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전국 : 초(항우) VS 한(유방)
지휘관 : 항우 / 팽월 VS 유방 / 은왕 사마앙 / 하남왕 신양 / 서위왕 위표 / 하우영 / 왕릉
군사력 : 3만 5천 VS 60만
사상자 : 별다른 피해 없음 VS 40만 전사 / 10만명 익사 총 50만 명 사망
-----------------------------------------------------------------------------------------------
팽성 전투(彭城之戰) 또는 팽성 대회전은 초한전 기원전 203년 당시 유방과 항우가 초나라 팽성에서 벌인 전투로 항우가 유방의 60만 명의 군사를 거의 전멸시키는 괴력을 발휘했다.
배경
당시 한왕 유방은 60만에 이르는 군사와 은왕 사마왕, 하남왕 신양, 상산왕 장이, 서위왕 위표 등 각 지역의 왕들이 귀순해 오자 점차 자만심을 품기 시작하여 곧바로 초나라의 팽성을 공격하라고 대신들에게 명한다. 이때 파초대원수 한신은 "우리는 56만의 병사들을 가지고 있으나 대부분 항복해온 자들이라 기강이 서지 않고, 군열을 재정비할 시간이 필요하며, 우리들의 실질적 군대는 15만이니 항우의 군대를 우습게 볼 수 없어 아직은 때가 아닙니다."라고 진언하였다. 그러나 이 말을 듣고도 유방은 60만 대군을 이끌고 갔고 한신은 관중을 지키기로 했다.
제1차 전투(팽성 함락)
유방이 군사를 일으킬 무렵 초왕 항우는 자신의 눈에 거슬리던 제나라를 공격하고 그 잔당을 정리하던 중이었다. 유방은 그 사이에 60만 대군을 이끌고 초나라의 수도 팽성을 기습 공격한다. 팽성을 지키던 장수는 항씨가문의 장수로 하상 항씨의 족중 가문의 장수였으나 싸우기 힘들다 판단, 성에서 진귀한 재보와 항우의 부인 우희, 그리고 항씨 족중,미녀 등을 모두 이끌고 제나라로 도망쳤고 그로 인해 패왕의 팽성은 쉽게 유방에게 함락된다. 제나라를 공격하던 항우는 도망쳐 오던 자신들의 수하들을 보고 격분하여 부하 용저와 종리매에게 후방군으로 내려오기로 하고 자신은 정예군사 3만 5000명을 이끌고 팽성으로 간다.그후 팽성을 공격, 전투중에 은왕 사마앙등을 죽이고 유방의 군세를 처참히 쳐부수었으며 유방은 팽성에 숨을려 하였지만 항우의 부하였다가 유방에게 투항한 사마흔과 동예등이 또다시 유방을 배신하여 하후영과 팽성에서 나온 몇몇 군세를 이끌고 후퇴를 하였다.
군대 편성
항우가 군사를 이끌고 팽성을 진격해오자 유방은 별로 놀라지 않았다. 왜냐하면 자신의 군대는 60만 대군이고 항우의 군대는 고작 1/17 밖에 되지 않는 3만 5000명이기 때문이었다. 파초대원수 한신이 관중으로 돌아가자 유방은 서위왕 위표를 새 대원수로 삼아 군대를 편성하게 한다. 위표는 초패왕 항우에 맞서 부대를 5개로 나누었다. 1대 부대는 선발대로 하여 은왕 사마앙에게, 2대 부대는 하남왕 신양에게, 3대 부대는 하후영과 왕릉에게, 4대 부대는 한왕 유방이, 5대 부대는 자신이 맡기로 하였다.
제2차 전투
팽성에서 유방의 60만 대군과 대치한 항우는 무서운 기세로 돌진했고 뒤이어 그의 군사 3만 5000명이 뒤따랐다. 항우는 단 1합만에 선발대 대장 은왕 사마왕을 참살하고 다시 2합만에 2대 부대 대장 하남왕 신양마저 죽였다. 사마앙과 신양이 죽자 선발대와 2대 부대가 무너졌고 선발대와 2대가 전멸하자 3대와 4대마저 항우에게 뚫리고 말았다. 5대 부대를 이끌던 서위왕 위표마저 당황하다가 항우의 공격으로 중상을 입고 말았다. 유방은 전투에서 패하자 도망쳤으나 항우는 이내 유방을 발견하고 뒤쫓았다. 유방의 장수이자 천하장사로 알려진 번쾌가 나섰으나 이내 항우의 힘을 이기지 못하고 패퇴하고, 유방은 그대로 항우에게 죽을 뻔했다가 다행히 돌풍이 불어 겨우 도망친다.
결과
전투는 유방의 대패로 끝났다. 60만 대군 중 6/4인 40만 명이 전사하고 6/1인 10만 명의 군사들이 수수강을 건너려다 익사했다. 따라서 팽성 전투에서 한군은 자그마치 6/5인 50만 명에 달하는 괴멸적 타격을 입었고 유방과 10만 명의 군사들만 살아서 돌아왔다. 이날의 전투는 다른 나라에도 전해져 제나라 제왕 전광은 항우와의 전쟁을 중단했고 제나라를 비롯해 위나라 위왕 조구와 조나라 조왕 조헐이 유방을 배신하고 항우와 연합하면서 유방은 불리한 상황을 맞게 된다. 후에 대원수 자리에 다시 오른 한신은 이 제, 위, 조 3국을 평정하게 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아래 것은 다른 버전
팽성 전투(彭城之戰) 또는 팽성 대회전은 초한전 기원전 203년 당시 유방과 항우가 초나라 팽성에서 벌인 전투로 항우가 유방의 60만 명의 군사를 거의 전멸시키는 괴력을 발휘했다.
배경
당시 부하 한신의 지휘로 관중 지방의 3왕을 쓰러뜨린 한왕 유방은 각지의 9제후왕들을 불러 모아 60만에 이르는 군사를 거느리고 초나라를 치키위한 종장이 된다. 한편 항우는 제나라를 공격하다가 성양성에서 뜻밖의 수렁 때문에 고전을 하게된다.
팽성 함락
유방이 군사를 일으킬 무렵 초왕 항우는 자신의 눈에 거슬리던 제나라를 공격하고 그 잔당을 정리하던 중이었다. 유방은 그 사이에 60만 대군을 이끌고 초의 수도 팽성을 기습 공격한다. 팽성을 지키던 장수 팽월은 항복했고 다른 초나라 장수들은 성에서 진귀한 재보와 항우의 부인 우희, 그리고 항씨 족중, 미녀 등을 모두 이끌고 제나라로 도망쳤고 그로 인해 패왕의 팽성은 쉽게 유방에게 함락된다.
제나라를 공격하던 항우는 도망쳐 오던 자신의 부하들에게 격분하고 정공, 정도에서 용저와 항타를 불러 유방을 치기로 마음먹었다.
군대 편성
당시 항우는 단지 강동에서 징집한 3만 강동 자제의 군사가 전부였지만 유방은 60만 대군이었는데 그때는 항우가 천리길을 달리고 조용히 와서 60만군대는 술에 흥청거려 제대로 편성못하고 호릉의 번쾌군사가 궤멸당하자 대장군 한신이 편성한다
이외에도 호릉에서는 번쾌가 3만의 군대를, 팽성 외성인 소성에서는 조참, 관영, 위표가 10만 군사를 이끌고 가지키고 있었고 북쪽에 군사 10만을 풀어놓고 동쪽에 약탈하러간 군사가 10만이 크게 넘고 팽성 수비 병력은 10만을 약간 넘어섰다.
전투 과정
먼저 항우는 팽성 근처 호릉에서 번쾌 휘하의 군사 3만 명을 전멸시키고 소성의 군사 10만 명도 괴멸시켜 살아남은 군사들은 팽성으로 도망치고 팽성 북쪽 군사들도 성안에 들어갔다.
하지만 이미 유방에게 항복해있던 옛 항우의 부하 사마흔과 동예의 배신으로 팽성은 함락되고 이에 유방은 마지막 승부로 제후군을 모두 불러 결전을 치르나 항우의 괴력 앞에 사마앙과 신양이 전사하고 위표도 부상을 입는다. 항우는 동쪽의 제후군 10만을 사수가에 도륙해 시체가많아 강이 흐르지 않을 지경이었다고한다.
이에 한신은 영벽으로 가서 패잔병 25만을 모아 진지를 구축하지만 항우의 돌진으로 수수가에서 또 다시 10만 명이 죽어 여기서도 강이흐르지 않을 지경 이었다. 또 한신은 살아남은 군사로 뒤에 배수를 등지고 죽기살기로 싸워 살아남아 배를 구해도망친다. 이것은 뒷날 조나라를 정벌하던 중 배수진이라는 형태로만들어져 한신은 병가의 명성을 일세에 떨친다.
결과
이 전투의 패배로 유방은 일시적인 위기에 몰리게 되어 동맹을 약속한 제왕 전광, 조왕 헐, 서위왕 위표 등도 유방에게 등을 돌리게 되고 후에 한신에 의해 위기는 타개된다.
첫댓글 자신을 배신한 나라들을 다시 배신해서 자기 편으로 끌어들이는 항우의 미친 투신 포스! 조낸 감동적이야 흑흑 ㅠㅠ
팽성대전은 그야말로 탈탈 털리죠.
역으로 항우도 해하에서 탈탈 털렸으니 쌤쌤이
그런데 애초에 광무산 전투 전력에서 이미
[항우 :10만 VS 한신 : 30만]
벼...병력의 열세로 졌다능 뿌뿌잉! >_<
10만명 익사(....)
사실 저전투가 없었으면 유방이 오만해서 결국 한나라가 제대로 돌아갓을런지 -ㅂ-;
근데 저런 항우을 대체 뭔 수로 이겼다요... 그것도 끝판에 압도적으로...
패공의 운빨을 보면 당대 사람들 입에서 "정말루 赤帝의 아들 아녀??"라는 말이 나올만도 한 듯;
항우 부하였던 유럭한 무장들이 모두 유방에게 붙고 모사진들도 항우 제 손으로 쫓아내고 항우가 점령한 곳곳에서 항우에게 반기를들고
한편으로 팽월이 계속 귀찮게 해서 항우가 친정을 가면 팽월은 슬슬 꽁무니를 빼고 다시 유방을 쫓아가면 팽월이 다시 어슬렁어슬렁 야금야금 괴롭히고 이러면서 지연전을 하는 사이에
한신은 북중국을 평정해서 항우를 포위해서 사방에서 공격하니 아무리 항우라도 당해낼 재간이 없지요.
누가 뭐래도 항우의 몸뚱아리도 하나니까요. ㅎㅎ
일단 항우가 전술적으로는 무적이지만, 결국 전략적으로는 한군에게 완전히 끌려다닌 꼴이죠. 이 팽성 전투에서 유방을 크게 깨뜨린 것은 좋았는데, 문제는 그 후 한군의 전략에 서서히 말려들어 형양과 성고 사이에서 유방을 죽이느니 마느니 하며 힘 빼는 동안 한신은 화북을 평정하여 한군의 세력을 규합하고, 인재 활용/대접 능력이 부족한 항우의 약점을 이용한 유방의 뒷공작으로 팽월이나 경포 같은 항우 휘하 인물들도 모두 한군으로 전향해버리고, 이러면서 항우가 담당해야 할 전선이 너무 늘어나서 약해지는 동안 한군은 압도적인 세력을 모아서 밀어버리는 거죠.
이런 한의 전략이 성공한 이유는 여러 가지인데요.
1. 봉건제로 회귀한 항우의 석연찮은 분봉 기준.
진을 멸하고 진이 실시한 중앙집권적 군현제 대신 옛 봉건제로의 회귀를 선언한 항우는 그러나 옛날의 주공처럼 공평하고 현명한 정치가가 못 되었습니다. 옛 칠국의 후예들이나 자기 부하들에게 봉작을 하는 것 까지는 좋은데 그 기준이 들쑥날쑥이라서 봉작을 받지 못하거나 공에 비해 충분한 봉작을 주지 않은 부하들의 불만을 사게 됩니다. 제나라의 전영과 앞서 말한 팽월 역시 이래서 항우에게 이반한 케이스고, 항우를 무진장 괴롭혔죠.
2. 불안정한 근거지.
항우가 도읍으로 삼은 팽성은 삼국지의 그 유명한 서주 지역인데, 이 지역은 사방이 탁 트인 평야라서 방어에 아주 적합하지 못합니다 -_-; 방어에 좋지 않다보니 팽월을 필두로 한 게릴라 전술에 항우의 근거지들은 맥없이 유린당할 수밖에 없던 것이고요. 그에 비해 유방의 근거지인 관중은 이미 진나라가 그 이득을 톡톡히 보았던 강력한 방어력을 가지고 있는 지역이라서, 유방은 아무리 항우에게 형편없이 깨져도 안전한 배후지에서 지속적인 보급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물론 이렇게 후방에서 내정/보급을 담당한 소하가 먼치킨이기도 했기에 가능했지만)
항우는 결국 단기간에 유방을 때려잡아 끝장을 보고자 해서 형양과 성고에서 그 생고생을 했지만, 유방은 아무리 패해도 살아남기만 하면 튼튼한 배후(+소하의 먼치킨적 능력)에서 계속 보급을 받을 수 있었고요...항우가 아무리 죽도록 패도 유방의 목적은 죽지만 않고 한신이 화북을 평정할 때까지 항우의 바짓가랑이만 잡고 있으면 되는 거였고...방어가 약한 근거지를 신나게 털어대는 팽월을 좌시할 수 없던 항우는 결국 유방을 잡으랴 팽월 잡으랴 동분서주하는 동안 그대로 한군의 함정카드에 걸려든 겁니다. 이래서는 아무리 항우가 용맹해도 사태를 타개할 수가 없죠.
+그리고 절대로 항우와 정면승부를 하지 않습니다=장수를 잡으려면 말을 먼저 쏴라
2천년 후 유럽에서도 비슷한 꼴이 납니다. 나폴레옹 전쟁. 일단 외교관계 개판. 온갖 전투에서 승리를 거둔 프랑스도 계속되는 전쟁에 점점 힘이 빠지고. 1814년 라이프치히 전투에서는 프랑스군이 19만명을 긁어모았으나 연합군 36만에 포위공격 당하고 나폴레옹은 엘바로. 나폴레옹과 정면승부 안한것도 똑같네요.
잘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