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왕 王
콴 쾅 광 n<-->ng 호환
큰--->어원
크다 는 뜻이다.
거서간,마립간,칭기즈칸
간도 어원이 큰 이다.
모두 큰 의 변형된 말이다.
베트남어 한자발음
王
vương 브엉
대빵이다. 빵은 왕이지.큰왕 ㅋㅋ
ㅂ<-->ㄱ 호환
【king, ruler; royal】*
가리 카리 역시 r 발음 즉 ㄹ이 탈락하여 모두 개 皆가 된다.
아래 글이 인터넷에 있기에 가져왔다.참고하면
<대가리>
‘대가리’의 ‘가리’는 옛말에서 머리의 뜻을 지니는 말이다.
가리(頭)의 어근은 ‘갈’인데 옛말은 ‘갇’이다. 이 ‘갇’이 일본으로 가서 kasi-ra(頭)가 되었다. kasira의 어근은 kas인데 kat에서 변했다. ‘가리’의 고형 ‘갇’과 일본어 kasira의 어근의 고형 kat과는 일치한다.
몽골어에 gedeiho는 머리를 들다의 뜻인데 어근 ged이 국어 ‘갇’과 동원어라 하겠다. 몽골어에서 머리의 뜻으로 tologai가 있는데 tol과 gai가 합친 말인데 gai는 gari가 변한말이다. 몽골어에서도 gari가 머리의 뜻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대가리’의 ‘대’는 ‘다리’가 ‘다이’로 되고 줄어서 ‘대’가 된 말이다. ‘다리’의 어근은 ‘달’이고 더 옛말은 ‘닫’인 것이다. ‘달’은 옛말에 머리의 뜻을 지니는 말이다. 몽골어에 tologai가 머리의 뜻을 지니는 말인데 tol과 gai와의 합친 말로서 두말이 모두 머리의 뜻을 지니는 말인 것이다.
Gai는 gari에서 변한 말로서 ‘대가리’의 ‘가리’와 동원어가 된다. 특히 몽골어에서 daroga가 두목(頭目)을 뜻하는데 어근 ‘dar'이 머리의 뜻을 지닌다. 그러니까 대가리를 어원에서 보면 머리라고 하는 뜻을 지닌 말이 두 개 겹친 이음동의어(異音同義語)라 하겠다.
dalambi (首領이 되다) <만주어>
dalaha (머리가 되었다) <만주어>
dala (머리가 되다) <만주어>
여기서 dal이 머리의 뜻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http://www.hairhair.co.kr/azbbs/bbs/board.php?board=hair_column&page=1&state=read&bbs_code=11889
모두,개 皆라고도 표현했다.
역시 '커' 혹은 '클' 를 표현한 말이다.
베트남어 발음 giai 자이
다리->다이-->자이 (베트남어)
크르-->카리-->카이-->가이-->개 (한자발음)
r발음은 ㅎ-->ㅇ 으로 약화되어 변하기도 하고 ㄹ-->ㅇ 으로 변화하기도함.
크르-->키리-->기리-->길이
길다 도 크다 도 같은 어원에서 출발 후에 의미분화
王國英
vương quốc anh
Kingdom of England
𣋀天王
Sao Thiên Vương
Uranus
𣋀海王
Sao Hải Vương
Neptune
Community Contributions
閻王星
Diêm Vương Tinh
Pluto
𣋀閻王
sao Điêm vương
Pluto
王國丹麥
Vương quốc Đan Mạch
Kingdom of Denmark
王國西班牙
Vương Quốc Tây Ban Nha
Kingdom of Spain
첫댓글 한국인들이 영어나 베트남어를 배울때 가장 어려운 것인 B. 발음과 V 발음 구별해 듣지 못하지요.... 영어 V 발음은 듣는 사람에 따라 ㅂ으로 들리기도 하고 ㅇ발음으로 들리기도 합니다 .. 따라서 ...어떤 놈은 "브엉 " 어떤 놈은 "으엉" = 웡 발음 소리를 내지요
따라서 베트남어 "브엉 (웡)" 이나 한국어 "왕" 이나 같은 발음인 것입니다
삭제된 댓글 입니다.
베트남어로 "가리" 란 ......가=닭 ...리= 어리다 ..즉 병아리를 말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병아리 주둥이 =아가리 ...병아리 머리를 ..대가리하 하는 것 ..마치 누구 머리와 같은 것을 .."대가리"라 하는 것입니다 ..대가리가 줄여서 대갈이 되고 ..여기에 강통이 붙으니 = 대갈 +통 = 대갈통
"대" 라는 것이 와 머리가 되나 ?- 인간 뼈 중에 제일 크다 ..따라서 "대" 란 "머리"를 의미 하는 것입니다 .."아" 란 와 입이 되나 ...입벌릴 때 가장 먼저 나는 소리 "아~~ "" .. 밥먹자 "아" 벌려 해요
대+가리 악+아리 서로 다르게 분석해야하죠. 형태소가 좀 다릅니다.
대가리 = 대갈통 ..과거 조상들은 "댓통" 이라 했다 ... 아 +가리 . 악통 = 즉 입통 ...빠구리 할 때 입으로 악을 쓰는 통 ..역시 어원의 형태소는 같은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