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의무휴업 제외 ‘수수방관’
- 강릉시의회·상의·번영회 등… 타 지역 반발과 대조 상인 불만
홈플러스 강릉점이 의무휴업 없이 영업을 지속하며 상인들의 반발이 확산(본지 4월 30일자 14면)되고 있는 가운데 강릉시의회 등 지역 기관·단체들이 문제해결을 위한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홈플러스 강릉점은 ‘강릉시네몰’이라는 쇼핑센터로 대규모 점포등록을 해 사실상 대형마트지만 명칭이 ‘쇼핑센터’라는 이유로 의무휴업 대상에서 제외됐다.
강릉시상업경영인연합회와 강릉 중앙·동부시장번영회 등은 의무휴업에 대한 자발적 동참을 요구하는 공문을 발송하고 1인 시위에 나서는 등 영업지속에 반발하고 있다. 그러나 강릉시의회와 강릉상공회의소, 강릉시번영회 등 주요 기관·단체들은 홈플러스의 영업지속은 물론 상인들의 반발에 대해 침묵하고 있다.
이는 대형마트 의무휴업과 관련해 시의회, 상공회의소 등의 많은 기관·단체들이 적극 동참하는 전라도 완산과 전주, 울산, 제주도 등의 타지역과는 대조적이다.
그나마 강릉시가 지식경제부에 의무휴업 및 영업시간 제한 대상을 쇼핑센터 및 복합쇼핑몰까지 확대 적용해 줄 것을 요청했고, 홈플러스 강릉점에 현재의 매장부분을 대규모 점포로 추가 등록해 골목상권활성화에 동참해 줄 것을 요청한 것이 전부다.
강릉시상업경영인연합회 관계자는 “전통시장 회장이나 관계자, 상인들만 나선다면 우리의 입장을 관철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해결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며 “시의회 등이 전혀 우리들의 생존권 문제를 신경쓰지 않아 상인들을 중심으로 불만이 터져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 참조 : 강원도민일보 김우열 기자님(5.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