百ㆍ日ㆍ紅
어제 저녁 한송이 꽃이 떨어지고
오늘 아침에 한송이 꽃이 피어서
서로 일백일을 바라보니
내 너를 대하니 기분좋게 한잔하리라
昨夕一花衰
今朝一花開
相看一百日
對爾好衡盃
성삼문(1418~1456)이 좋아한 백일홍 배롱나무꽃,
단종이 청령포로 귀양가고 난 뒤에 배롱나무꽃을 바라보며
술을 들면서 단종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한시도 잊은적이 없다고 했다.
성삼문은 고려 말 최영장군이 출생한 충청도 홍주 지금의 홍성군 흥북면 외가에서 태어났다.
삼문이라고 지은 이름은 성삼문 어머니가 삼문을 낳을때 하늘에서
"낳았느냐?" 세번의 소리가 들려서 삼문이라고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17세에 생원시에 합격했으니 천재적인 재능을 타고났다.
그뒤 식년문과에 급제하고 문과중시에 장원급제하면서 벼슬길에 오른다.
수양대군이 조카 단종을 귀양보내고 용상에 올랐으니 그 용상의 자리를 본래
주인에게 찾아주고자 계획한 일이 김질의 배반으로 무산되고
아버지 성승과 세동생 네아들과 서자 모두 참형을 당했다.
성삼문은 사지가 갈기갈기 찢겨지는 거열형으로 38세에 생을 마감했고
그의 일족중에 남자는 모두 죽었다.
함께 죽은 사육신중에 박팽년 후손이 살아남아 숙종때 신원이 회복되어
사육신의 제사를 지금도 모신다고 한다
세종대왕은 아들 문종이 오래 살지못한다는 생각에 금지옥엽 어린 손자
단종을 걱정하면서 집현전 엘리트 학사들에게 단종을 도우라고 부탁했는데
그들은 육신이 처참하게 망가져 죽으면서 세종대왕과의 약속을 지킨 사육신!
그이름 만고의 충신으로 천추에 이어가고 있다
성삼문은 형장으로 가면서 절명시 한수를 남긴다.
"둥둥둥 울리는 북소리가
내 목숨 재촉하는구나
머리 돌려 바라보니
서산으로 해가 지는데
황천길에는
주막집 하나 없다는데
오늘밤은
누구집에 묵어갈까 "
絶ㆍ命ㆍ詩
擊鼓催人命
回首日欲斜
黃泉無一店
今夜宿誰家
성삼문은 처형장으로 끌려갈 때 어린 딸 효옥이 수레를 따라오면서 울자,
돌아보며 말하기를 “사내자식은 다 죽을 것이고, 너는 딸이니까 살 것이다”
라며 달래고는, 집안의 종이 울면서 술을 올리자 몸을 굽혀 마신 후
다음과 같은 시를 지었다고 한다. 앞선 시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바로 그 시다.
이 몸이 죽어서 무엇이 될꼬 하니
봉래산 제일봉에 낙락장송 되었다가
백설이 만건곤할 제 독야청청하리라
죽음을 앞두고도 꺾이지 않는 절의가 듣는 이의 마음을 절로 숙연하게 한다.
이 시는 노량진에 있는 사육신 묘역의 성삼문 각비에도 적혀 있다.
굿은 비가 멈추고 잠시나마 햇볕을 마주하니 시절은
여름 한가운데 와 있네
저 꽃이 피기를 멈추면 가을이 오겠지
-옮긴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