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
본 기사는 2008년 5월 17일 올드라디오클럽에 올린 글 입니다.



Good Morning!
찬란한 토요일 아침입니다.
오늘은 SSB무전기의 심장과 같은 매우 중요한 부분인 BFO쪽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부분은 미국의 WB8JKR 의 Optimizing the Heathkit HW-101,SB100-102 Tranceiver라는 기사를 많은
부분 참조했습니다.
이곳을 손 댄 배경은 무전기구성중 가장 중요한 부분의 기본적인 Level관계가 어떤지 알아보다
윗사람도 지적을 했지만 변조찌그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미흡하게 설계된 부분을 이렇게 개선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무전기를 이론적이 아니라 실제로 조정하거나 만들어 본 사람들은 오랜 경험에 의해 무전기의 무신호시
배경잡음을 들어보면 BFO의 설정이 정상인지 아니면 약간 높은지 낮은지를 가늠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필터특성과 BFO주파수와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우리가 오늘 보고자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여기서 빼놓을수 없는 중요한 요소는 변조부에 인가하는 BFO Level 입니다.
첫번째 그림은 잘아시는바 같이 BFO부분입니다.
여기서 개선한 부분은;
1. 약간 모자란 BFO의 출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R7,8 33k옴을 27k옴으로 교체한다.
2. 다음은 C17 12pF를 100pF로 교체한다.
*이 개선은 모든 SB/HW무전기에 해당한다고 생각합니다. 우선 본인의 무전기 혹은 회로도를 확인하시고
개선하시기 바랍니다.이렇게 하면 무엇이 달라지는지는 위에서 언급했듯이 변조찌그러짐의 개선입니다.
아직 이해가 힘든 사람들은 예전 클럽에서 복사한 SSB트랜시버라는 책의 8장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제 개인적인 개선입니다.
LSB/USB사이의 음색의 차이는 분별하기 어려울 정도였기 때문에 손 댈 필요가 없었으나 개인적인 음에
대한 취향으로 인해 캐리어 주파수를 약간 조정했습니다.
우선 개선전의 상황은;
LSB주파수; 3393.53khz, (3393.60khz)
USB주파수; 3396.35khz (3396.40khz)
*( )안은 크리스탈주파수
이것을 보면 Heath에서는 BFO주파수를 필터의 중심주파수인 3395khzs에서 양쪽으로 1.4khz씩 떨어진
곳을 선택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정작 사용필터의 중심주파수가 정확히 3395.0khz인지는 확인해 보지않고는 알 수 없지요.
많은수의 필터는 정확히 3395.0khz가 아닐수 있습니다.
기사를 제공했던 미국의 햄인 Mark도 그랬고 제것도 필터 두개를 모두 확인해 본 바 중심에서
약 40~70hz 정도 밑으로 내려와 있더군요.
물론 이 상태로도 실용상에는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만 내용을 알고있는 상황에서 묵인하고 그냥
사용하기가 매우 힘들었습니다.
여하튼 아무리 캐리어주파수를 회사?/설계자가 원하는 인쇄된 주파수에 맞춘다 해도 중심이 변해
있으니...
세번째 그림처럼 Y2의 주파수를 크리스탈에 330pF를 직렬로 연결하여 약 100hz정도 올렸습니다.
처음에 이곳에 그림과 같이 350pF를 연결하니 60hz가 올라가 3393.59khz가 되는데 좀 더 제 귀에
맞도록 콘덴서용량을 330pF로 변경하여 현재의 3393.63khz로 주파수를 올렸습니다.
참고로 여기서 사용콘덴서 용량을 줄이면 줄일수록 주파수변화가 커집니다.....
예를들어 무심코 처음에 10pF정도를 연결했더니 3395.xx 정도로 올라가 깜짝 놀랐습니다.hi
여기서 한가지만 더 알고 가실까요?
무전기 VFO종류중에 VXO(Variable X-tal Osc)라는 형식이 있는데 주로 수khz~십여khz 이내의 CW주파수
대역과 같이 넓지않은 범위를 크리스탈의 안정도에 버금가도록 가변시킬때 사용하는 회로로서 위와같이
고정콘데서가 아닌 가변콘덴서(바리콘)를 사용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그러면 말썽많은 VFO대신 VXO를 사용하지 왜 VFO냐.....고 의구심이 드는 사람도 있을텐대??
그것은 안정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는 범위가 매우 좁아 수백 khz 정도를 가변해야 하는 무전기에는
적합하지 않아서 그렇습니다.
다시 본론으로,윗 그림을 보면 콘덴서를 직렬로 크리스탈에 연결하기 위해 pcb를 파낸 모습이 보이지요?
연필깍는 컷터로 이렇게 모양없이 팟습니다.솜씨있는 분들은 예쁘게 만들어 보시기 바랍니다.hi
다음은 USB용 크리스탈인 Y1에 병렬로 약 2pF 정도의 C를 넣어 발진주파수를 위와같이 3396.35khz에
맞췄습니다.
두번째 그림은 이주변의 pcb그림이며 IF부는 다음 이야기를 위해 한꺼번에 올렸습니다.
그런데 앞서 말씀드린대로 저 IF부의 저항 R123 470옴을 47~56옴으로 변경하셨지요???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cu s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