 근대 이전의 전통 사회 : 농업과 목축 등 1차 산업을 기반으로 하는 자급 자족적 사회
(2) 근대 이후의 산업 사회
①형성 계기 : 시민 혁명과 산업 혁명(근대화)
②특성 : 공업화와 대량 생산→물질적인 풍요, 도시로의 인구 집중, 개인 중심의 생활
(3) 정보 사회의 대두
①출현 계기 : 교통 수단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
②특성 : 서비스업 중심, 정보와 지식이 부가 가치의 원천, 사회 활동의 세계적 단위로 확대
2. 사회 변동에 따른 문제 ⇒사회변동과정에서 나타난 문제들의 개념과 실태
(1)공동체의 해체
①개인 중심의 생활→개인 간의 욕구 충돌 및 개인의 욕구와 공동체의 가치 상충→가족, 지역 등 공동체의 해체
②개인주의적 가치관의 확산→범죄의 증가, 부정․부패의 만연, 환경 오염의 심화, 과소비의 확산 등
(2)집단 갈등의 심화 : 사회의 다원화에 따른 집단 간 이해의 차이→노사 갈등, 빈부 갈등, 사회적 쟁점을 둘러싼 갈등 초래
(3) 가치관의 혼란
①전통적 가치와 현대적 가치의 혼재(아노미)→사회적 혼란과 무질서 초래
②세대 간의 문화 차이에 따른 갈등
3. 공동체생활에서의 문제해결 방식⇒공동체 생활에서 나타난 문제들의 해결
(1) 집단 이기주의의 확산 : 공동체의 이익을 무시한 채 개인 또는 소속 집단의 이익만을 추구→개인 간, 집단 간, 국가간의 갈등 발생
(2) 집단 이기주의의 해결 : 개인과 공동체의 조화를 중시하는 공동체 의식의 확립
학습지9-2 |
학습주제 |
1. 공동체 생활의 제 문제 |
교과서 |
2. 나와 우리의 관계 |
260~263 |
4. 나와 우리의 관계 ⇒개인과 공동체의 상호관계
(1) 전통 사회
①개인과 공동체의 관계를 보는 관점
․개인보다 사회 또는 집단(공동체) 강조
․개인의 자유보다 사회 공동체에 대한 의무 강조
②문제점 : ‘우리’라는 공동체가 ‘나’라는 개인의 발전을 저해할 수 있음
(2)근대 사회
①개인과 공동체의 관계를 보는 관점 : 개인주의 및 자유주의의 확산→‘우리’라는 공동체보다 ‘나’라는 개인 강조
②문제점 : 개인의 자유에 대한 지나친 강조→개인 간, 집단 간의 갈등 초래→개인이 자유로운 발전 저해
(3)현대 사회 : 개인과 사회의 조화 추구→타인의 자유와 공동체의 이익을 고려하는 가운데 개인의 자유와 권리 주장
학습지9-3 |
학습주제 |
2. 문화 변동과 민족 문화의 발전 |
교과서 |
3. 문화 변동에 따른 혼란 |
264~266 |
1. 문화 변동에 따른 혼란 ⇒문화 변동 과정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부작용
(1) 문화 변동의 원인
①급속한 사회 변동
②문화의 세계화
(2)문화 변동에 따른 부작용
①문화 지체 현상 : 문화 요소 간의 변동 속에 차이에 따른 부조화 현상
②세대 간 문화 격차→세대 간의 갈등 초래
③전통 문화와 외래 문화 간의 갈등→문화적 정체성의 위기 초래
2. 바람직한 문화 인식 태도 ⇒타문화를 인식하는 바람직한 태도
(1) 문화의 다양성 : 각 사회는 독특한 역사적 전통과 환경을 지님→각 사회의 문화는 특수성을 갖게 됨
(2) 바람직하지 못한 문화 인식 태도
구분 |
자문화 중심주의 |
문화 사대주의 |
뜻 |
자기 문화의 관점에서 다른 문화를 부정 적으로 평가하는 태도 |
다른 사회의 문화를 동경한 나머지 자기 문화를 업신여기는 태도 |
문제점 |
국제적 고립 초래 |
문화적 주체성 상실 |
(3) 바람직한 문화 인식 태도
①문화 상대주의 : 한 사회의 문화를 그 사회의 환경과 맥락 속에서 이해하려는 태도
②주체적인 입장에서 외래 문화를 비판적으로 수용
(참고자료)
¤문화 지체 현상: 자동차가 빠른 속도로 늘었으나 시민들의 교통 질서 의식이 이러한 변화를 따르지 못해서 나타나는 교통혼잡은 문화 지체 현상의 한 예이다.
학습지9-4 |
학습주제 |
3. 한국 사회의 문제와 발전 |
교과서 |
1. 한국 사회 변동의 양상 |
267~278 |
3. 전통문화의 의의 ⇒전통 문화의 이해, 민족 문화의 발전
(1) 문화적 정체성의 위기 : 서구화를 근대화와 동일시하고 문화의 세계화를 서구 문화 중심의 획일화로 인식하려는 경향→서구 문화의 무비판적 수용 초래
(2) 전통 문화의 가치
①문화적 정체성의 위기를 극복하는 수단이 됨
②‘다양성의 세계화’ 실현에 기여함
4. 세계화의 문화적 대응 ⇒문화의 세계화에 대처하는 올바른 자세
(1) 문화의 세계화
①세계 무역 기구(WTO)의 출범, 인터넷의 대중화, 위성 통신의 발달→서구 문화 중심의 획일화에 대한 우려 증가
세계무역기구(WTO)의 출범, 인터넷의 대중화, 위성통신의 발달 →서구의 문화 상품확산 →서구 문화 중심의 획일화
②진정한 문화의 세계화
․문화의 다양성이 실현되는 과정
․세계 각국의 민족 문화가 공존하면서, 상호 교류를 통하여 서로의 문화를 발전시키는 과정
(2)우리의 문화적 대응 : 전통 문화의 창조적 계승과 발전+세계적으로 보편성을 인정 받은 외래 문화의 주체적 수용→민족 문화의 세계화
1. 한국 사회 변동의 양상 ⇒한국 사회의 변동양상
(1) 급속한 사회 변동의 계기 : 1962년 이후 추진된 경제 개발 5개년 계획→급속한 산업화 추진
(2) 사회 변동의 양상
①정치적 측면 : 국가 안보와 경제 성장을 명분으로 한 권위주의 정치 체제의 출현→중산층의 증가와 민주화 운동에 따른 민주주의 정치 체제의 확립
②경제적 측면 : 1인당 국민 소득 증가, 1차 산업의 비중 감소와 3차 산업의 비중 증가
③사회적 측면 : 도시로의 인구 집중과 초거대 도시의 등장, 확대 가족의 감소와 핵가족의 증가, 생활 수준의 향상과 보건 의료 시설의 확충, 인구의 노령화, 학력 수준의 상승
2. 사회 변동에 따른 여러 가지 부작용
⇒사회 변동 과정에서 나타난 여러 가지 부작용
(1) 정부와 시민 간의 갈등 : 개발과 안보를 명분으로 한 권위주의 정권과 민주화를 염원하는 시민 간의 갈등
(2) 형평성이 결여된 경제 발전
①원인 : 특정 집단이나 지역에 편중된 성장 위주의 경제 정책
②문제점 : 노사 갈등, 빈부 갈등, 지역 갈등, 대기업과 중소 기업 간의 불균형
(3) 가치관의 혼란
①극단적인 이기주의와 물질 만능주의로 인한 집단 갈등의 심화, 환경오염
②세대 간의 갈등 심화, 서구화에 따른 문화적 정체성의 혼란 등
학습지9-5 |
학습주제 |
2. 문화 변동과 민족 문화의 발전 |
교과서 |
3. 균형적인 발전의 추구 |
264~278 |
3. 균형적인 발전의 추구 ⇒우리 사회의 균형적인 발전방향
(1) 균형적인 발전의 의의 : 산업화 과정에서 누적되어 온 사회적 격차를 해소함으로써 모든 국민이 인간다운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함
(2) 실현 방안
①빈부 격차 해소
․사회보장제도의 확충
․조세제도의 개혁
②대기업과 중소 기업 간의 불균형 완화 : 중소 기업의 육성
③지역 간 격차 해소 : 국토의 균형적인 개발
④사회적 약자 보호 : 여성이나 장애인의 사회 참여 기회 보장
4. 삶의 질 향상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여러 가지 방안
(1)삶의 질 향상의 의의 : 사회 구성원들이 인간다운 생활을 보장받음으로써 만족과 행복을 누리게 함
(2) 삶의 질을 결정하는 요인 : 경제적․환경적․문화적 요인
(3) 실현 방안
①경제적 측면
․경제 성장을 통한 절대적 빈곤의 극복
․상대적 박탈감의 해소
②환경적 측면 : 주거 환경의 상․하수도, 교통, 통신, 여가 시설 등의 사회적 환경과 쾌적한 자연 환경의 구비
③문화적 측면
․문화적 정체성의 확립
․문화적 권리의 보장
5. 시민운동의 역할 ⇒시민운동의 역할과 중요성
(1) 시민운동의 의미 : 특정 사회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있거나, 그로 인해 불이익을 당하고 있는 시민들이 권리 의식을 자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벌이는 집단 운동
(2) 시민운동의 기능
①사회 문제의 해결을 통한 시민 전체의 이익 증진
(예 : 환경 보전, 소비자 보호)
②정치 권력에 대한 감시와 비판을 통한 부정 부패의 방지
(예 : 깨끗한 정치 실현)
(3) 시민 운동의 문제점
①시민 없는 시민 운동 : 광범위한 시민에 바탕을 두지 못하고 지도부만 남은 현실에서 탈피하지 못하고 있음
②재정 위기와 활동가의 희생
학습지10-1 |
학습주제 |
1 대변혁의 시대 |
교과서 |
1. 국경 없는 세계 |
282~284 |
1. 국경 없는 세계 ⇒세계화의 의미와 원인
(1) 세계화의 의미와 원인
①의미 : 사람들의 삶의 공간이 국경을 넘어 전 지구로 확대되어 가는 과정
②원인 : 교통․정보․통신 기술의 비약적 발달
③세계화의 과정
교통․정보․통신기술의 발달 → 국경이라는 물리적 장벽붕괴
→ 상품, 자본, 기술, 문화, 신념, 가치 등의 자유로운 유통
(2) 세계화의 양상
①시장의 확대 →보다 많은 상품을 팔기 위한 치열한 경쟁
②국가 간 상호 의존성 증대 : 국제 협력을 통한 문제 해결 중시
2. 지역화는 세계화의 기초가 된다. ⇒지역화와 세계화
(1) 지역화 : 지역 사회의 자율성이 존중되고, 지역 단체와 주민들의 영향력이 증대되어 가는 현상
(2) 지역화와 세계화의 관계 : 다양성이 확대되는 세계화 과정은 지역화에 기초를 두고 이루어짐
3. 정보화와 인간화 ⇒정보화 사회의 특성
(1) 정보화
①의미 : 인간 활동이 정보․통신 기술과 그것들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의존하게 되는 과정
②양상 : 원격 민주 정치의 출현, 전자 상거래와 통신 금융 서비스의 확산, 정보와 지식에 의존한 고부가 가치 창출, 다품종 소량 생산의 확산 등
(2) 인간화 : 인간의 창의적이고 주체적인 활동과 삶의 질을 중시하게 되는 과정
(3) 정보화에 따른 인간화
․과학 기술의 발전에 따른 생산성 향상과 여가 시간 확대
․재택 근무의 확산과 지적 활동이 중시됨에 따른 여성 및 장애인들의 사회 참여 증가
학습지10-2 |
학습주제 |
1. 대변혁의 시대 |
교과서 |
2. 누구를 위한 세계화인가? |
285~289 |
4. 누구를 위한 세계화인가? ⇒세계화의 부작용
(1) 오늘날의 세계
세계무역기구(WTO)의 출범 →지구촌의 단일 시장화
→자유로운 경쟁과 활발한 교류
(2) 세계화의 문제점
①국가 간 빈부 격차의 심화
․개발 도상국과 후진국의 이익을 무시한 채 선진국들의 의도대로 세계화 진행→국가 간 부의 불평등 심화
․개별 국가 내에서도 빈부 격차 심화
②약소국의 주체성 상실 : 국가 간 상호 의존성 증대→국가의 자율성 침해
③국가 간 문화 충돌 : 강대국들의 문화 상품 수출→강대국 간의 문화 충돌와 약소국의 문화적 식민지 가능성
5. 정보화에 따른 사회 문제 ⇒정보화의 부작용
(1) 개인의 사생활 침해 : 컴퓨터에 기록된 개인 정보의 유출과 부정한 이용
(2) 피상적인 인간 관계의 보편화 : 정보․통신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접촉
(3) 경제적 불평등의 확대 재생산 : 계층 간 정보 통신 기기 소유 및 정보 활용 능력의 격차→‘정보의 빈익빈 부익부’ 현상→계층 간 생활 격차의 심화
(4) 전제 정치의 출현 가능성 : 정보 통신 매체를 통해 시민의 정치적 성향 및 사생활에 관한 정보 수집, 조작된 정보의 공급→정부의 권위적 통제 강화
(5) 기타 : 저질 정보의 확산, 컴퓨터를 이용한 범죄가 증가, 정보의 소유와 통제를 둘러싼 갈등의 증가, 사이버 공간에서의 언어 폭력 등
학습지10-3 |
학습주제 |
2. 한국의 미래와 대응 과제 |
교과서 |
3. 우리 나라 미래 사회의 과제 |
290~297 |
1. 우리 나라 미래 사회의 과제 ⇒우리 사회의 당면과제
(1) 국제 경쟁력의 강화
①불합리한 제도의 개선, 시민들의 의식 개혁
②과학 기술의 혁신 : 과학 기술의 선진화는 고용 창출과 소득 향상을 보장
(2) 지속적인 민주화를 통한 정치 발전 : 사회 각 영역과 생활 단위에서 구성원의 적극적 참여 필요
(3) 통일에 대한 대비 : 통일에 따른 부작용의 최소화, 진정한 민족 통합 실현
(4) 삶의 질 향상을 통한 복지 사회 구현
①지속적인 경제 성장을 통한 완전 고용 실현
②지역 간․계층 간 소득의 공정한 분배
③환경 보전
(5)기타:부정 부패추방을 통한 정의사회확립, 문화적 주체성확립, 민족문화의 발전 등
2. 남북 통일에 대비하자. ⇒남북통일의 부작용 최소화
경제 교류와 협력 확대 |
사회․문화적 차원의 교류확대 |
↓ ↓
남북한 간 긴장 완화 및 통일 비용이 감소 |
민족의 정체성 및 동질성 회복 |
3. 미래는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 가는 것이다. ⇒미래사회에의 대비
(1) 선진국과 후진국의 차이
①선진국 : 변화하는 사회의 흐름을 잘 읽고 신속하게 대응함
(예 : 19세기 후반의 일본)
②후진국 : 세계사의 흐름에 유연하게 대처하지 못함
(예 : 19세기 후반의 우리 나라)
(2) 미래 사회에의 대응
①다각적인 검토→미래에 대한 정확한 예측
②치밀한 준비(적절한 대응책 수립)→예상하지 못한 문제 극소화
학습지10-4 |
학습주제 |
3. 미래사회에 대비하는 시민의 자세 |
교과서 |
4.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개방적으로 사고하자. |
298~303 |
1.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개방적으로 사고하자. ⇒비판적 분석, 개방적 사고
(1) 비판적 분석
①의미 : 정보의 사실 여부를 따져 보고 정보의 질을 평가하는 태도
②필요성 : 저질 정보 확산, 허위 정보 유포로 정보의 사실 여부 및 질에 대한 평가
(2) 개방적 사고
①의미 : 자기와 다른 사고 방식과 이질적인 문화들을 열린 마음으로 받아들이는 자세
②필요성 : 다른 문화와의 접촉 확대로 타문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 필요
2. 창의적으로 접근하고 주체적으로 판단하자. ⇒창의적 접근, 주체적 판단
(1) 창의적 접근 :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창조하려는 인간의 의지와 능력이 요구
(2) 주체적 판단 : 과학 기술의 발전이 초래한 결과에 대한 수용 여부의 주체적 판단
3. 치밀한 전략을 세워 지성적으로 참여하자. ⇒치밀한전략, 지성적참여
(1) 치밀한 전략 : 미래 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인의 분석→다양한 대안의 모색과 예측 가능한 결과를 포함하는 치밀한 전략 수립
(2) 지성적 참여 : 다양한 문화와 가치 공존으로 인해 발생하는 갈등의 해결을 위해 사회 구성원이 합의한 기준과 절차를 중시하는 태도, 합리적이고 책임감 있는 참여 필요
4. 과거에서 교훈을 ⇒미래 시민으로서의 바람직한 자세
(1) 1997년 말의 경제 위기 : 기업의 방만한 경영, 정부의 잘못된 정책, 소비자의 과소비 등이 외환 위기를 초래
(2) 반성적 사고 : 잘못된 부분에 대한 반성과 그것을 고치려는 노력→개인․사회․국가의 발전을 위해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