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 연혁
김포(金浦)는 경기도 서쪽 한강(漢江) 하구에 위치한 옛 김포군 지역의 이름이다. 고구려 때 김포는 검포현이라 하였고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김포로 고쳐져 장제군(長堤郡: 富平)의 영현이 되었다. 1172년(고려 명종 2)에 분리되어 감무를 두었으며, 1198년(신종 1)에 이르러 왕의 태(胎)를 묻었다 하여 현으로 승격하였다. 1414년(태종 14)에 양천(陽川)을 합하여 금양현이라 하였고, 나중에 다시 양천은 금천에, 김포는 부평부에 합하였다가 1416년에는 다시 현으로 복귀되었다. 1632년(인조 10)에 인조의 생부(生父) 원종(元宗)의 능인 장릉(章陵)을 양주로부터 이장함에 따라 군으로 승격되었다. 1896년(고종 33)에 경기도 김포군으로 개편되었고,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양천군이 김포군에 통합되었고, 1934년에는 김포군의 일부였던 군내면이 김포면으로 개칭되었다. 1979년 5월 1일 김포면이 읍으로 승격하였고, 1995년 검단면이 읍으로 승격하였고, 같은 해 검단읍이 인천광역시에 편입되었다. 1998년에는 김포군이 김포시로 승격되었다.
성씨의 역사
김포정씨(金浦鄭氏)의 시조 정응문(鄭應文)은 김포 사람으로 고려 인종 때에 어사대중승(御史臺中丞)을 지냈다. 《고려사절요》에 의하면 그는 1128년(인종 6)에 남해안에 도적들이 창궐하자 남해안무사(南海按撫使)가 되어 도적을 소탕하는데 큰 공을 세웠다. 또한 해적 좌성 등 820명이 투항해오자 합천, 진주, 의령 등지에 생활 터전을 마련해 주기도 하였다. 그 후 후손들은 김포에 세거하면서 본관을 김포로 삼아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고 한다.
주요 세거지
황해도 신천군 남부면 능동리
황해도 신천군 문화면 화암리
인구분포
2000년 통계청이 발표한 결과에 의하면 김포정씨는 214가구 총 665명이 있는 것으로 되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