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물을 분류하는 방법
기준과 사람에 따라 분류법
식물은 사람의 편의상(약용식물, 수중식물 등)으로 분류하는 인위분류와, 식물의 유사성(양치식물, 종자식물 등)으로 분류하는 자연분류가 있다.
식물분류의 계급 기본적으로 (1)문 (2)강 (3)목 (4)과(Family) (5)속 (6)종 이렇게 6단계가 있습니다. 그러나 필요할 경우 접두어 아(sub-)를 해당 계급에 붙이거나 보조술어를 첨가하기도 한다. 혼란을 야기하지 않는 한, 계, 아계, 문, 아문, 강, 아강, 목, 아목, 과, 아과, 족, 아족, 속, 아속, 절, 아절, 계, 아계. 종, 아종, 변종, 아변종, 품종, 아품종을 삽입해서 쓸 수가 있다고 합니다. 너무 복잡한 관계로 제가 아는 바만 간단히 요약하면
1. 초본과 목본: 초본(草本)식물은 풀 종류의 식물, 목본(木本)식물은 나무를 의미
2. 유용성: 약용(산삼, 구기자, 지황 등등), 식용(벼, 밀, 옥수수), 염료식물(쪽, 감), 섬유식물(면, 마, 모시), 관상용(사랑초, 난 종류) 등 3. 밑씨의 위치에 따라: 밑씨가 씨방 밖으로 드러나 있는 겉씨식물 밑씨가 씨방 속에 있는 속씨식물 속씨식물이 다시 쌍떡잎과 외떡잎 식물로 나뉘어짐 4. 꽃의 유무에 따라: 꽃을 피우고 종자를 맺는 종자식물 꽃을 피우지 않고 포자에 의해 번식하는 은화식물(민꽃식물) 5. 식물이 자라는 위치: 양지바른 곳에서 자라는 양지식물, 응달에서 잘 자라는 음지식물, 염분이 많은 땅에서 잘 자라는 염생식물 흙이나 공기가 늘 축축한 곳에서 자라는 습생식물, 바위에 붙어서 사는 암생식물 등 6. 스스로 자라는 자생식물, 다른 식물이나 숙주에 기대에 사는 기생식물, 곤충을 잡아먹고 사는 식충식물 등등 다양합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