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 일시: 2020년 7월 18일 (토)
o 날씨: 흐림
o 산행경로: 검산1리 노인회관 - 아미산 - 삼형제봉 - 덕밭재 - 고양산 - 샘터 - 풍암교 - 서석면 체육공원 주차장
o 아미산 지명도: 명산100+(블랙야크), 숨겨진 우리진 250(산림청)
o 산행거리: 10.53km
o 소요시간: 4시간 20분
o 지역: 강원도 홍천
o 산행정보: 아미산, 고양산
o 일행: 엠티산악회
o 트랙:
▼ 산행지도

오늘 산행지는 홍천 아미산,
산림청에서 선정한 '숨겨진 우리산 250'과 블랙야크에서 선정한 '명산 100+'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오락가락 하는 장마비가 고맙게도 오늘은 잠시 쉬어 가는 모양이네요^^
산행은 검산1리 노인회관에서 시작하는데,
등산로 입구까지는 큰 차량이 통행할 수 없은 약 2km의 좁은 아스팔트길을 따라 가야 합니다.
▼ 검산1리 노인회관 (들머리)



눈앞으로 아미산의 능선이 하늘에 걸려 있습니다.
아미산 정상 좌측으로 보이는 3개의 뽀족한 곳이 총각 3명의 슬픈 사연이 담겨있는 삼형제봉인가 봅니다...




계절이라는 시계는 여름의 절정을 향해 달리는데,
어째 올 여름 날씨는 아직 본격적인 더위를 미루고 있는 듯 합니다.
대서를 며칠 앞둔 오늘 기온도 30도를 넘기지 않는다고 하니...

예쁜 펜션을 몇개 지나 동네길을 벗어나면 숲길입니다.
이제부터 아미산 정상까지는 제법 긴 오르막이 기다리고 있지만,
뜨거운 햇볕을 피해 시원한 나무그늘 아래로 들어왔다는 사실에 더 마음이 들뜨게 됩니다...


생각보다는 가파른 오르막길입니다.
작은 암릉 같은 바윗길도 군데군데 있네요.
슬슬 땀이 쏟아집니다.
바람과 그늘을 따라 어쩔수 없이 멈춰 서는 횟수가 많아집니다...





아미산 정상 바로 아래의 작은 공터에서 아미산 정상은 우측이고, 좌측은 삼형제봉 방향입니다.

아미산은 홍천 서석면의 진산으로 전체적인 산세가 동서로 뻗은 흙산인,
풍암분지 북졲에 병풍을 두른 듯 우뚝 솟아 있으며 능선에는 크고 작은 암봉과 활엽수가 조화를 이루고 있는 모습입니다.
한자는 예쁠아(娥), 눈썹미(眉)를 쓰지만, 높고 풍치가 아름다운 산이라 하여 높을 아(峨)를 사용하기도 한답니다...
아미산 정상부는 좁은 공간으로 사방이 막혀있어 조망은 꽝입니다.
얼른 인증샷을 남기고 자리를 비켜주기 바쁘네요 ^^;;
▼ 아미산 정상

쉴 공간이 없는 아미산 정상을 벗어나 삼형제봉으로 발걸음을 옮깁니다.
상당한 내리막길인데 눈앞으로 나타나는 암봉이 삼형제봉의 제1봉인가 봅니다.
정면으로는 출입통제 팻말이 설치되어 있으나, 좌측으로 우회하면 뒷편으로는 올라갈 수 있습니다.
꼭대기는 두어명이 비켜 앉기도 어려울 정도로 좁은 공간입니다...

▼ 삼형제봉 제1봉에서 바라본 서석면 방향 조망

삼형제봉은 세개의 봉우리가 마치 '뫼산(山)자'처럼 솟아있기 때문에 암봉과 암봉사이가 깊고 거친 암릉입니다.
잠깐 열리는 조망터에서 가야할 방향이 보이는데,
눈앞으로 보이는 소나무와 어우러진 암봉이 삼형제봉의 중간(제2) 봉우리이고,
그 뒤가 고양산으로 이어지는 산줄기입니다...
▼ 진행방향으로 바라본 삼형제봉 중간봉(우)과 고양산(뒤)

장마철 습기를 품은 등로가 상당히 미끄럽네요.
밧줄을 잡은 손에도 힘이 들어가고, 미끄러지지 않으려고 버티는 다리에도 힘이 들어가고...



삼형제봉의 중간봉도 멀리서 볼때와는 달리 공간이 별로 없네요.
명당자리는 이미 먼저 오신 분이 선점해 계시고 ^^
나도 명당자리 옆에 걸터앉아 잠시 쉬어가기로 합니다...ㅎ
▼ 삼형제봉 중간봉(2봉)

▼ 진행방향으로 바라본 고양산

삼형제봉에는 다음과 같은 전설이 숨겨져 있습니다.
오랜 옛날 이 고을에 사는 3명이 눈썹이 예쁜 아(娥)씨라는 성을 가진 여인에 반해 상사병으로 죽었는데,
그 3명의 총각이 이곳 삼형제봉으로 변했다고 하는 야그입니다.
현재의 상황에 빗대어 보자면, 아(娥)씨 성을 가진 여인이 아미산이고, 아미산 바로 아래에는 3명의 총각은 지금도 그 사랑을 갈망하고 있는 모습이네요...
중간봉(2봉)을 내려오면 다시 깊게 출렁이는 암릉지대를 통과하는데, 3봉은 어디였을까요?
삼형제봉 스토리를 담은 안내판과 팻말을 설치해두면 더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질텐데...

요철같은 삼형제봉의 암릉구간을 내려오면 당분간은 부드러운 숲길입니다.
기온이 높지는 않지만 여름이라는 가오가 없어진 것은 아닙니다.
등에서 땀이 흘러내려 바지를 적시고 속옷까지 적시니... 어메 찜찜해지는 것....


숲속에는 녹색 여름이 가득합니다.
귀청이 멍멍해질 정도로 울어대는 매미소리가 들릴 법도 한데, 아직 때가 이른가요?
출렁거림이 크지는 않지만 작은 안부의 골짜기를 타고 불어오는 바람이 꽤나 시원합니다.
피서가 별거 있나요...ㅎ




▼ 덕밭재


덕밭재를 지나면 650봉이라는 제법 큰 파도를 넘어야 하고,
그다음에는 고양산이라는 더 큰 파도가 기다리고 있습니다...





고양산 정상, 전망데크와 쉴수 있는 의자가 설치되어 있네요.
먼저 의자에 앉아 목도 축이면서 바지를 적신 땀도 조금 닦아 내고 ㅎㅎ


전망데크에서는 서석면 방향의 조망이 시원하게 펼쳐집니다.
서석면 뒤쪽이 운무산을 비롯하여 한강기맥 줄기 같은데...
저쪽 동남쪽이 개방산 방향이고, 그렇다는 서남쪽은 벌교산과 공작산 방향일테고...
이렇게 대충 추측만 해봅니다.
▼ 전망데크에서 바라본 한강기맥 산줄기


고양산을 내려가는 길도 암릉길이네요.
등로 좌측(남쪽)사면 곳곳이 암벽이라 눈요기는 심심찮습니다...




한참을 내려갔는데, 등로가 두갈레로 나누어 집니다.
우측이 샘터방향이고, 좌측이 풍암2리 방향인데...
샘터에는 우리나라 최대 무궁화나무가 있으니 꼭 구경하고 오라는 대장님 말씀을 상기하며 우측으로 고~~
샘터는 큰 절벽 아래에 동굴이 있고,
그 동굴안에 천연샘과 귀 모양을 닮은 바위가 있으며,
동굴밖에는 우리나라에서 최대, 최고의 무궁화나무가 자라고 있습니다...
▼ 샘터





동굴이 귀 모양을 닮아서 귀동굴이라고 불렀다고 하며,
동굴속에 있는 귀모양 형상은 그 뒤에 새로 새긴 것 같습니다...


무궁화나무는 수령이 약 100년으로 추정되며, 직경 36.7cm, 높이는 7.5m가 된다고 하네요...


샘터 앞으로 내려가는 길을 따라 발걸음을 이어갑니다.
이곳 부근에 원(元)글씨 바위가 있다고 했는데, 등로는 아무래도 그런 분위기가 아니라 의아스럽습니다...


뭔가 잘못되었음을 깨닫고 다음 갈림길에서 능선을 거꾸로 따라 올라가 봤지만, 마사토의 된비알에 막혀 후퇴...
복기를 해보자면,
샘터로 내려가기 전에 있던 삼거리에서 우측이 샘터방향이었다면, 원(元)글씨바위는 좌측의 능선길에 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원(元)글씨 바위를 보기 위해서는 샘터에서 다시 삼거리로 돌아와 능선을 따라 내려갔어야 했는데,
샘터에서 바로 하산길을 따라 갔으니 보이지 않을 수 밖에...
▼ 원(元)글씨 바위(펌)


원(元)글씨 바위에는 어떤 사연이 숨어 있을까요?
▼ 내려다본 날머리 방향

원(元)글씨 바위를 보지 못했다는 아쉬움을 뒤로 하고 하산길을 이어갑니다.
운치있는 소나무 숲을 따라 내려가면 마을로 연결...
그리고 보니 '천조단'도 놓쳤네요.
아무래도 하산길을 잘못 내려온 모양입니다...ㅉ




▼ 올려다본 원(元)글씨바위 산봉우리(?)

마을을 내려오면 풍암교를 건너 서석면 체육공원으로...


서석면 체육공원으로 가는 내내 아미산에서 고양산으로 이어지는 산줄기가 한눈에 들어옵니다.
크고 작은 산봉우리가 네댓개가 이어져 있네요.
그 모습을 보면서 지나온 길을 한번 더 되집어 볼수 있어 좋았습니다...
▼ 아미산(우)~고양산(좌) 산줄기


동네 앞으로 흐르고 있는 내촌천은 고향의 모습입니다.
다슬기를 잡고 있는 동네분들도 정겨워 보이고...

▼ 서석면 체육공원 (날머리)


서석면 체육공원에는 씻을 곳이 마땅치 않아 바람으로 땀을 말려야 하나 했는데,
주차장 건너편 화장실에서 얼굴과 손이나마 땀을 씻고나니 한결 개운합니다.
준비해온 새옷으로 갈아입었는데도 남아 있는 몸의 열기와 더위 때문에 쉼없이 흘러내리는 땀은 어찌할 수가 없네요.
바람을 찾아 나무그늘 아래를 어슬렁 어슬렁...
날머리 인근 식당이 하필 오늘 영업을 하지 않지만 현명하게 치킨을 배달시켜 먹는 일행분도 계시네요^^
궁즉통이라는 말이 어울립니다.ㅎ
후미일행들이 예정시간을 넘겨 도착합니다.
예쁜이름에 홀려 만만하게 생각했는데 뒷통수를 맞았다고도 하고,
군인들이 훈련하는 ARMY산이라는 표현으로 오늘 코스가 쉽지 않았음을 토로합니다.
삼형제봉의 어려운 암릉이 조금 있었지만 뭐니뭐니해도 더운 날씨가 가장 난코스였다고 생각합니다...
▼ 고양산(좌)~아미산(우) 모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