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말씀 - 왕하 13:14-25】
14 엘리사가 죽을 병이 들매 이스라엘의 왕 요아스가 그에게로 내려와 자기의 얼굴에 눈물을 흘리며 이르되 내 아버지여 내 아버지여 이스라엘의 병거와 마병이여 하매
15 엘리사가 그에게 이르되 활과 화살들을 가져오소서 하는지라 활과 화살들을 그에게 가져오매
16 또 이스라엘 왕에게 이르되 왕의 손으로 활을 잡으소서 하매 그가 손으로 잡으니 엘리사가 자기 손을 왕의 손 위에 얹고
17 이르되 동쪽 창을 여소서 하여 곧 열매 엘리사가 이르되 쏘소서 하는지라 곧 쏘매 엘리사가 이르되 이는 여호와를 위한 구원의 화살 곧 아람에 대한 구원의 화살이니 왕이 아람 사람을 멸절하도록 아벡에서 치리이다 하니라
18 또 이르되 화살들을 집으소서 곧 집으매 엘리사가 또 이스라엘 왕에게 이르되 땅을 치소서 하는지라 이에 세 번 치고 그친지라
19 하나님의 사람이 노하여 이르되 왕이 대여섯 번을 칠 것이니이다 그리하였더면 왕이 아람을 진멸하기까지 쳤으리이다 그런즉 이제는 왕이 아람을 세 번만 치리 이다 하니라
20 엘리사가 죽으니 그를 장사하였고 해가 바뀌매 모압 도적 떼들이 그 땅에 온지라
21 마침 사람을 장사하는 자들이 그 도적 떼를 보고 그의 시체를 엘리사의 묘실에
들이던지매 시체가 엘리사의 뼈에 닿자 곧 회생하여 일어섰더라
22 여호아하스 왕의 시대에 아람 왕 하사엘이 항상 이스라엘을 학대하였으나
23 여호와께서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과 더불어 세우신 언약 때문에 이스라엘에게 은혜를 베풀며 그들을 불쌍히 여기시며 돌보사 멸하기를 즐겨하지 아니하시고 이 때까지 자기 앞에서 쫓아내지 아니하셨더라
24 아람의 왕 하사엘이 죽고 그의 아들 벤하닷이 대신하여 왕이 되매
25 여호아하스의 아들 요아스가 하사엘의 아들 벤하닷의 손에서 성읍을 다시 빼앗으니 이 성읍들은 자기 부친 여호아하스가 전쟁 중에 빼앗겼던 것이라 요아스가 벤하닷을 세 번 쳐서 무찌르고 이스라엘 성읍들을 회복하였더라
【말씀 나눔】
달을 바라보아야 함에도, 달을 보지 않고 달을 보라고 가르키는 손가락을 바라보는 경우가 있습니다. 엘리사 선지자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하나님을 바라보게 하는 손가락과 같은 역할을 하였습니다. 그런데 어느날 엘리사 선지자가 죽을 병에 걸렸습니다. 당시 이스라엘 왕 요아스가 엘리사에게로 와서 내 아버지여 내 아버지여 이스라엘의 병거와 마병이여 라고 말하며 눈물을 흘립니다.
이 말은 엘리야 선지자가 하늘로 들림을 받을 때 엘리사 선지자가 엘리야 선지자를 향하여 소리쳤던 말과 같습니다(왕하2:12). 요아스의 말을 통해서 엘리사 선지자가 엘리야 선지자와 같은 큰 비중을 차지하는 하나님의 선지자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요아스가 말한 것과 같이 엘리사 선지자는 이스라엘의 병거와 마병으로 이스라엘의 최강 전투력이었습니다. 엘리사 선지자가 약 60여 년 동안의 사역을 하는 중에 이스라엘을 이방의 침입으로부터 여러번 구해 주었습니다.
요아스 입장에서는 자신이 의지하고 있던 엘리사 선지자의 죽음이 절망으로 다가 올 수 있습니다. 이때 엘리사 선지자는 요아스 왕에게 활과 화살을 가져 오라고 합니다. 요아스는 엘리사 선지자의 말에 이유를 묻지 않고 순종합니다.
엘리사 선지자는 요아스에게 활을 잡으라 말하고 활을 잡은 요아스의 손 위에 자신의 손을 얹고 동족 창을 향해 쏘라고 합니다. 이러한 상징적인 행동을 통해서 요아스 왕의 손 위에 하나님께서 함께 하심을 보여 줍니다. 그리고 동쪽으로 쏜 화살을 여호와를 위한 구원의 화살, 아람에 대한 구원의 화살이라고 표현하며, 요아스 왕이 아벡에서 아람 사람을 멸절하도록 칠 것이라 예언합니다.
아벡은 아합이 아람과의 전투를 벌여 승리한 곳입니다. 그들은 여호와 하나님이 산지의 신으로서 평지로 나오면 힘을 쓰지 못할 것이라 생각하고 전투를 벌였던 곳입니다(왕상 20:22-34). 하나님께서 아벡에서 아합에게 승리를 주셨듯이, 이제 요아스 왕에게도 승리를 보장하십니다. 이 약속은 곧 하나님의 구원의 약속입니다.
이어서 엘리사 선지자는 요아스에게 화살들을 집어서 땅을 치라고 말합니다. 그런에 요아스는 세 번 치고 그쳤습니다. 이에 엘리사 선지자가 노하며 왕이 대여섯 번 쳤다면, 아람이 진멸하였을 것이라 말합니다. 요아스가 세 번 땅을 친 결과 아람과 세 번 싸워서 세 번 승리하게 됩니다(25절).
그리고 난 후에 엘리사 선지자가 죽었고, 그를 장사했습니다.
해가 바뀌어 모압의 도적 떼들이 약탈하러 왔는데, 마침 장례를 치르는 사람들이 그 도적 떼를 보고 그들이 장사 지내던 시체를 엘리사의 묘실에 던지고 도망칩니다. 그런데 엘리사의 뼈에 그 시체가 닿자마자 곧바로 회생하여 두 발로 일어섭니다.
엘리사 선지자는 이미 죽었는데, 어떻게 엘리사의 뼈에 닿은 시체가 다시 살아 날수 있었을까요? 엘리사의 뼈에 하나님의 권능이 임했기 때문입니다. 죽은 엘리사가 능력을 발휘한 것이 아니라, 죽은 엘리사의 뼈를 하나님께서 사람을 살리는 도구로 사용하신 것입니다. 엘리사 선지자는 이미 죽어 묘실에 장사되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예수 그리스도를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심과 같이 죽은 엘리사의 뼈를 들어 생명의 살리는 도구로 사용하실 수 있는 분이십니다.
이 일을 통해서 주시는 교훈은 요아스 왕이 바라보고 의지해야 할 대상은 엘리사가 아니라 엘리사를 보내신 하나님이시라는 것입니다.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고 합니다.
마찬가지 믿음의 사람들은 죽어도 하나님의 말씀을 남깁니다.
엘리사 선지자는 죽었지만, 엘리사 선지자가 전한 하나님의 말씀은 남아 있습니다.
이제 이스라엘 백성들이 의지하여야 할 것은 엘리사 선지자가 아닙니다.
그들이 의지해야 할 대상은 이 모든 것을 주관하시는 하나님이십니다.
이 시대 적지 않은 성도들이 유명한 목회자를 따르려 합니다.
자신이 섬기는 교회 담임목사의 설교보다, 유명한 목사의 설교를 즐겨 듣습니다.
여러분!
성도들은 영성 있는 유명한 지도자를 의지하고, 그 입술에서 나오는 말을 따르는 것이 아니라 그 지도자가 전하는 하나님을 바라보고 의지하며,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해야 합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하나님께서 주신 말씀이 없어서 그들이 불순종의 길을 걸었던 것이 아닙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순종해야 할 하나님의 말씀은 이전에 없는 말씀을 새롭게 주시는 것이 아니라, 이미 그들에게 반복적으로 주어진 말씀입니다.
우리에게도 기록된 말씀이 이미 주어져 있습니다.
이 말씀을 마음에 새기고 따르지 않으면, 불순종의 자리에 머물게 됩니다.
오늘 내버려 둠을 당하지 않도록 하나님을 바라 보시기 바랍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을 징계하시면서도 그들을 진멸하지 않으심과 같이, 때로는 우릴 징계하시지만, 우리를 멸망에 이르게 하시지 않으십니다. 왜냐하면, 한 영혼이라도 하나님께 돌이켜 함께 하길 원하시기 때문입니다.
오늘, 하나님의 소원을 이루어 드리는 하루가 되길 원합니다.
하나님이 원하시는 대로 하나님과 함께 행하는 복된 하루를 살아가는 저와 여러분 되기를 예수님의 이름으로 축원합니다.
【하루를 시작하며 하나님의 말씀을 깨닫는 묵상 - 하시깨묵】
1. 어제 하나님께서 주신 마음으로 결심한 결단과 실천 사항을 생활 속에서 적용한 결과는 어떻게 평가 할 수 있습니까?
2. 오늘 말씀 속에서 발견한 하나님은 어떤 분이며, 말씀에서 깨달은 하나님의 뜻은 무엇입니까?
3. 어제 하루 중에 기억에 남는 사건(일) 한 가지를 기록해 보세요.
그 사건에 대한 나의 마음이 어떤 느낌인지 적어 보세요.
4. 오늘 본문에서 발견한 문제와 어제 기억에 남는 사건은 어떤 유사점을 가지고 있나요?
5. 어제 사건 중에 하나님은 나에게 어떤 행동을 원하셨을까요?
6. 오늘 본문은 나에게 어떤 교훈을 주고 있습니까?
그렇다면 내가 하여야 할 일은 무엇입니까?
7. 하나님께서 주신 마음으로 기도문 적기 & 실천 사항 적기
【추천 찬송가】
330장 어둔 밤 쉬되리니
【은혜의 찬양】
하나님의 열심
https://youtu.be/g7t8WUmuBuQ?si=JAtt90_jpCx9w-Av
【새벽예배영상】
https://youtube.com/live/ya2itP4YJ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