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낭만주의 피아노 음악의 마지막 거장 *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Sergei Rachmaninov (1873~1943)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
쇼팽, 리스트, 차이콥스키로 이어지는 낭만주의 피아노 음악의 마지막 시대를 장식했다.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는 1873년 러시아 오네그에서 태어났으며,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과 모스크바 음악원에서 공부했다.
다른 사람보다 유난히 큰 손을 가지고 있었던 그는 특히 피아노에 탁월한 재능을 보였고, 어려서부터 장래가 촉망되는 피아니스트로 이름을 날렸다.
피아노곡 작곡에도 흥미를 보여 17살 때부터 피아노 협주곡을 쓰기 시작했다.
1892년에는 푸시킨의 《집시들》을 바탕으로 작곡한 오페라 〈알레코(Aleko)〉를 교내 콩쿠르에 출품해 심사위원인 차이콥스키로부터 극찬을 들었다.
이 작품으로는 그는 1등의 영예와 함께 부상으로 피아노를 받는 영광을 누렸다.
초기에 주로 피아노 소품을 작곡하던 라흐마니노프는 23살 때인 1896년, 처음으로 교향곡 작곡에 도전했다.
그의 〈교향곡 제1번(Symphony No.1 in D Minor Op.13)〉은 1897년 상트페테르부르크 필하모닉 홀에서 글라주노프의 지휘로 초연되었다.
하지만 지휘를 맡은 글라주노프가 제대로 단원들을 연습시키지 않은 데다가 연주 당일 술에 취한 상태였기 때문에 초연은 참담한 실패로 끝났다.
이에 충격을 받은 라흐마니노프는 자신감을 잃고 심각한 우울증에 걸려 3년 동안 곡을 쓰지 못했다.
다행히 1900년, 치료를 맡은 심리학자 니콜라이 달 박사의 헌신적인 도움으로 우울증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1901년, 라흐마니노프는 오랜 침묵을 깨고 〈피아노 협주곡 제2번(Piano Concerto No.2 in C minor Op.18)〉을 자신의 연주로 초연했다.
결과는 대성공이었다.
이로써 그는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로서 확실한 입지를 다질 수 있었다. 피아니스트로 세계적인 명성을 떨치던 그는 1909년 멀리 미국까지 건너가 순회 연주회를 열었다.
이 무렵 〈피아노 협주곡 제3번(Piano Concerto No.3 in D minor op.30)〉을 완성해서 당대 최고의 피아니스트 블라디미르 호로비츠에게 헌정했으며, 호로비츠로부터 "이것이야말로 내가 바라던 바로 그 협주곡"이라는 찬사를 들었다.
그로부터 몇 년 후, 러시아에 붉은 혁명이 일어났다.
대지주 출신인 라흐마니노프의 가족은 재산을 몰수당해 당장 의식주를 해결할 수 없는 처지에 놓였다.
그때 마침 스웨덴 왕자가 그를 초청했다. 1917년 12월, 그는 가족과 함께 러시아를 떠나 스웨덴으로 갔다.
그리고 이듬해 11월 미국으로 건너가 1919년 말부터 4개월 동안 총 40회의 연주를 했으며, 이후 미국 땅에 정착했다.
비록 미국에 정착했지만 라흐마니노프는 죽을 때까지 러시아인으로 살았다. 러시아 비서, 러시아 요리사, 러시아 기사를 두고 러시아 정교를 굳게 믿었다.
흔히 미국은 여러 민족의 용광로라고 하지만, 라흐마니노프는 문화적으로나 정서적으로 미국 사회의 일원이 되는 것을 거부했다. 비록 몸은 러시아를 떠났지만 영혼은 그대로 러시아에 두고 온 것이다.
그 때문인지 미국에 있는 동안, 이렇다 할 작품을 쓰지 못했다.
1927년, 〈피아노 협주곡 제4번(Piano Concerto No.4 in G minor Op.40)〉을 발표했지만 그다지 좋은 평을 받지 못했다.
그의 팬들은 불같은 열정의 새로운 협주곡을 원했지만, 고향을 떠나 영혼의 힘을 잃어버린 라흐마니노프는 더 이상 그런 곡을 쓸 수 없었다.
1930년, 러시아에 숙청의 피바람이 불기 시작했다. 스탈린은 죄 없는 사람들을 수없이 살해하고, 예술가들을 탄압했다. 라흐마니노프는 〈뉴욕 타임스〉에 소련 정부를 비판하는 글을 발표했다.
이 때문에 소련 전역에서 그의 작품에 대한 연주 금지 조치가 내려졌다.
이렇게 비록 고향에서는 홀대를 받았지만, 그는 미국에서 엄청난 인기를 누렸다.
피아니스트이자 지휘자, 작곡가로 연주와 음반 녹음 등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나날을 보냈다.
1932년, 라흐마니노프는 건강을 회복하고 새로운 공기를 쐬기 위해 가족과 함께 스위스로 건너갔다.
여기서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랩소디(Rhapsody on the theme of Paganini Op.43)〉와 〈교향곡 제3번(Symphony No.3 in A minor Op.44)〉을 완성했다.
하지만 곧 제2차 세계대전이 일어나는 바람에 다시 미국으로 돌아왔다. 미국에서 그는 나치에 반대하는 운동을 위한 기금 모금 연주회에 참가했다.
1942년 초, 라흐마니노프는 흑색종이란 피부암에 걸렸다.
하지만 그럼에도 피아니스트로서의 활동을 계속했다.
그러다가 1943년 2월 17일의 연주를 마지막으로 무대를 떠났다.
그리고 그해 3월 28일, 70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라흐마니노프는 혁신적이거나 독창적인 작곡가는 아니다.
스크랴빈, 라벨, 버르토크와 같은 시대에 활동했으면서도, 그의 음악에는 20세기 초 유행처럼 번졌던 전통의 파괴 같은 혁신성은 보이지 않는다.
자신이 피아니스트였기 때문인지 그의 중요 작품은 피아노에 집중되어 있다.
라흐마니노프의 피아노 작품은 피아니스트들에게 끊임없는 힘과 열정, 속도감과 긴장감을 동시에 요구한다.
초기 작품으로는 모스크바 음악원을 졸업할 당시에 작곡한 독주곡 〈환상 소곡집〉이 있으며, 피아노 협주곡 형식의 작품으로는 네 개의 피아노 협주곡과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랩소디〉가 있다.
이 중 가장 유명한 곡은 〈피아노 협주곡 제2번〉이다.
1899년부터 1901년 사이에 작곡된 이 곡은 러시아적인 우수와 로망스를 한몸에 담고 있는 피아노 협주곡의 걸작으로 꼽힌다.
1악장은 피아노의 장중한 서주에 이어 매우 드라마틱한 제1주제가 오케스트라에 의해 제시되고, 다음에 제2주제가 피아노로 연주된다.
그리고 이 선율은 당당한 마에스토소의 발전부를 거쳐 재현부를 맞는다. 템포의 변화가 무쌍하며 카덴차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2악장은 아주 느린 템포를 가진 아름다운 악장이다.
꿈같이 자유로운 형식의 환상곡으로 오케스트라의 취급이 풍부하고 다채롭다.
3악장은 빠른 템포의 눈부시게 강렬한 악장인데, 불규칙한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오케스트라가 서주를 연주하면 피아노가 중심 주제를 제시한다.
제2주제 선율은 오보에와 비올라로 시작되어 독주 피아노가 이어받는다.
주제 선율이 몇 차례 등장하는데, 나올 때마다 악상을 고조시켜 마지막에는 거의 폭발하듯 화려하고 장대하게 펼쳐진다.
피아노 협주곡 양식의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랩소디〉는 라흐마니노프가 피아니스트로 이름을 날리고 있을 무렵인 1934년, 스위스 루체른의 한 별장에서 작곡한 것이다.
유명한 파가니니의 〈독주 바이올린을 위한 24개의 카프리스〉 중에서 제24번의 멜로디를 주제로 작곡한 변주곡 형식의 랩소디로 〈피아노 협주곡 제2번〉과 함께 라흐마니노프의 작품 중에서 가장 자주 연주된다.
피아니스트의 작품답게 피아노의 다양성과 화려함을 한껏 돋보이게 하는 걸작이다.
변주곡은 모두 24개로 이루어져 있는데, 외형적으로는 변주곡의 형식을 취하고 있으나 단순한 변주곡에서 벗어나 주제 선율을 다양한 어법으로 채색함으로써 피아노의 모든 연주 기법을 두루 망라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서정적이고 로맨틱한 멜로디부터 고도의 기술을 요구하는 복잡한 패시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어법들이 등장하는데, 특히 제18변주의 낭만적인 멜로디는 영화의 주제 음악으로 쓰일 정도로 대중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관현악 작품으로는 세 개의 교향곡과 교향시 〈죽음의 섬(The Isle of the Dead Op.29)〉, 〈교향곡 무곡(Symphonic Dance Op.45)〉 등이 있다.
이 중 〈교향곡 무곡〉은 말년인 1940년에 작곡된 것이다.
모두 3개의 악장으로 이루어진 일종의 모음곡으로, 춤곡의 형식을 빌린 연주회용 무곡이라고 할 수 있다.
1악장은 힘차고 리드미컬한 춤곡의 테마로 시작한다. 중간에 색소폰을 중심으로 한 관악기로 연주되는 러시아 민요 선율이 나오고 나중에 다시 리드미컬한 춤곡의 분위기로 돌아간다.
2악장은 3박자의 왈츠풍 리듬을 갖고 있지만, 이는 춤곡의 형식을 갖추려는 암시적인 상징에 불과하다.
그리고 3악장 렌토의 서주로 시작되는 빠른 템포의 알레그로 비바체로 이어진다. 스케르초의 성격을 지닌 눈부신 춤곡으로 밤의 음산한 분위기를 연상케 한다. 마지막에 〈진노의 날〉 테마로 클라이맥스를 이룬다.
그 밖의 작품으로는 피아노곡 〈쇼팽 주제에 의한 변주곡〉, 실내악 〈슬픔의 3중주〉, 〈첼로 소나타〉, 교향시 〈바위〉, 오페라 〈인색한 기사〉, 〈프란체스카 다 리미니〉, 가곡 〈보칼리제〉 등이 있다.
출처 : 100.daum.net/encyclopedia/view/63XX18900098
--------------------------------------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제2번]
(1악장) 00 ~ 11분 17초
(2악장) 11분 20초 ~ 23분 46초
(3악장) 23분 49초 ~
피아노 : 안나 페도로바 (Anna Fedorova)
지휘 : 마틴 펜티리브 (Martin Panteleev)
북서독일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Nordwestdeutsche Philharmonie (North West German Philharmonic)
----------------------------------------
* 라흐마니노프의 피아노협주곡 2번, <2악장>의 아름다운 주제를 가지고, <All By Myself> 라는 제목으로, 세계의 많은 유명 팝뮤지션들이 취입하여, 시대흐름을 초월하여 사랑받고 있다.
[All by myself (1975, 한글자막) - 에릭 칼멘(Eric Carmen)]
[All By Myself (Live in Boston, 2008) - 셀린 디온(Céline Dion)]
[All By Myself (Solo Otra Vez) (그리스 국립극장 실황) - 팝페라 그룹 '일 디보(Il Divo)']
[All by myself - 가사]
When I was young
내가 어렸을 때
I never needed anyone
난 그 누구도 필요하지 않았지
And making love was just for fun
누군가를 사랑하는 것은 그저 재미를 위한 것이었어
Those days are gone
그런 나날들은 이제 지나갔어
Livin' alone
혼자가 되어 살면서
I think of all the friends I've known
내가 알았었던 친구들 생각을 해
But when I dial the telephone
하지만 전화를 걸어보면
Nobody's home
아무도 집에 없어
All by myself
나 혼자만
Don't wanna be
있고 싶지 않아
All by myself
나 혼자만은
Anymore
더 이상은
Hard to be sure
확신하지 못하겠어
Sometimes I feel so insecure
가끔씩 내 마음은 너무나 불안해
And love so distant and obscure
그리고 사랑은 너무나 이해하기 힘들고 먼 곳에 있어
Remains the cure
하지만 사랑만이 날 치유해 줄 수 있어
All by myself
나혼자만
Don't wanna be
있고 싶지 않아
All by myself
나혼자만
Anymore
더 이상은
All by myself
나 홀로
Don't wanna live
살고 싶지 않아
All by myself
나 혼자만
Anymore
더 이상은
When I was young
내가 어렸을 때
I never needed anyone
난 그 누구도 필요하지 않았지
And making love was just for fun
누군가를 사랑하는 것은 그저 재미를 위한 것이었어
Those days are gone
그런 나날들은 이제 지나갔어
Livin' alone
혼자가 되어 살면서
All by myself
나홀로
Don't wanna be
있고 싶지 않아
All by myself
나 혼자만
Anymore
더 이상은
All by myself
나 홀로
Don't wanna live
살고 싶지 않아
Oh
오
Don't wanna live
살고 싶지 않아
By myself, by myself
나 홀로, 나 혼자만
Anymore
더 이상은
By myself
나 홀로
Anymore
더 이상은
Oh
오
All by myself
나 홀로
Don't wanna live
살고 싶지 않아
I never, never, never
난 절대, 절대, 절대
Needed anyone
그 누구도 필요하지 않었었는데
blog.naver.com/sang8248/221816985639
첫댓글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