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페 개설 19주년 기념 특별 연재→TV에 대해 올바로 알자! 3부>8K TV에 대해 올바로 알자→③8K TV, 어떻게 가야하나? 1.백라이트 발광 중심→자발광 중심(LCD TV→OLED/QD TV) 2.화질 중심→대화면 중심(75"내외→120"내외) 3.실감 8K 영상을 느끼기 위한 적정 8K TV는 왜 120"내외 여야 하는가? 4.120"내외 8K TV는 대중화 될 수 있을까? (120"내외 8K TV 대중화 방안) 제목 : 8K TV, 어떻게 가야하나? 1.백라이트 발광 중심→자발광 중심(LCD TV→OLED/QD TV) LCD TV와 OLED TV만 존재하던 TV시장이, 삼성이 9~10월에 75"/88"/93"/110" 가정용 Micro LED TV가 출시되면, 본격적인 Micro LED TV 시대가 열릴 것으로 보이고, 2021년에는 삼성이 QD디스플레이를 적용(QD-TV)한 QD-OLED TV 내지는 QNED TV까지 등장할 것으로 보여, TV시장이 백라이트(LCD) TV 중심에서 자발광(OLED/QD) TV 중심으로 그 중임이 이동할 것으로 보이지만, 상호간 장단점이 있어, 자발광TV로의 전환엔 많은 변수가 예상 된다.
화질을 중시하던 TV선택 기준이, 4K-8K TV로 진화를 하면서, 화질은 기본이 되어, 이젠 그 선택 기준이 75"~ 대화면으로 이동을 하고 있다. 특히 초 고가이던 대화면 TV 가격이 많이 저렴해 지면서, 대화면으로의 전환은 더욱 빠르게 진행이 되고 있다.
HDTV는 30"~50", 4K TV는 55"~86" 정도에서 주로 상용화가 되었다(아래 도표). 이를 PPI로 수치로 보면 50~75ppi 정도다. 그럼 8K TV(50~75ppi)는 120"~180" 정도가 되어야 하는데, 현재 상용화 되고 있는 8K TV는 65"~85"로 4K TV와 같다. 컬러비트나 프레임도 4K TV와 같다. 해상도만 달라졌을 뿐이다.
하지만, 120"내외의 초대형 TV라면, 초 고가라는 가격도 문제고, 세트로 된 90"이상의 TV는, 운반(이동) 설치부터가 쉽지 않다. 어디 이뿐인가? 많은 분들이 120"내외의 TV를 거실에 들여 놓는 것부터 부담스러워 한다. 그리고 상당수의 가정에선 120" TV 자체를 설치할 환경이 되지 못한다. 해서 120"내외의 TV는 비현실적이라는 지적을 한다. 그렇지만, 100"미만의 8K TV가, 8K TV로서의 가치가 크지 않다는 점을 감안해 본다면, 8K TV에 대한 의식전환은 필요해 보인다. 즉, 120"내외의 8K TV가 천만원 안쪽에 구입이 가능하고, 운반(이동) 설치에도 문제가 없고, 설치할 환경만 된다면, 120"내외의 8K TV는 충분히 대중화 될 수 있다고 본다. 그 대중화 방법은 2가지 정도가 있을 것이다. 첫번째는 LCD나 OLED 패널을 베젤 없이 60인치(4K) 크기의 모듈로 만들어, 집안에서 조합(2x2)해서 120인치 8K TV를 완성하는 방법이 있을 것이고, 두 번째로는 삼성이 2019년에 상용화한 Micro LED TV처럼, 모듈을 조합해서 초대형(120"~) TV를 만드는 방법이 있을 것이다. < 120"내외 8K TV 대중화 방안 > ▶4K LCD/OLED모듈x4대로 구성한 초대형(120"내외) 8K TV LCD/OLED모듈 4대를 조합(2x2)하려면, LCD나 OLED 패널을 베젤 없이 만들어야 하는데, 베젤 없는 LCD나 OLED는 아직 없다. 하지만, 패널 제조사들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해서, 노력만 한다면, 기술적으로 생산은 가능할 것으로 보이지만, 그럴 경우, 90인치 이내의 세트TV 판매가 지장을 받을 수 있어, TV제조사들이 참여할지는 미지수이다. 하지만, 삼성-LG가 50"~65" 4K LCD패널에 대한 생산은 넘쳐나 수익성 악화로 '탈 LCD'로 가고 있고, LG 또한 중국 광저우 공장 가동으로 55"/65" 4K OLED 패널에 대한 수요가 넘쳐나고 있다. 해서 삼성-LG가 이들 4K LCD/OLED 패널에 대한 수요를, 베젤 없이 모듈로 만들어, 수익을 극대화 해나간다면, 삼성-LG도 부정적으로만 볼 필요는 없다고 본다. LG는 LCD(사이니지)로 0.44mm베젤 실현
0mm 베젤 50"~85" LCD/OLED모듈(가상) 멀티비젼 전용 벽걸이 브라켓 50"~85" 모듈 4대 거치 멀티비젼 전용 스탠드 브라켓 50"~85" 모듈 4대 거치 ▶60"/75" 4K Micro LED TV 세트로 구성한 초대형(120"~) 8K Micro LED TV 위에서 언급한 "4K LCD/OLED모듈x4대로 구성한 초대형(120"내외) 8K TV" 구성방안은, TV제조사들이, 세트TV 판매 영향을 우려하여,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해서 제일 현실적인 방법은 이미 모듈로 Micro LED 디스플레이가 나오고 있는 것을 좀 더 현실성 있게 상용화(100"~)하면 될 것으로 보인다. 이 발언이 2~3년 안에 현실화만 된다면, 우리는 120"내외의 8K Micro TV를 기대해도 되지 않을까 한다. 즉, 75" 4K Micro LED TV의 가격이 2~3년 안에 300만~400만원 수준이 된다면, 75" 4K Micro LED TV 4대를 결함해서, 150" 8K Micro LED TV를 1,200~1,600만원(~1,500만원 이내)에 꾸밀 수 있기 때문이다. 만일 150"가 크다면, 2~3년 안에 60" 4K Micro LED TV도 나올 수 있기 때문에, 250만원 정도에 가능하다면, 우리는 120" 8K Micro LED TV를 천만원 안쪽에 꾸밀 수 있다. 그러면 Micro LED TV는, 2~3년 안에 100"미만은 세트로 가고, 100"이상은 모듈 조합으로 간간다면, Micro LED TV는 프리미엄 8K TV시장을 모두 주도할 수 있을 것이다. |
☞2~3년 후, 120" 8K Micro LED TV 사양(가상) | ||
패널 | 유 형 | Micro LED |
화소 수 | 7680x4320(16:9) | |
화소 간 간격 | 0.345mm / 73.63PPI | |
사용모듈 | 1920x1080(29.92") 모듈 16개(4x4) | |
사이즈 | 120"(119.68"=264.95cm x 149.03cm) | |
컬러 비트 | 12bit | |
주사율 | 120Hz | |
성능 | 컬러 표준 | BT.2020(~100%) |
영상 압축 코덱 | VVC(H.266)-방송 / AV1-스트리밍 | |
HDMI 2.1 DSC | ~130Gbps | |
음 향 (사운드 바 내장) | 서라운드(7.1.4ch) | |
인터넷(IP) 8K 방송 (8K 방송 수신기) | *5G(20Gbps) *Wi-Fi 7(30Gbps) *10Giga LAN | |
가 격 | ? | |
※2560x1080(37.735") 모듈 4개(1x4)를 추가하면, 영화 감상용(21:9) 10K Micro LED 디스플레이로 변환 가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