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와 같이 영화 (덕혜옹주) 관람합니다
1. 영 화 명 : 덕혜옹주
2. 극 장 명 : 서울극장내 스넥코너 앞 (종로3가 14번출구)
3. 만남시간 : 8월4일(목) 오후2시20분
( 2시20분 매표합니다. 늦거나 불참시 연락 주세요)
4. 입장요금 : 4,000원
5. 참석방법 : 댓글로 참석표시
* 감상후 뒷풀이는 알아서
* 회원간의 소통을 위해 명찰을 달고 티켓교환합니다
* 관람 하기전에 단체촬영을 합니다
* 참석댓글 달고 연락없이 불참하면
명단공개와 휴지된 입장권 배상받습니다
6. 안 내 : 산바다 (010-8943-9394)

역사가 잊고 나라가 감췄던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녀!
고종황제(백윤식)의 외동딸로 태어나 대한제국의 사랑을 받은 덕혜옹주(손예진).
일제는 만 13세의 어린 덕혜옹주를 강제 일본 유학길에 오르게 한다.
매일같이 고국 땅을 그리워하며 살아가던 덕혜옹주 앞에 어린 시절 친구로 지냈던 장한(박해일)이 나타나고,
대한제국의 독립을 위한 비밀스러운 임무에 휘말리게 되는데…
옹주와 공주
옹주
조선시대에 옹주가 우리가 보통 알고 있는 옹주라 할 수 있는데요.
옹주는 임금의 후굴 소생의 딸에게 주는 작호입니다.
옹주는 공주와 함께 품계를 초월한 무계로 외명부의 윗자리가 되는데요.
옹주에게 장가 든 자는 종2품을 주고, 나중에는 정2품을 주었습니다.
그 외에 고려초기 현종 때 첩에게 귀비, 숙비라는 호를 주었고 정종 때 원주, 원비,
궁주라 불리던 칭호를 주었고 충선왕 떄 공주를 옹주로 개성하여 정 1품의 품계를 줍니다.
하지만 옹주의 칭호가 남용되자 1391년에 왕자의 정비와 왕의 유복, 종성자매, 조카딸,
군의 정처에 한하여 사용하게 됩니다.
공주
공주는 삼국시대이전부터 이 명칭을 사용하였는데 고대에는 고구려 왕자 호동과
비련의 주인고인 낙랑공주가 있었고 고구려 때 '바보온달'에게
시집을 간 평강공주가 있었는데, 이들은 왕의 정실이 낳은 딸을 말하며
공주와 결혼을 한 자에게는 종1품을 주었다가 정1품의 계층을 주었습니다.
옹주와 공주의차이
옹주와 공주의차이로는 공주는 왕비가 낳은 자식이고, 옹주는 후궁이 낳은 자식입니다.
따라서 왕비는 왕의 부인, 후궁은 왕의 첩이 되는데요.
이들은 서로 다른 대우를 받았는데, 옹주의 부마에게는 정2품까지 올려 주었지만
공주의 부마에게는 정1품까지 올려 주어 외명부의 최상위에 올려 놓았습니다.(퍼옴)
늦은참석글 죄송합니다 ..
참석합니다
38
아주늦은 참석 지금싸 시간이 났네요,
39
참석 합니다
40
산바다 41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