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율교실] ⑨ 불투도계(不偸盜戒) 주어지지 않은 것 취하지 않겠다는 의지 불투도계. 재가불자가 지켜야 할 오계 가운데 두 번째에 위치하는 이 계는 남의 것을 훔치지 말라는 정도의 뜻으로 일반적으로 이해되고 있지만, 좀 더 정확히 말하자면, 자신에게 주어지지 않은 것을 취하는 행동으로부터 자발적으로 떠나고 멀리 함을 의미한다.
남의 소유물은 말할 것도 없고, 설사 특정한 누군가의 소유물이 아니더라도 자신에게 주어지지 않은 것은 어떤 것이든 함부로 취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출가자의 경우, 연못에 핀 연꽃의 향기를 맡는 것만으로도 향기를 훔친 자라 불렸다고 할 정도이니, 불교에서 자신의 소유물이 아닌 것을 취하는 행동이 얼마나 엄격히 경계되고 있는지 엿볼 수 있다.
인도신화에서도 다른 사람의 소유였던 쌀을 훔친 것을 계기로 이 세상에 거짓말이 나타나고, 이어 그에 대한 형벌 등이 발생하게 되었다고 한다. 즉 도둑질을 인류 타락의 최초의 죄로 보고 있는 것이다.
경전에 따라 약간의 입장 차이는 있지만, 예를 들어 빨리 장부경전인『기세인본경』및 한역『중아함경』권39 등의 불교경전에서도 이 세상의 기원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이와 유사한 견해를 보인다. 타인의 밭 혹은 쌀을 훔친 자가 나타난 것을 계기로 이어 이를 꾸짖는 행동이 나타나고, 나아가 다시는 훔치지 않겠다고 해 놓고 또 다시 훔침으로써 거짓말이, 그리고 결국 이를 벌하기 위해 범인에게 체형이나 사형을 내리는 징벌 등의 갖가지 악과 불선법이 발생하게 되었다고 기술한다.
우리는 때로 자신의 이익을 위해 비리를 저지르면서까지 남의 것을 빼앗는다. 다른 사람이 억울하게 손해보고, 그로 인해 고통 받으리라는 생각은 잊은 채, 마치 이를 자신의 훌륭한 능력인 듯 착각하며 상대방의 무능력을 비웃는다. 인간의 이런 어리석음이 이 세상을 온갖 부정부패와 혼란으로 몰아가고 있다고 한다면 과언일까.
인간의 탐욕스럽고도 이기적인 행동은 인간 사회를 벗어나 널리 자연계에까지 미쳐 왔고, 우리는 이제 서서히 그 과보를 받고 있는 듯하다. 대자연속의 일부인 인간이 자연의 섭리를 무시한 채 자신들의 편의와 이익을 위해 마치 자신의 살을 갈아먹듯 환경을 파괴해 온 결과, 최근 곳곳에서 그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
불투도계는 자신에게 주어지지 않은 것은 결코 취하지 않겠다는 성실하고 정직한 마음을 기반으로, 나아가 적극적으로 남의 이익을 위해 노력하는 상태를 실현하는 것을 이상으로 한다. 자신의 소유물에 대한 집착으로부터 벗어나 이를 모든 생물의 행복을 위해 그들과 공유하고자 하는 보시의 마음을 잃지 않는 것, 이것이야말로 불투도계의 진정한 실천이자 우리 모두 행복해지는 길임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日 도쿄대 연구원 [출처 : 법보신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