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나, 다에 들어갈 것은
/
/
이고, 라에는 저것들을 곱한 값을 넣으면 된다고 하는데요.
이해가 안 가서요. 부탁드리겠습니다.
------------------------------------------
다음은 집합
과 함수
에 대하여 합성함수
의 치역의 원소의 개수가 5인 함수 의 개수를 구하는 과정이다.
함수
와 함수
의 치역을 각각
와
라 하자.
이면 함수
는 일대일대응이고, 함수
도 일대일대응이므로
이다.
또한,
, 즉
인 경우만 생각하면 된다.
ⅰ)
인
의 부분집합
를 선택하는 경우의 수는 ( 가 )이다.
ⅱ) ⅰ)에서 선택한 집합
에 대하여,
의 원소 중
에 속하지 않는 원소를
라 하자.
이므로 집합
에서
를 선택하는 경우의 수는 ( 나 )이다.
ⅲ) ⅰ)에서 선택한
와 ⅱ)에서 선택한
에 대하여,
이며,
이므로
…①
①을 만족시키는 경우의 수는 집합
에서 집합
로의 일대일대응의 개수와 같으므로 ( 다 )이다.
따라서 ⅰ), ⅱ), ⅲ)에 의해 구하는 함수
의 개수는 ( 라 )이다.
--------------------------------
첫댓글 가,나,다 모두 이해가 안가시는건가요?
다에서 왜 6C5에 5C1을 곱해야하는지 이해가 안 가요. 나머지 하나가 뭘 선택하든 합성함수의 정의역의 갯수가 5개인 거에는 영향을 안 주는 거 아닌가요. 저는 다의 값이 6C5×5!이 아닌가 생각하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