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동 쌍계사 나한전 -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좌우로 가섭존자 아난존자, 그리고 16나한이 모셔져 있음
아라한(阿羅漢) - 산스크리트어 arhat의 주격 arhan의 음사
성문(聲聞)들 가운데 최고의 성자. 욕계·색계·무색계의 모든 번뇌를 완전히 끊어 열반을 성취한 성자
마땅히 공양 받아야 하므로 응공(應供), 진리에 따르므로 응진(應眞), 더 닦을 것이 없으므로 무학(無學),
악을 멀리 떠났으므로 이악(離惡), 번뇌라는 적을 죽였으므로 살적(殺敵), 미혹한 마음을 일으키지 않으므로 불생(不生)이라 번역
역대로 아라한은 무수히 많이 배출되었지만 '나한전'에는
석가모니부처님 직제자 가운데 특출나게 뛰어난 16나한을 모시거나
석가모니부처님 입멸하신 후 경전 결집에 참여했던 500나한을 모신다.
대개의 경우 16나한(↓)을 모시지만 간혹 18나한을 모시기도 한다.
(원래 16나한이었으나 중국의 아라한 2분을 모셔 18나한이 되었다고도 함)
'법주기'에 의하면 16나한은 석가모니부처님 열반 뒤 56억 7천만년 후 미륵불이 출현할 때까지
열반에 들지 않고 불법수호의 사명을 위임받은 아라한들이다.
인간의 한계상황을 초월하는 신통력을 발휘하여 설법으로 사람들에게 감화를 주었기 때문에
신앙의 대상으로까지 확산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신라 때부터 나한신앙이 있었다.
(1) 빈두로파라타(Pi olabharad ja) - 흰 머리에 길다란 눈썹. 빈두로는 그의 이름 파라타는 그의 성.
우리나라에서는 독성(獨聖) 또는 나반존자라 불리운 채 공경의 대상이 되어지고 있다.
(2) 가낙가벌차(Kanakavatsa) - 왼쪽 어깨에 지팡이를 두고 양손은 결인(結印)을 짓고 있는 모습.
(3) 가낙가발리타사(Kanakabharadv ja) - 오른손에 불자(拂子)를 든 모습.
(4) 소빈타(Subinda) - 돌 위에 결가부좌를 한 모습.
(5) 낙거라(Nakula) - 돌을 의자삼아 앉아 있는 채, 양손으로는 여의를 쥐고 있는 모습.
※여의(如意): 뼈나 뿔, 대나무 나무 등으로 사람 손모양을 만들어 가려운 곳을 긁는 도구로서,
후대에 이르러 법사가 설법할 때 지니는 법구로 용도가 전환된 것.
(6) 발타라(Bhadra) - 바위 위에 가부좌하여 앉아 있는 채 왼손에 염주를 들고 있는 모습.
(7) 가리가(K lika)- 바위 위에 안좌해 있고, 긴 눈썹이 인상적인 모습.
(8) 벌사라불다라(Vajraputra 와즈라푸트라?) - '중아함경'에 의하면 부처님께서 이미 열반하시고 난 후
아직도 깨달음에 이르지 못한 아난다에게 가르침을 베풀었는 바,
아난다는 그의 가르침에 힘입어 욕심을 여의고 아라한과를 증득할 수 있었다고 한다.
상반신의 법의를 벗고 바위에 앉아 있는 바, 그 왼쪽 옆에는 '패엽경'이 함께 그려지게 된다.
(9) 술박가(J vaka)- 바위 위에 앉아 계신 채 왼손에는 불선(拂扇;부채)을, 오른손은 세 손가락을 구부린 모습으로 표현.
(10) 반탁가(Panthaka)- 대로변생(大路邊生)이라 번역 되는 바 그의 이름은 큰길 가에서 태어났다는 이유로 붙여진 것이다.
작은길 가에서 태어났다 하여 이름 불리워진 소로변생(小路邊生), 즉 아둔함 가운데서도 열심히 수행하여
성인의 경지에 오른 주다반탁가(C aipanthaka)의 형으로서 중인도 사위성의 바라문의 아들로 태어나
바라문으로서 갖추어야 할 모든 학문을 배우고 크나큰 지혜를 얻어 500명에 달하는 제자들이
그를 찾아 가르침을 배우기도 하였다고 한다. 이후 석가모니 부처님의 설법을 듣고
동생 주다반탁가와 함께 출가하여 부처님 제자가 되었으며, '증일아함경' 설명에 의할 것 같으면
신통력이 자재하여 능히 자신의 몸을 숨길 수 있었다고도 한다.
그는 바위 위에 좌구를 깔고 결가부좌를 하고 있는 모습으로,
양손에는 경전을 들고 그것을 독경하는 모습으로서 표현.
(11) 라호라(R hula) - 10대제자 중 밀행제일 라후라, 즉 부처님 아들인 라후라와 동일 인물로 여겨진다.
(12) 나가서나(N gasena) - 통견 법의를 입은 채 바위에 걸터앉아 입을 벌리고 혀를 약간 내밀은 모습.
(13) 인게타(A gaja) - 왼손에는 경전을 얹고 오른손으로는 구슬을 받들며 그 어깨에는 지팡이를 기댄 채 앉아 있는 모습.
(14) 벌나바사(Vanav sin) - 암굴 내에 결가부좌 하고 법복으로 양어깨를 가리고 눈을 감은 채 선정에 들어 있는 모습.
(15) 아씨다(Ajita) - 양손으로 무릎을 포개 안고 입을 연 채 눈은 하늘을 우러러 치아가 드러난 형상.
(16) 주다반탁가(Culapanthaka) - 그의 이름은 작은길 가에서 태어났다는 의미. '주리반특'이라고도 함.
16아라한 중의 10번째에 해당하는 반탁가의 동생으로, 품성이 우둔하여 하나를 배우면 금방 잊어버리는 까닭에
사람들은 그를 놀려대기도 하였으나, 부처님께서 일러준 '불진제구(拂塵除垢)'라는 말을 한없이 암송하며
모든 비구들의 신발을 깨끗이 닦는 수행을 하던 중 모든 업장이 소멸하고 활연개오하여 아라한의 과위를 증득.
깨달음이 있은 후 대신통력을 구족하여 능히 각종 형상을 바라볼 수 있었다고 한다.
고목 가운데 앉아 왼손을 드러내 무언가를 가리키고 있는 형상으로 묘사.
[자현스님 설명] 형 반특은 매우 총명, 동생 주리반특은 '작은 길'에서 날 때 무슨 문제 있었는지 능력 떨어져
게송 2줄 이상 못 외워, 창피했던 형은 동생 보고 집으로 가라고..
부처님의 방편으로 깨달은 주리반특, 그러나 아무도 눈치 못채
왕에게서 공양청 들어왔는데 '주리반특만 빼고..' 잔인한 공양청
(그냥 인원수만 정해서 들어오면 고참순으로 나가고, 다음번에 또 다음번순부터 나가고 하는데
누구누구 지정하거나, 누구 빼고.. 공양청 들어올 수도.. 잔인하지만 대중교화능력스님 발전 요소도 돼)
부처님 아시고 발우 두고 가셔.. 주리반특 청소하다가 '어, 발우 두고 가셨네'
궁에 들어갈 수 없자 팔을 길게 늘여서 부처님께 전달, 사람들 모두 놀라
깨달았어도 게송 못 외우기는 마찬가지 - 깨달음은 행복의 문제이지 능력이 좋아지는 건 아냐
첫댓글 미륵불의 출현 ! 56억 7천만년 .... ( 태양계나 지구의 나이는 대략 46억 년) 으로 약간 비슷하군요. 불교가 과학적이라는 가설에 공감이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