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족문제연구소 2016년 정기총회 보고서
1991~2016
민족문제연구소
2016년 정기총회 보고서
개회 선언
민족 의례
개회사
격려사
운영위원장 인사
2015년도 사업 보고
2015년도 업무감사 보고
2015년도 회계감사 보고
2015년도 사업평가와 결산 승인
2016년도 사업계획 보고
2016년도 사업계획 승인
2016년도 사업예산 보고
2016년도 사업예산 승인
축하 공연
임원 인준
운영위원 임명장 수여
공로패 수여
모범회원 표창장 수여
퇴임 이사·운영위원 공로패 수여
기타 토의
폐회 선언
※ 공지사항 안내
※ 기념촬영
식순
1. 2015년 사업보고
1.1 부서별 사업보고 ·6
1.2 특별기구 사업보고 ·23
1.3 연대기구 사업보고 ·27
2. 감사보고
2.1 업무감사보고 ·33
2.2 회계감사보고 ·36
2.3 2015년 재무상태표 ·37
2.4 2015년 운영성과표 ·38
3. 2016년 사업계획
3.1 사업방향 ·42
3.2 부서별 사업계획 ·43
3.3 특별기구 사업계획 ·50
3.4 연대기구 사업계획 ·54
3.5 2016년 예산안 ·57
4. 활동일지·58
5. 연구소 조직구성 ·64
목차
5
2015년 사업보고
6 민족문제연구소 2016년 정기총회
연구 편찬
• 친일문제연구총서 편찬사업
사업명 기 간 내 용
일제식민통치
기구사전Ⅰ
[통감부·
조선총독부]
2013~
2015
▪ 개요 : 일제 통치기구 중 통감부・조선총독부 행정관서를 분석·정리한 학술사전
- 구성 : 총론, 통감부, 조선총독부, 부록, 색인
- 항목수 : 통감부 26개(본부 9, 소속관서 17), 총독부 216개(본부 25, 소속관서 56,
지방관서 4, 위원회 131), 총 242항목
- 서술내용 : 기구의 성격·연혁·기능·변화
▪ 기타사항
- 상임 연구진 중심으로 사업 추진
- 향후 군·관변기구 등을 다룬 식민통치기구사전 ‘Ⅱ’ 편찬 예정
재일조선인
단체사전
2012~
2016
▪ 개요 : 일제강점기 일본 내 조선인단체들을 분석·정리한 학술사전
▪ 내용
- 구성 : 총론, 지역별 단체, 부록, 색인
- 항목수 : 도쿄지역 164개, 오사카지역 211개, 규수지역 86개, 기타지역 141개, 총
602항목
- 서술내용 : 일본 내 조선인단체의 기능·역할·특징
▪ 기타 사항
- 일본 연구자 중심으로 집필(국내 10명, 일본 32명)
- 일본어판 발간 직후 한국어판 번역 출간, 2016년 12월 발간 목표
- 재일조선인단체사전 편찬사업은 한일 양국의 연구자들이 참여하고 있어 원고 수합, 원고 수
정, 교정·교열, 번역 등에 상당한 시일이 소요되어 발간 시기를 2016년 말로 연기
• DB구축 및 친일인명사전 검수
사업명 기 간 내 용
근현대 인물정보
데이터베이스
(DB)
구축 및 검수
2015
- 민족문제연구소 역사정보DB시스템 구축 계획 수립
- 연구소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통합 DB 방안 마련
- 장기적인 DB구축 기획(예산·인력 충원 등)
- 친일 및 항일운동을 아우르는 근현대사 관련 자료의 광범위한 조사·수집
- 국가 기관 구축DB 활용 방안 마련
- 현재(2015.12) 구축된 230여 만 건의 DB에 대한 정비
친일인명사전
검수 2015
- 개정증보판 및 보유편 발간을 위한 검수작업 진행
- 누락 정보 보완, 사료 대조
- 주요 자료 조사·검색 (일본내각)관보, (일본)외무성보 등
7
• 기자간담회 ‘김용주, 과연 애국자였나?’
일시 내 용
2015.9.17
연구소 5층
역사자료관
▪ 개요 :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의 선친 김용주의 일제시기 행적 왜곡 미화에 대한 연구소의 입장 표
명 및 공개검증 기자간담회
▪ 배경 :
- 김용주의 친일행적을 은폐하고 왜곡 미화하는 집중적인 언론보도. 광복 70돌에 맞춰 김용주를 애
국자로 포장한 평전 강을 건너는 산 출간
- 대대적인 기획보도·광고를 동원한 선전 공세
- 김무성, 한국사교과서 국정화에 앞장서며 한국사학계 전체를 좌경으로 매도. ‘근현대역사교실’을
매개로 교학사 교과서를 비호하며 극우적 사관 전파
- 역사학계, 독립운동계, 언론계, 회원들의 진상규명 요구
- 친일문제전문연구기관으로서 입장 표명 필요
- 기자간담회를 통해 김용주의 친일행위와 왜곡·미화된 행적에 대한 명백한 근거 제시
- 기자간담회 내용이 언론에 크게 보도됨으로써 그동안의 ‘김용주 애국자’ 논란 일단락
• 항일음악 관련 자료집 발간
사업명 기 간 내 용
항일음악
350곡집
(가제)
2015.6
∼2016.6
- 개항기∼일제시기 항일음악과 친일음악 집대성. 1차로 항일음악 자료집 편찬 추진
- 엄선한 항일음악 350여 곡 수록
- 한국음악연구소 소장 노동은 교수 원고 집필 전담
- 서술내용 : 악보와 가사(현대문·원문), 간략 해설, 출전 등
- 2015년 6월 초고 완료 후 현재까지 악보·가사·해설·출전 등 전면 검증 및 필자 재검토
작업 중
- 항일음악과 관련해 악보만 수록한 자료집 또는 가사와 해설만 수록한 형태의 ‘시가(詩歌)자
료집’이 발간되기는 했지만, 항일음악 350곡집은 개항기부터 일제시기까지 대표적 ‘항일음
악’을 망라해 전곡의 악보와 원문가사, 해설, 출전을 밝힌 ‘최초의 항일음악 자료집’
8 민족문제연구소 2016년 정기총회
• 프로젝트
사업명 기 간 내 용
화성지역
독립운동
관련
역사콘텐츠
개발
학술용역
(3차년도)
2015.7
~2016.3
- 1∼2차년도의 자료 조사·수집 사업에 이은 연구사업 수행
- 독립운동 및 사회·경제적 배경 규명을 위한 인물조사, 유허지·‘만세길’ 조사 및 정비
안 마련, 전시 유물 DB구축, 심화구술 및 자료수집, 학술포럼 개최 등을 통해 근현대
화성지역의 역사성과 정체성 규명
- 3차년도 사업 진행 중(2016.3.17. 사업 완료)
① 학술포럼 “화성지역 독립운동 관련 역사콘텐츠개발의 현황과 과제”를 주제로 진
행(2015.12.4, 화성시향토박물관 대강당. 학술용역 연구원 5명, 외부 3명 발표
및 토론, 시민패널 등 참여)
② 1∼2차년도 사업의 성과물 발간. 역주 3·1운동 재판기록-송산·서신면 일대, 장
안·우정면 일대(화성시 독립운동 자료총서 1, 2015.12)
- 2차년도(2014.4∼2015.2) 사업 완료(2015.2.16)
① 최종보고서 5권(보고서, 수집자료 목록, 마을기초조사, 유허지 및 ‘만세길’ 기초
조사, 심화구술, 해제), 총 2500면 제출
② 수집 자료 268권, 7,904건, 12만 8800면 및 , 심화구술 8명 40시간 분량 녹취·
해제 제출
③ 화성 출신 독립운동가 발굴 및 3명 훈장 추서
- 2015년 3·1절 기념 포상 1명(애국장), 광복절 기념 포상 2명(애국장, 대통령표창)
원병상
관련 자료집
2015.6
∼12
- 신흥무관학교기념사업회 교육사업의 일환
- 원병상(元秉常, 1895∼1975. 1946.5월 元義常으로 개명) 선생이 남긴 필사본 회
고록 입력작업 및 관련 수기 두 편의 대조·해제 작업
- 국한문 혼용 필사본이지만 대부분 한자이고 체계가 미비. 이를 원문과 현대문으로 다
듬고, 여기에 선생이 생전에 발표한 두 편의 ‘신흥무관학교 관련 수기’를 비교해 서로
다른 내용을 각주로 설명한 것을 원병상 관련 자료집으로 묶어 제출
- 필사본 회고록은 세상에 알려지지 않다가 원본은 유실되고 복사본만 유족이 보관,
손자 원건희 씨가 연구소 기증(민족사랑 2014년 4월호, 22쪽 참조)
- 원병상 : 강원도 강릉 출생, 1913∼1916년 신흥무관학교 입학·졸업, 대사탄 소학교 교
사, 신흥교우단(1913.5 조직) 제3대 총무부장, 고산자 대두자 ‘신흥무관학교’ 본교 교
관, 해방 후 신흥대학(1948.가을 개교) 근무, 한국군 장교 임관(1949.봄)
KBS
해방 70주년
특별기획
2015.4
∼10
- KBS ‘시사기획 창’ <해방 전후 훈장·포장과 친일> 공동기획
- 일제시기 협력행위자로 해방 이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훈장·포장을 받은 인물들을
분석하여 한국사회 지배층의 성격을 규명
- ‘시사기획 창’이 입수한 해방 이후 서훈자 관련 72만여 건의 자료를 토대로 연구소의
DB자료를 활용해 2부작 ‘간첩과 훈장’ ‘친일과 훈장’의 제작 기초자료 제공
① 해방 이후 훈·포장자+친일인명사전 수록자
② 해방 이후 훈·포장자+연구소DB = 독립유공자 ‘흠결’ 및 일제시기 훈·포장자
③ 반민특위 조사대상자, 역대 독립유공자 포상 관련 서훈제도 및 심의의 문제점 등
④ 반민주행위자
- 해방 70주년을 맞이해 8월부터 연속 2회 방영 예정이었으나 제작한지 8개월만인
2016년 2월 1부만 대폭 수정해 방영, ‘친일과 훈장’편은 사실상 폐기
9
뉴스타파
해방 70주년
특별기획
2015.6
∼8
- 한국탐사저널리즘센터 뉴스타파와 공동기획
- 매년 3차례(3·1절, 광복절, 순국선열의 날) 이뤄지고 있는 독립유공자 서훈 포상과 관
련해 심사결과의 적절성, 전문기관의 검증절차 생략, 역대 서훈 포상자의 행적을 수
록한 독립유공자 공훈록의 객관성·신뢰성의 문제, 최근 진행된 독립유공자 서훈자
의 객관성, 검증 미비 등을 총체적으로 조명
① 특별기획 「친일과 망각」 4부작 방영 : ‘1부 친일후손 1177’(8.6), ‘2부 뿌리 깊은
친일’(8.10), ‘3부 부의 대물림’(8.12), ‘4부 나는 고백 한다’(8.14) ※ 제9회 임종
국상 언론부문 수상(2015.11.11)
② 특별기획 「목격자들 : 누가 애국지사를 욕보이는가?(8.24) 방영 : 가짜 독립유공
자 등 서훈 제도의 문제점 분석
- ‘화성지역 독립운동 관련 역사콘텐
츠개발 학술용역’은 2013년 사업에
이어 2014년의 2차 사업을 완료하
고, 2015년 7월부터 3차년도 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사업성과가 매우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음
- 원병상 관련 자료집은 단일 사업
으로 끝났으나 관련 연구에서 활용
되지 않았다는 희귀성이 있어 향후
기획여부에 따라 정식 출간 가능성
이 있음
- 해방 70주년 특별기획으로 연구소와 공동기획으로 진행된 두 가지 사업은 시의성과 질적 수
준 양자를 모두 충족하였으나, KBS의 경우 방송국 내외의 압력으로 방영되지 못하는 결과
로 이어졌음. 뉴스타파의 특별기획 두 가지는 기획과 내용이 뛰어났고, 특히 「친일과 망각」
4부작은 상당한 반향을 일으켰음
• 인물정보조회
- 2006∼2015년 총 98건(의뢰처 기준) : 2006∼2014년 93건, 2015년 5건
연도 의뢰처 건
2006
제1군단사령부, 화성시청, 의정부시청, 한국철도시설공단, 춘천시청, 서울지방국토관리청, 포천시청, 북
부지방산림청, 대구광역시, 수원지방검찰청, 남양주시청, 경기도청 제2청사, 가평군청, 강원도 홍천군
두촌면사무소, 여주종합법률사무소, 제일합동법률사무소, 한국도로공사, 경상북도청, 여주군청, 파주시
청, 기타 개인
38
10 민족문제연구소 2016년 정기총회
2007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거창군협의회, 경산시청, 여주군청, 국가보훈처, 의정부시청, 가평군청, 남양주
시청, 기타 8
2008 유관순상위원회, 광양시청, 대한광복단기념사업회, 서귀포시, 울산북구문화원, 문화체육관광부, 마산시
청, 기타 7
2009 유관순상위원회, 익산시청, 파주시청, 여주군청, 구리시청, 포천시청, 광양시청, 기타 11
2010 영주시청, 행정안전부, 포천시청, 문화체육관광부, 국가보훈처,故박순천기념관건립발기위원회, 기타 9
2011 연천군청, 행정안전부, 국가보훈처, 유관순상위원회, 경기도청, 기타 7
2012 행정안전부, 유관순상위원회 4
2013 유관순상위원회, 서울중앙지방법원, 행정안전부, 거제시청, 의정부지방법원 5
2014 유관순상위원회, 서울중앙지방법원, 군포시청, 속초시청 4
일 자 의뢰처 의뢰 내용 및 결과
2015.2.17 유관순상위원회 2015년도 ‘유관순賞’ 수상 후보자 친일(부일) 행적
2015.3.10 이달의 스승 선정위원회·교육부 최규동 등 12명 행적 중 다수 ‘흠결’ 확인
2015.5.20 이달의 스승 선정위원회 김기열(1922∼2011) 김정호(1944∼) 이현수(1949∼) 3명, 관련 사업
의 공정성 등 문제로 조회 거부
2015.8.21 여성가족부 여가부 ‘어린이홈페이지’ 수록 역사인물 22명(한국최초의 여성 17명, 한
국을 빛낸 위인 5명) 관련 행적
• 교육
1. 역사기행
답사명 기간 성 과
해방70년 특별기획 답사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
식민지 근대의 실상을 찾아서>
2015.4.25
~26
- 첫째날 : 수출인가, 수탈인가(군산)
시마타니야소야 창고(발산초등)-구마모토별장(군산간호대학)-군
산근대역사벨트(구 조선은행 / 군산내항 / 부잔교 / 장미공연장(조선
미곡창고주식회사의 쌀보관 창고) / 장미갤러리 / 구 미즈상사 / 구
일본 제 18은행 / 군산근대역사박물관 / 구 군산세관)-히로쓰 가옥
및 근처 일본식 가옥-허수열 교수 특별강좌
- 둘째날 : 아리랑, 한과 눈물의 대지(김제)
금산사-낙양취입수문-만석보-구마모토 농장 창고-벽골제와 수문
들-하시모토 농장관리사무소-죽산보 / 해창갑문-능제
- 32명(회원 19명) 참가
교육홍보실
11
일제강점기 마지막 의열투쟁
‘부민관 폭파의거’ 70주년
특별기획 답사
<‘부민관’과 태평로-협력과
저항의 현장을 찾아서>
2015.7.25
- 코스 : 칭경기념비전(도로원표) -황토현 신교터→ 명월관 터(동아
일보사옥)-이왕직미술품제작소 터-조선일보사(서학재) -덕안궁(
경선궁, 엄귀비 사당) 구역-부민관(옛 국회의사당, 민의원)-체신사
업회관(옛 체신부 청사)-성공회성당-수학원 터(양이재)-경성방송
국 터-서학 터-경성소방서 터-경성세무감독국(국회 제3별관)-경
성일보사 터(프레스센터)-경성법정학교(경성부청 후면)-경성부청
(군기시 유적)
- 25명(회원 19명) 참가
- 해방70년 특별기획으로 진행된 군산·김제 답사는 연구소 지역답사의 가능성 확인. 허수열 교
수의 특강 및 현장설명으로 ‘식민지 근대화론’의 허구를 파헤쳤다는 평가. 참가자들의 높은
참여도와 만족도. 향후 정례화 여부 검토 필요. 지역답사에 대한 담당자들의 경험축적 필요
- 연구소만의 전문적이고 차별화된 다양한 콘텐츠 개발 필요
2. 강좌 ․ 강연
- 메르스와 국정교과서 반대투쟁으로 인한 인력부족으로 자체 강좌를 개설하지 못함
- 2015년 10월 이후 교과서 국정화와 관련해 시민단체의 강연 요청 급증
- 향후 연구실·편찬실과 협력하여 특성화된 대중강좌 개설 필요
• 홍보·출판
1. 민족사랑
- 매달 10일 전후 발간 정착화
- 2015년 7월호(통권 226호)부터 인쇄방식 변경(윤전인쇄), 비용은 줄고 제작기간은 약 1일 단
축, 절감된 인쇄비를 용지사양을 고급화하는 데 충당
- ‘사건과 인물로 보는 우리 근현대사’, ‘식민지 비망록’, ‘연구소 소사’ 꼭지 신설
- 소식지 성격에서 역사 교양 지식을 강화함. 연재물의 경우 장기적으로는 단행본 출간 가능
성도 검토
- 전체적으로 일관적이고 짜임새 있는 기획 미흡. ‘사건과 인물’, ‘인터뷰’ 꼭지 등 필자 보완
꼭지명 제목 ※ ( )안은 게재 월
사건과 인물로
보는
우리 근현대사
최초의 비밀결사 신민회, 입헌공화국을 꿈꾸다(2) / 순사와 숙군(3~4) / 이재필, 민족해방에 바친
농민운동가의 짧은 삶(5) / 청일전쟁과 인간 ‘집단광기 : 휴머니즘’(6) / 전쟁에 끌려간 사람들-러
일전쟁과 한국인 포로처리(7) / 두개의 8월(8) / 관동대진재 조선인학살사건 일본인 아이들은 어
떻게 바라보았는가(9) / 1946년 10월사건과 사람들(10) / 모스크바3상회의와 좌우대립의 격화(12)
12 민족문제연구소 2016년 정기총회
식민지 비망록
위문대의 시초는 일본군 위안용(5) / 독점기업 경성전기의 마지못한 선물, 경성부민관(6) / 침략전
쟁 위해 4년새 4.5배의 살인적인 담뱃값 인상(7) / 망국의 굴욕, ‘천황’에 바친 헌상품(8) / 100년
전 경복궁에서는 무슨 일이 벌어졌을까(9) / 조선문화공로상 무늬만 문화, 실상은 전쟁 독려(10) /
기억해야 할 을사조약의 배후공간, 대관정(11) / 소방출초식으로 시작되던 일제 치하의 새해풍경(12)
미리보는
식민지
역사박물관
전시자료
일제의 대륙침략과 조선인 강제동원의 연결창구, 관부연락선(1) / 사진첩으로 보는 일제강점기 금강산
수난사(2) / 일제가 인천항부두에 세운 대륙침략의 ‘거룩한 자취’ 기념비(3) / 깜짝 놀랄 식목일의 기
원(4) / ‘조선의 수리왕’ 후지이 간타로와 불이농장(5) / 호랑이보다 더 무서웠던 식민지 순사들(6)
/ 대일본제국 훈장과 기장1(7) / 물망국치(8) / 대일본제국 훈장과 기장2(9) / 제국 홍보의 소품, 시
정기념엽서 시리즈(10) / 애국부인회(11) / 사진첩으로 보는 간도와 만주국 실경1(12)
2. 뉴스레터·SNS
- 인터넷 공간의 홍보활동 강화
- 이슈 중심의 선택과 집중
- 뉴스레터 수신자 13,000명, 트위터 팔로워 70,000명, 페이스북 친구 5,000명(제한)
- 뉴스레터 정례화, 디자인·구성 등 보완 필요
3. 출판
도서명 기간 내 용
여성 한국광복군
지복영 회고록
민들레의 비상
2014~
2015.7.31
- 백산 지청천 장군의 차녀인 광복군 지복영 회고록
- 이상룡 선생 손부 허은 회고록 아직도 내 귀엔 서간도 바람소리가에 이은 여성
독립운동가시리즈 2탄
- 신국판, 300쪽, 값 15000원, 1천부 출간
독립운동가
김예진 선생 부인
한도신 회고록
재출간
2015.10~
- 1996년과 2010년에 각각 돌베개, 쿰란출판사에서 출간되었던 한도신 회고록을 아
들 김동수 씨와 교섭하여 재출간 합의
- 원고 재입력 작업 완료
- 한도신 여사와 김예진 선생의 독립운동자료 및 사진자료를 보강하고 독립운동가
와 사건에 대해 상세한 각주 추가
학술지
역사와 책임
8호
2015.5.30
- 특집 : 과거사 재심과 국가배상소송과정에서의 인권침해와 2차피해(임채도, 김
형태)
- 논문 : 731부대 세균전 국가배상 청구재판과 그후 해결을 위한 활동(나스 시게오)
/ ‘마지막이지만 마지막이지 않은’ 위령시설 만들기(김민환) / 일제강점기 서대문
형무소의 역사적 보존 가치(박경목) / 돌아오지 못한 ‘유골’과 국가책임(김승은)
- 쟁점과 과제 : 일본 혐오발언(Hate Speech)의 현황과 성격(마에다 아키라)
13
• 홈페이지 ․ 기록정보
사업명 기간 내 용
홈페이지
전면개편
2015.3~
2016.5
- 서버 하드웨어 교체 완료
- 홈페이지 관리툴 교체 완료
- 콘텐츠에 집중할 수 있는 직관적인 디자인 작업중
- 모바일 최적화 작업 중
- 2016년 5월 개통 예정
모바일 후원
시스템 구축
2015.12~
2016.1.27
- 모바일기기를 통한 회원가입 및 후원금결제 시스템 개발완료
- PC와 모바일기기 양쪽 모두에서 회원가입 및 후원금결제가능
- SNS를 통한 회원가입 홍보, 간편주소 링크를 통한 후원추천 가능
기록관리체계
정비
2015.3~
2016.3.30
- 유물 : 디지털자원관리를 위한 NAS시스템 도입 완료(자료실 담당)
- 연구데이터 : 민연역사정보DB 재설계 완료(편찬실 담당)
- 업무기록 : 현용 기록관리를 위한 인트라넷 고도화 진행 중(2016년 3월 완료 예
정, 교육홍보실 담당)
- 기록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디지털 자원관리, 데이터 축적, 연구활용을 위한 각 부분 시스템
개발 진행 중. 상호 연계를 위한 부서간 협력과 기술논의 필요
- 연구소 생산접수 기록(현용기록과 준현용기록)과 업무종결기록(비현용기록)에 대한 관리방
안 모색
• 영상
사업명 기간 내 용
영상 촬영 2015.1~12
- 2015년 정기총회, 임종국상 시상식 등 연구소 연례행사
- 신흥무관학교 홍보대사 위촉식
- 부민관 폭탄 의거 기념식과 연극
- 신일철 강제동원피해자 1차 판결 기자회견
- 이희자 보추협 대표 구술(3차), 근로정신대 할머니 구술(1차)
- 강제동원피해자 구술(일본 전범기업 산업시설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관련-1차)
- ‘김용주, 과연 애국자였나?’ 기자간담회
- 국정화 저지 관련 촬영(기자회견, 집회, 거리강연 등)
제 작 2015.1~12
- 다음펀딩 ‘해방 70년, 나는 싸우고 있다’ 강제동원피해자 구술 DVD – 한국어, 일본어, 영어
- 야스쿠니에서 만나자(야스쿠니 합사)
- 유골은 말하고 있다(강제동원피해자 유골문제)
- 누가 이 청년을 전범으로 만들었는가(조선인 BC급 전범)
- 유네스코 등재 반대 홍보영상 – ‘메이지 일본 산업혁명유산’의 진실 (한국어, 영어)
- 부민관 폭탄 의거 연극 ‘정의의 폭탄’ DVD
- 역사교과서 국정화 반대 홍보영상 – 빗나간 효도
- 임종국-연구소 소개 영상(역사관 홍보용-일본어)
- 독립운동가들이 꿈꾼 나라
- 한국전쟁기 민간인학살피해자 유해발굴 보고영상
14 민족문제연구소 2016년 정기총회
기 획 2015.11~ - 뉴스타파 ‘잊혀진 이름 여성독립운동가’ 공동기획, 자료제공
기 타 2015.1~12
- 일본군‘위안부’ 할머니 구술 오디오 보정
- 국사편찬위 용역
- 임실 민간인학살 구술 촬영 및 납품용 DVD, DV Tape 제작
- 유투브를 통한 광고수익 창출(총 20만뷰). 소품제작, 이슈대응은 적절하였으나 기획사업인
역사다큐 제작은 지체
• 한일협정50년·해방 70년 특별기획전시
전시명 일정 내 용
한일협정 50년·
광복 70년 특별전,
나는 싸우고 있다
-한일협정의 장벽을
허무는 사람들
2015.6.27.~8.16
서울역사박물관 로비
- 한일과거청산운동 50년사의 역사적 배경과 현안, 과제를 주제
로 전시
- 한국과 일본 과거사 관련 시민단체 17개 공동 주최
- 일본군‘위안부’, 근로정신대, 사할린한인, 재일동포, 역사교과서,
강제동원피해자, 야스쿠니문제 등 한일간 주요 역사현안을 망라
학교로 찾아가는
독립운동 이야기
2015.8.31.~12.31
제주, 충남, 광주지역
초·중·고교
- 광복70주년 기념 각 도 교육청(충남, 광주, 제주) 지원사업
- 백범 김구 선생의 생애와 독립운동사의 주요 사건 전개를 연계,
삽화와 함께 구성
- 교육과정과 연계한 전시내용 구성, 수업 부교재로 활용할 수 있
는 교재 제작
- 지역별로 제주, 충남, 광주지부 진행
끌려간 사람들의 이야기
-전범이 된 조선청년들
2015.8.11.~9.30
부산 백산기념관
- 해방 70주년을 맞아 한국 사회에서 여전히 외면당하고 있는 조
선인 BC급 전범문제를 제기하여, 역사적인 배경과 이해를 높이
고자 한 기획전시
자료실
15
• 전시출품
전시명 일정 내 용
서울역사박물관 주최
“남산의 힘”
2015.8.6~11.1
서울역사박물관
기획전시실 A
- 서울의 중심이자 상징인 남산이 일제의 식민권력에서부터 국가
권력에 이르기까지 권력의 각축장에서 시민의 공간으로 변해가
는 모습을 추적하고, 이에 담긴 의미를 조명
- ‘신사’ 관련 자료 23점 출품
군산근대역사박물관 주최
“나라를 잃었던 자들아
그날을 기억하라”
2015.8.29.~11.29
군산근대건축관(옛 조
선은행 군산지점)
- 권중현 한국병합기념장 증서 등 총 20점 출품
수원박물관 주최
“수원, 수원사람들의
독립운동”
2015.8.21~11.15
수원박물관
기획전시실
- 일한병합조약정문, 일한병합 기념엽서(메이지, 고종), 애국 251
수원호 엽서 3점과 독립운동가 고 조문기 선생(2대 이사장) 자
료 출품
- 중동호흡기증후군의 여파로 하반기 전시 행사 집중
- 관람객의 콘텐츠 만족도 높음. 특히 학교 현장을 찾아가는 전시회에 대해 호평
- 관람객 확보가 안정적인 국·공·시립 주요 박물관에 소장품을 출품, 연구소 컬렉션 홍보
- 전시회 개최 언론 홍보 강화 필요
• 해외전시
▪ 일본 전범기업 세계유산 등재 반대 캠페인 부의 세계유산과 미래가치 특별전
- 강제동원 피해자 증언 등 식민지 지배의 실상
을 전시함으로써 한일간 역사문제의 심각성을
효과적으로 전달. 조선인 강제동원 문제를 국
제사회에 이슈화 함
- ‘부의 세계유산’ 4개 사이트와 일본 전범기업 산
업유산 중 7개 사이트에 관한 역사기록을 그래
픽패널로 전시, 4편의 영상물 상영
- 일정 : 2015.6.30~7.3 독일 본 마리팀호텔(제39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메인숙소)
- 유럽에서 개최하는 첫 전시, 역사NGO로서 활동영역 확대
- 제39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심의결과에 반영될 수 있도록 현지 활동 전개
- 현지 관람객과 관계자(유네스코 한국위원회, 문화재청, 동북아역사재단, 오프닝 세미나 참석
자 등)들의 호평을 받음
- 세계유산위원회 위원국에 전시패널PDF 발송 등으로 지속적인 홍보활동 필요
16 민족문제연구소 2016년 정기총회
• 자료기증 현황
분류 수량 기증자 합 계
유물 640점 심정섭, 김영준, 염금섭, 이영자, 박동규, 김칠성, 고문병 등
1,368점
도서 728권 (故)강혁, 이순옥, 김정만, 노영기, 김학주, 히구치유이치, 박석부 등
- 화보 및 엽서류, 앨범류, 박물류 등 시각 자료 지속적으로 수집
- 근대시기 주요 문헌 자료 초판본 수집
- 학교앨범(50권), 시사화보류, 지도류 등 주제별로 특화된 컬렉션 구성 가능
- 전시와 연구 가치가 높은 자료의 활용을 위한 목록화 작업 시급
• 구술수집사업
주제 기간 사업내용
한국전쟁기 전북 임실
민간인학살 피해자 및
유족 구술수집사업
2015.3~11
- 전북 임실 민간인학살 사건 피해자, 유족, 목격자(증인) 등 70여명 증언채록
- 진실화해위원회 활동당시 미신고 유족들 중심
- 민족문제연구소 연구원 4명, 고려대학교 대학원생 6명 참여
- 구술자료집 발간 예정
• 소장자료의 활용
분야 제공처 제공자료
출판
용산공원: 지난 세기의 기억과 흔적을 넘어, 서울시 ‘경성 및 용산전경’ 사진
부마민주항쟁중등교육자료집, 부마민주항쟁기념사업회 10월유신포스터 이미지 1점
전시
문화체육관광부, 광복 70년 기념사업 관련 콘텐츠 수집 ‘나는 싸우고 있다’, ‘학교로 찾아가는
독립운동이야기’ 패널 이미지 제공
블룸 청소년 힐링센터, 광복 70주년 기념 임시군속훈련소
관련 피해자 추모 및 메시지 전하기 행사 ‘전범이 된 조선청년들’ 패널 11개
문화재청, 광복 70년 기념 항일독립운동 문화재 전시 헤이그특사 위임장 이미지 1점
17
전시
한양도성박물관, 대중문화가 담은 한양도성 숭례문 전경 이미지 1점
몽양여운형생가·기념관, 3.1운동의 숨은 주역들 3.1독립선언서 1점
대구여성광장 ‘친일문인과 그들의 작품’전 패널 20개
광명문화원 ‘거대한 감옥 식민지에 살다’ 패널 20개
풍기인삼축제 일제만행고발전 작품 30점
연구 한국국학진흥원 유도 잡지 창간호~6호(56장 스캔 파일)제공
방송
영상
뉴스타파, 잊혀진 이름 여성독립운동가 연구소 소장 자료 제공
뉴스타파, 해방 70년 특별기획 ‘친일과 망각’ 4부작 반민규명위 수록 인물 사진 제공
국민 TV 보이는 라디오, 백년전쟁 : 방응모, 김성수 편 연구소 소장 자료 등 191점
티브로드 안양방송 이무영, 한창수 친일인명사전 수록 사진 6장 제공
EBS, 지식채널e 바람이 불어오는 곳 시베리아 억류 체험을 담은 그림 및 삭풍회 모임
사진 9장
5.18기념재단 식민의 유산, 유신의 추억 도록 70, 71쪽(금지
곡 내용 수록)
경향신문 애국조회 사진 등 7장
- 자료 축적에 기반한 전시콘텐츠 다양성 확보
- 근현대사 역사콘텐츠에 대한 외부 기관‧단체의 요청 증가
- 연구소 소장 유일본·희귀본 소개를 통한 언론매체 홍보 성과
• 지부·지회 활동 지원
지부 일시/기간 사업내용
충남지부
천안아산지회
2014.10.26~2015.12
2015.9.20
2015.11.7
2015.9.23.~12.31
2015.12.10
이순신 장군 표준 영정 교체 운동
홍난파 단죄문 설치
임종국 선생 26주기 추모식 주관
광복70주년기념 특별전 ‘학교로 찾아가는 독립운동이야기’(충남지역 25개교)
평화의 소녀상 설치 주도(신부공원)
수원지부 2015.2.5 조문기 선생 7주기 추모식
진주지회 2015.3.14 진주 기미년 만세운동 길 걷기 행사
대전지부
2015.2.5
2015.4.11~12
2015.4~12
조문기 선생 7주기 추모식
지부 수련회 겸 서울지역 역사답사
가짜 독립운동가 김태원 행적 바로잡기 운동
사무국
18 민족문제연구소 2016년 정기총회
군포안양지부 2015.7.22 친일문학인 이무영 문학비 단죄문 설치 운동(군포시 자체 철거)
고양파주지부
2015.3.28
2015.8.17
2015.11.18
행주나루 선상 만세운동 재현행사
장준하 선생 40주기 추모식
고양지역 항일유적지의 발굴과 보존을 위한 토론회
안산시흥지부 2015.5.8 제6회 고향마을(사할린강제징용자 정착마을) 어버이날 한마당 나눔잔치
경기동북지부
2015.5.25
2015.3.28~11.14
2015.1~
몽양 여운형의 날 행사
몽양역사아카데미 공동 주최(총8강)
신원역 → 몽양역 공동병기 작업 진행 중
경기북부지부
2015.5.30
2015.11.17
2015.3.28~11.17
연천 포천 일대 항일유적 답사
평화의 소녀상 설치 주도(의정부역)
지부 산하 지회(연천, 포천, 양주) 창립
부천지부
2015.6.16
2015.10.10
2015.11.27
친일문학인 작품 패널 전시
안중근의거 기념 부천시민음악회
국정화 반대 대중강연회
광주지부
2015.6.30
2015.8.31~11.20
2015.7.14~10.28
기아차 광주공장 노조 기부금 전달식
광복70주년기념 특별전 ‘학교로 찾아가는 독립운동이야기’(광주지역 20개교)
친일·항일음악회(광주지역 총 10개교)
서울관악동작지부 2015.4.10 함세웅 이사장 초청강연
서울강남서초지부 2015.5.12 정연주 전 KBS사장 초청강연
서울동부지부 2015.5.2
2015.10.2~11.6
‘왕십리 옛길 따라 근대를 가다’ 답사
동대문민주시민교육 공개강좌
서울중부지부
2015.5.30
2015.7.19
2015.11~
김상옥 의사 유적지 답사
몽양여운형선생 68주기 추모식 및 북한산산행
국정화 반대, 군‘위안부’ 협상 무효 서명운동
서울서부지부 2015.7.25 헐버트묘소, 이한열기념관 답사
과천의왕지부 2015.2.10
2015.8.13
임헌영 소장 특강 및 지부 창립총회
광복70주년 우리동네 친일 항일 이야기 마당
제주지부
2015.2.21
2015.8.20~12.3
2015.9.7~12.21
함세웅 이사장 초청 강연 및 지부 총회
노무현시민학교 후원
광복70주년기념 특별전 ‘학교로 찾아가는 독립운동이야기’
(제주지역 총 53개교)
대구지부 2015.11.25
2015.10.~11.
다큐 ‘백년전쟁’ 상영회
국정화 반대 현수막 다수 게시
울산지부 2015.11.26~12. 국정화 반대 강연 및 서명운동
인천지부
2015.3.22
2015.5.13~6.24
2015.7.25
2015.10.14~12.9
백범 김구 선생 발자취 따라가기
해방70년 분단70년 바로보기 역사교실(총6회)
죽산 조봉암 역사기행
인물로 본 한국현대사
성남광주지부 2015.10.16~ 성남시 역사, 국정교과서, 군‘위안부’ 바로알기 전시회(서현역 광장)
19
• 함화진 김기수 흉상 안내문 교체
- 국립국악원 내 명인동상 중 친일음악인 함화진(1884~1949) 김기수(1917~1986) 흉상 설명문
에 친일행적 누락 확인(경향신문 5.29. 기사)
- 국회 교육문화체육위원장실(박주선 의원)과 공동으로 문제 제기
- 연구소 제안을 수용하여 흉상 안내문에 친일행적 기록한 새 안내문 설치(2015.10)
• 부민관 폭파의거 70주년 기념사업
- 2015.7.24
- 부민관 폭파의거 70주년 기념으로 의거 현장에서 최초 재현(축사 : 박원순 시장)
- 기념식 및 재현 연극 ‘정의의 폭탄’ 상연(서울시의회 본회의장)
- 재연극 ‘정의의 폭탄’ DVD 제작 및 배포(서울지역 교사 회원 재직 학교 210개교)
•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반대 회원 선언
- 국정화반대 신문광고를 위한 모금운동 : 2015.9.30.~10.7 / 34,976,569원 모금(참여자 2,314명),
마감 이후인 11월 4일까지도 모금 답지
- 한겨레(10.8), 한국일보(10.29), 경향신문(10.30) 3차례 유료 광고
- 미디어오늘(11.4),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한국판(86호) 무료광고
- 잔액 6,864,009원 국정화 반대 홍보 활동에 사용 예정
• 연대활동
- 안중근의사 순국 105주년 추모식 공동주최(3.21, 서울 효창원)
- ‘민주주의국민행동’ 창립 및 활동 지원(발기인대회 3.26, 창립대회 6.10)
20 민족문제연구소 2016년 정기총회
- ‘세상에서 가장 슬픈 도전’ 진행 및 4·16연대 후원금 전달(약2천만원)(4.17, 서울광장)
- ‘조희연교육감과 교육자치 지키기 범시민공동대책위’ 참여(5.21)
- 제11회 역사와삶 글쓰기대회 후원(5.21)
- 민족민주열사 추모제(6.10, 서울 청계광장)
- 대한광복단기념사업회 위탁기관 지정 선정 지원
- 서울시자원봉사센터, 서대문형무소역사관 벽화 제작(8.8) 및 독립운동사 강의지원(총 4회)
- 독립운동가 후손 최현열 선생 대책회의 및 민주사회장 참여(8.12~26)
- 서대문독립민주축제 지원(함세웅 이사장 민주인사 풋 프린팅, 안중걸 회원 드로잉 쇼 부스,
친일문학인 전품전시회 및 식민지역사관 홍보 부스 등, 8.15)
- 민주연구단체협의회 워크숍 참여(8.27~28, 경북 문경)
- 동암 차리석 선생 70주기 추모식(9.9, 서울 효창원)
- 안중근의사 하얼빈 의거 106주년 기념 남북 공동행사 후원(10.24~26, 중국 하얼빈)
- 대한광복단기념사업회, 독립정신계승 전시회 지원(10.4~11, 경북 영주)
- 안중근의사기념사업회, 안중근청소년독립·민주·평화음악회 후원(12.9, 성남아트센터)
- 청년백범, 대한민국임시정부 기행 후원(1차 : 12.26~30 / 2차 : 2016.1.9~13)
- 소녀상 지키기 농성 대학생 지원(12.31~현재)
• 역사캠프·수련회·답사 등
사업명 일시/기간 사업내용
어린이 백범학교 2015.8.6~8
- 강화도 산마을고등학교에서 ‘청년백범’(홍소연, 조선동 등 연구소 회원 주도)
과 공동주관
- 초등학생 대상 역사캠프, 남녀 초등학교 4~6학년 30명 참가
여름수련회 - ‘메르스’ 여파로 여름수련회(6.13~14, 충북 제천) 취소
울릉도·독도 탐방 - 기상 악화로 독도의 날 기념 ‘울릉도·독도 탐방’(10.9~11) 취소
• 인사
구분 이름 소속 일자
재임용
오경아 교육홍보실 2015년 1월 1일자
노기 카오리 연구실 2015년 3월 1일자
신규임용
김선호 편찬실 2015년 3월 1일자
김덕영 편찬실 2015년 5월 1일자
김완호 편찬실 2015년 7월 22일자
신효승 편찬실 2015년 7월 22일자
21
• 법무
사건명 기간 현 황
홈페이지 해킹 2013.5~ - 2013년 5월 11일 발생한 연구소 홈페이지 해킹사건 관련 민사소송준비 마무리 단계
박정희 혈서
조작 무고
2014.7~
- 2015년 10월 27일 박정희혈서 조작 명예훼손 민사소송 승소. 서울중앙지방법원 민사39
단독, 강용석 500만원, 정미홍 300만원, 강종원 3000만원 민족문제연구소에 지급 결정
- 현재 항소심 진행 중
백년전쟁 관련
방통위의
시민방송(RTV)
징계 대응
2014.7~
- 백년전쟁 방영 RTV에 대한 방송통신위원회 징계(2013.7), RTV의 재심청구 기각
- RTV, 방통위에 대한 행정소송 제기(2013.11)
- 1심(서울행정법원) 판결, RTV 패소(2014.8)
- 2심(서울고등법원 제6행정부) 판결, RTV 패소(2015.7.15) : 항소심 지원 위해 연구소는
법학교수(71명) 및 역사학계(81명)의 의견서와 연서명을 취합해 법원에 제출
- RTV 대법원 상고(2015.8.3.), 대법원 심리 개시(대법원 특별3부 주심 김신 대법관)
문화일보
허위보도
언론중재위
제소
2015.10
- 문화일보는 2015년 10월 6일자 ‘서울시, 박정희도서관 부지매매 보류’ 관련 기사에
서 ‘서울시가 박정희대통령기념재단측과 약속했던 박정희기념·도서관 부지매매를 일
방적으로 보류하였는데 그 이유가 박원순 서울시장이 만든 민족문제연구소의 반대 때
문이며 이러한 서울시의 이념편향․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른 말 뒤집기에 비판이 나오
고 있다’고 보도
- 언론중재 결과 12월 23일 문화일보 지면 2면과 인터넷 사회면에 정정보도 및 반론 게재
• 친일인명사전 판매 ․ 증정 현황
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합계
판매(질) 13 50 73 86 77 49 45 49 25 55 157 104 783
증정(질) - - - 4 5 4 - - 1 1 3 18
• 친일인명사전 앱 판매현황 (2012.8.29~2015.3.4 총 19,452개)
구글 10,206 애플 8,560 티스토어 686
22 민족문제연구소 2016년 정기총회
• 지역별 회원수 (회원 합계 11,974명 : 특별회원 제외)
지부 회원 지부 회원 지부 회원
인천 677 서울동부 354 경기부천 206
부산 630 서울남부 339 경남동부 195
충남 511 경기동부 333 경기안산시흥 186
광주 495 서울중부 315 울산 185
서울북부 482 강원 302 경북북부 161
서울서부 459 전남동부 280 전남서부 125
전북 451 서울강서양천 272 경북동부 117
경기고양파주 433 경기남부 259 제주 116
서울강남서초 430 경기수원 258 경기과천의왕 74
서울남서 395 경기용인 243 경북서부 69
대구 388 경기동북 241 경기여주이천 60
대전 382 경남서부 235 기타(주소불명) 53
충북 367 경기군포안양 229 해외 52
서울강동송파하남 354 경기북부 222 도쿄지회 39
• 연도별 신입회원 가입수 • 연령별 회원수
• 2015년 회원 가입·탈퇴 현황
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총
가입 107 77 86 47 50 47 59 97 105 232 307 92 1,306
탈퇴 66 38 51 27 22 21 29 19 22 25 28 40 388
※ 10대 이하 33명, 80대 52명, 90대 4명
23
특별기구 사업보고
• 소송지원
재판명 원고 현황
미쓰비시중공업에 대한
손해배상 및 임금청구소송
박창훈의 유족
박재훈 외 22명
• 2000.5.1 부산지방법원에 제소
• 2012.5.24 대법원 판결(파기환송)
• 2013.07.30. 재상고심 부산고법(일부승소)
• 대법원 심리 중
신일본제철에 대한
손해배상 및 임금청구소송(1차) 여운택 외 3명
• 2005.2.28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제소
• 2012.5.24 대법원 판결(파기환송)
• 2013.07.10. 재상고심 서울고법(일부승소)
• 대법원 심리 중
신일철주금주식회사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소송(2차) 곽해경 외 6명
• 2013.3.11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제소
• 2015.11.13. 1심 판결(원고승소)
• 서울고법 심리 중
신일철주금주식회사에 대한
손해배상청구소송(3차)
정복인 외 2명
(피해자 김공수 유족) • 2015.5.22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제소
주식회사 후지코시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소송(1차)
김계순 외 26명
(피해자 13명, 사망 4명
소송수계인 18명)
• 2013.2.14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제소
• 2014.10.30 1심 판결(원고승소)
• 서울고등법원 심리 중
주식회사 후지코시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소송(2차) 김옥순 외 4명 • 2015.4.7.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제소
주식회사 후지코시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소송(3차) 이춘면 • 2015.5.22.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제소
야스쿠니무단합사 철폐소송(2차) 남영주 외 26명 • 2013.10.22 도쿄지방재판소에 제소
- 1997년부터 진행해온 대일과거사 재판의 연장으로 관련 소송이 일본에서 모두 패소한 후 한
국법원에서 다시 제기
- 원고 개인의 피해회복이라는 목적을 넘어 일제 식민지 지배와 강제동원에 대한 일본정부와 기
업의 책임을 추궁하고, 한국사회가 이 문제를 어떻게 이해하고 사회화 할 것인가를 묻는 소송
태평양전쟁피해자보상추진협의회
24 민족문제연구소 2016년 정기총회
• 기획사업
1. 일본 순회 강제동원피해자 유족 증언대회
- 일본 시민을 대상으로 강제동원 피해와 식민주의
문제를 유족들의 삶과 이야기를 통해 직접 전하
는 순회 증언대회. 동북아역사재단 시민협력사업
- 일본 도쿄, 도야마, 야마구치 등 3개 지역에서 5
회 진행
2. 강제동원 희생자 자료조사 사업
- 강제동원피해 유족들의 희생자 행적 찾기 지원
활동
- 일본 활동가들과 협력하여 조사사업 진행
- 2015년에는 국내에 기록이 남아 있지 않은 22명
의 희생자에 대한 조사 진행 중
3. 강제동원 희생자의 유해문제 해결을 위한 사업
- 일본과 남태평양 등지에 방치되어 있는 강제동원 희생자들의 유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활동
- 유골의 DNA채취 및 DB구축문제 관련 일본의 후생노동성 관계자, 일본 국회의원 등과 협의
- 일본의 피해자 단체, 활동가들과 연대하여 입법 활동 진행
4. 일본 전범기업 시설 ‘세계문화유산’ 등재 대응 사업
- 2015년 3월 유네스코 심사기구인 이코모스가 일제 전범기업 산업시설을 유네스코 근대문화
유산으로 적합하다는 판단을 함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활동
- 해당시설이 침략전쟁과 식민지 강제동원의 과거를 갖고 있다는 점을 세계 여론에 알림
- 관련 영상제작 배포, 독일 현지 전시회 개최, 세계유산위원회 담당관 면담, 위원국에 한일 공
동의견서 전달
5. 다음스토리펀딩 사업
• (1차) : 해방70년, 나는 싸우고 있다
- 2015년 2월 부터 4월까지 연재기사 8건, 구술편집 영상 5건, 구성편집 영상 7건 발행
- 야스쿠니문제, 근로정신대문제 등 일제강제동원 피해의 주요사안을 주제별로 다룸
• (2차) : 강제동원, 망각의 현장을 가다
25
- 2015년 9월~2016년 1월까지 연재기사 10건, 구성
편집 영상 1건
- 하시마 탄광, 가마이시 제철소 등 일제강제동원
피해자들이 끌려간 현장을 소개하고 현재 상황
을 소개
- ‘세계문화유산’등재 대응사업의 경우 다음뉴스펀
딩을 통해 시민들의 큰 호응을 받았음. 또한 이코모스가 ‘해당시설의 역사 전체를 명기’하는
조건을 제시하여 이후 활동에 따라 의미 있는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됨
- 다음스토리펀딩은 모바일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형식의 매체를 활용하여 대중의 큰 호응
을 받음, 일제강제동원 피해의 구체적인 내용을 전파하고 사회적 관심과 문제해결의 필요성
을 폭넓게 확산시킨 것으로 평가됨
사업구분 일 정 주요내용
제9회 임종국상
시상식
2015.11.11.
한국언론회관
19층 기자회견장
- 사회·언론 부문에 ‘뉴스타파’ 선정(해방 70년 기념 특별기획 ‘친일
과 망각’ 4부작)
- 장병화 임종국선생기념사업회장 출연금 1,500만원으로 진행
26주기 추모식 2015.11.7.
천안공원묘역 무학지구
- 김지철 충남교육감, 김삼웅 전 독립기념관장, 유족, 회원 등 120
여명 참석
- 충남지부(지부장 최종진), 천안아산지회(지회장 최미경) 주관
임종국선생기념사업회
26 민족문제연구소 2016년 정기총회
• (시범사업) 강북구 근현대사기념관 위탁운영 사업
- 강북구 역사문화관광벨트 조성사업의 핵심기관으로서 2016년 상반기 개관예정인 ‘근현대사
기념관’ 민간위탁운영 사업체로 선정(위탁운영기간 2016~2018년)
- 전시 연출 수정안 제안 및 협의
- 전시대상 유물 조사 및 선출 / 유물 복제․구입 관련 업체 조사 및 업무 추진 협의
- 전시 자문‧전문위원회 구성 제안
- 인력 채용 및 파견(명예관장, 학예사 1명, 시설관리(기술직) 1명, 기간제근로자 3명)
• 식민지역사박물관 일본 건립후원회 조직
1) 일본 건립후원회 ‘「식민지역사박물관」과 일
본을 잇는 모임’ 발족 의의
- 식민지 지배 책임 청산 운동의 일환으로
자리매김
- 일본의 연구자·활동가들과 한국을 잇는
박물관 건립 운동
- 모금 등을 통한 후원을 넘어 ‘함께 만드는 박물관’ 건립 운동
- 식민통치와 침략전쟁, 과거사청산 관련 시민운동 자료 수집
2) 추진 내용
- 일본 건립후원회 발족 및 기념세미나(2015.11.14)
- 사무국 주소지 : 일본 고려박물관
- 후원모금계좌 안내 전단지 제작․배포 / 연구소 안내 일본어 홈페이지 제작
• 역사관건립기금 모금 현황(2011.3.1.~2015.12.31)
발기인 1,743명 ‣ 629,130,751원 회원 1,266명 ‣ 408,921,073원
669,038,800원
소액참여 1,223명 ‣ 39,908,049원 비회원 1,700명 ‣ 260,117,727원
기 타 23,751,000원
합 계 692,789,800원
※ 발기인은 10만원 이상 건립기금을 내신 분입니다.
※ 기타는 공연수입, 경향신문구독료 수입 등 개인별로 집계하기가 힘든 모금액입니다.
시민역사관건립위원회
27
사업명 주요내용
교육부 ‘이달의 스승’사업
관련 대응
- 교육부 광복70년 기획사업 ‘이달의 스승’에 대한 분석자료 언론사 배포 / 친일 행
적 등 부실검증 여론화
- 교육부 ‘이달의 스승’ 사업 사실상 폐기
2015 역사과 교육과정
시안 관련 대응
- 공청회 참가 및 내용분석
- [토론회] 2015역사과교육과정 시안, 무엇이 문제인가?(2015.6.20.)
2013 ‘뉴라이트’ 교학사
<한국사> 검정통과 무효화
및 채택저지 활동백서 발간
- 2015.1.20. 발간
- 친일‧독재미화뉴라이트교과서검정무효화국민네트워크 펴냄(사무국 역사정의실천
연대). 총 1,265쪽
‘역사교과서 파동
타임라인’ 제작 - 2002년부터 현재까지 ‘역사교과서 파동’을 다룬 타임라인 제작(2016.1)
동영상 제작 -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시도 무엇이 문제인가?’
논평 / 성명 / 기자회견문 - <장관이 나서서 역사교과서 국정화 논란으로 ‘분쟁의 씨앗’을 뿌리는 교육부를 규
탄한다!>(2015.1.9.)외 13건
연대기구 사업보고
사무국 민족문제연구소
역사정의실천연대
28 민족문제연구소 2016년 정기총회
• 한국사교과서국정화저지네트워크(사무국 : 역사연대)
활동명 주요내용
한국사교과서국정화
저지 대응 연대단체 출범 한국사교과서국정화저지네트워크 출범(2015.8.20.)
한국사 국정화 반대 선언
전개
교수 / 학부모 / 법학연구자 / 교사 / 전국 23개 대학 역사교육과 학생 / 전국60개 대학 역
사학도 / 재외동포 / 해외대학 한국학 교수·강사 한국사 국정화 반대 선언 및 한국사교과
서 국정화를 반대하는 전국 11곳 동시 시민 선언
한국사 국정교과서
집필 거부 선언 전개
대학별 집필 거부 교수 선언(전국 57개 대학) / 역사학회 집필 거부 선언 / 역사교사 집
필 거부 선언
한국사 국정화 저지
대국민운동 전개
대국민 서명운동
교육부에 반대 의견서 보내기 운동
선전 활동
-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강행 규탄 긴급 결의대회 / 범국민대회 1차~5차 / 농성 / 1인 시
위 / 촛불집회 / 수요 촛불문화제
손피켓 인증샷 SNS 올리기 / 현수막 달기 / 스티커 부착 / 신문광고 내기
토론회 개최
2015 개정 역사과 교육과정과 국정교과서 논란(10.2, 국회)
UN역사교육지침 분석을 통한 역사학 방향(10.6, 역사교육연대회의)
국정화 논란 해부-역사교과서 톺아보기(10.29)
역사 교과서 국정화 강행, 무엇이 문제인가?(11.11)
국정교과서 고시
헌법소원 청구 2015.12.22 헌법재판소 앞 기자회견 후 헌법소원심판 청구(청구인 3,374명)
시민‧학생과 함께하는
거리 역사 강의 개최 2015.11.21~2016.1.30 총 10강. 파이낸스 빌딩 앞
우리역사 제대로 보기
범국민 역사책 읽기 운동 2015.12.24~2016.2.10 시상식 2016.3.1
논평/성명/기자회견문 논평 “박근혜 정부는 역사교육 통제 시도를 즉각 중단하라!”(10.7) 외 9건
• 시민 ․ 학생과 함께하는 거리 역사 강의
날 짜 강의명 강사
1강(11/21) 1948년, ‘대한민국’ 수립인가 ‘대한민국정부’ 수립인가 이만열
2강(11/28) 무엇이 문제인가, 국정역사교과서 조광
3강(12/5) 국정교과서가 지우려는 독립운동사 이야기 이준식
4강(12/12) 대한민국의 정체성 : 제헌헌법 한상권
29
5강(12/19) 국정교과서와 상고사 부풀리기? 하일식
6강(12/26) 국정화가 전체주의다 : 독일역사교과서 이야기 이동기
7강(1/9) 동아시아평화를 위한 역사교육 안병우
8강(1/16) 한국사검정교과서 바로보기 한철호
9강(1/23) 왕조시대 역사교육은 어땠을까 이이화
10강(1/30) 역사교과서의 대안을 탐색한다 김육훈
- 2015년 초 ‘이달의 스승’ 문제를 이슈화한 데 이어, 8월 20일 ‘한국사교과서국정화저지네트
워크’를 출범시켜 국정교과서에 대한 국민의 반대 여론을 높이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함. 특
히 연구소 지부들이 지역의 국정화 반대운동을 주도적으로 이끌었음
사업명 일시/기간 내 용
역사탐방 2015.1~10
1) 강원 철원 답사(1.17 철원독립운동기념사업회·철원군농민회 후원)
- 군탄공원, 승일교, 철원고교, 박용만 생가 터, 옛 노동당사, 철원감리교회, 백마고지,
이태준 생가 터 등
2) 신민부 결성 90주년 기념 답사(7.27~31 서울북부보훈지청 후원)
- 하얼빈 해림 백두산 용정 등, 41명 참가
3) 석주 이상룡 선생 대한민국임시정부 초대 국무령 취임 90주년 기념 안동답사
(9.5~6, 35명 참가)
4) 한국광복군과 조선의용대 유적지를 찾아서(10.15~18 경기농협 후원)
- 중국 서안 연안, 기념사업회 임원 및 독립운동가 후손 등 23명 참가
기획·학술
사업 2015.6~12
1) 신흥무관학교 설립 104주년 기념식 및 학술회의(6.10 서울 신촌 다래헌)
‘신흥무관학교와 대한민국임시정부’
2) 신민부 설립 90주년 기념 대중 강연
- 경복독립기념관, 서울예일여고, 수원삼일상고, 수원지기학교, 전남대 총여학생회 등
총5회 진행
- 국가보훈처 ‘2015 민간단체 주관 보훈행사 지원’ 사업
3) 원병상 회고록 활자화 사업
- 신흥무관학교 졸업 후 교관을 지낸 원병상 회고록 입수
- 신흥무관학교 관련 연구 사업에 활용 예정(편찬실 사업 참조)
기타 2015.7~8
1) 영화 <암살> 지원
- 홍보(각종 시사회, 언론 보도, 연구소 건물 외벽 대형 현수막 게시 등)
- 영화배우 조진웅 홍보대사 위촉(8월 10일)
- 특별 시사회 공동주최(8월 13일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 8월 15일 잠실 롯데시네마)
신흥무관학교기념사업회
30 민족문제연구소 2016년 정기총회
• 광복70년·한일협정50년 한일공동기획
“나는 싸우고 있다”
- 특별전시 : 6월 26일~8월 16일, 서울역
사박물관
- 특별강좌 : “1965, 그 장벽을 허무는 사람
들에게 듣는다” 9월 1~22일 7강 프란치
스코회관
- 수요시위 : 6월 10일(수), 제1182차 일본
군‘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
위 주관
- 광복70년·한일협정 50년을 맞아 대일과거사 문제 전반에 대한 인식 확산에 기여
- 시민들의 높은 관심과 호응으로 연장전시, 한일과거사 단체의 연대활동을 망라한 전시로 호평
• 한일협정 50주년 도쿄집회 “한일협정 50년 과거청산을 위해 연대하자!”
- 2015년 6월 20일(토) 도쿄 YMCA
- 강제동원 피해자 증언 영상 제작, 상영 / 한일협정관련 심포지엄, 도심 행진, 콘서트 등으로
진행
- 한일협정 50년을 총괄하고 향후 대일과거사 연대운동의 방향과 과제 모색
• 야스쿠니반대독일공동행동
- 2015년 5월 7일(목)~5월 12일(화) 독일 베를린, 하이델베르크
- 종전 70주년 평화페스티벌 참가, 심포지엄, 유족 증언 및 촛불행동 진행
- 야스쿠니 Q&A 소책자 영문판, 동영상 영문판 배포
- 일본 전범기업시설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대응행동
- 독일 및 유럽사회에 야스쿠니 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여론 환기, 향후 야스쿠니문제의 국
제화를 위한 토대 마련
- 동아시아에서 유럽으로 야스쿠니반대공동행동의 국제네트워크 확대
한일시민선언실천협의회
야스쿠니반대공동행동 한국위원회
31
• 야스쿠니반대도쿄촛불행동
- 2015년 8월 8일(토) 도쿄 YMCA
- 주제 : “적극적 평화주의를 뒷받침하는 야스쿠니”
- 유족 증언, 기념영상 상영, 심포지엄, 콘서트, 촛불행진으로 진행
- 야스쿠니반대도쿄촛불행동 10주년을 총괄하는 행사로 자리매김
- 부대행사 : “동아시아의 야스쿠니즘-홍성담 연작 ‘야스쿠니의 미망(迷妄)’전시회, 7월 25일(
토)~8월 2일(일), 도쿄 브레히트 극장
• 야스쿠니 Q&A 제작, 보급
- 야스쿠니 문제를 쉽게 알리기 위한 홍보용 소책자 제작, 보급
- 한국어판, 영어판 각 1,000부 제작. 국내 행사 및 독일캠페인을 활용하여 보급
- 야스쿠니 문제의 국내외 인식 제고를 위한 홍보 및 교육 자료로 활용
• 한국전쟁기 민간인학살피해자 2차 유해발굴
- 2015년 2월 23일(월)~3월 2일(월) 대전 산내면 골령골
- 연구소 대전지부를 비롯한 대전지역 시민단체로 구성
된 한국전쟁기대전산내민간인학살유해발굴공동대책위
원회와 협력하여 진행
- 최소 20구의 유해 출토, 유해발굴지역 보존과 향후 발
굴을 위한 운동 지속
- 조사보고서 발간 및 보고대회 진행(6월 18일, 국회)
- 지역 시민단체와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발굴의 성과를
지속적인 지역운동의 토대로 활용할 수 있는 기반 마련
한국전쟁기 민간인학살 유해발굴 공동조사단
32 민족문제연구소 2016년 정기총회
• 재일동포 정치범 사건(11.22사건) 40년 기념 토론회
- 2015년 10월 19일(월) 프레스센터 19층 기자회견장
- 주제 : “우리는 왜 ‘간첩’이 되었나?”-재일동포 정치범 사건을 통해 본 한국 사회와 재일동
포의 삶
- 11.22사건 40년을 맞아 이 사건의 역사적 의미를 재조명하고 재일동포 사회와 한국 사회의 관
계, 현재 조작간첩의 실태를 밝힌다는 취지로 기획
- 재일동포 정치범 사건 재심 변호인단과 공동으로 주관, 연구소 등 과거사 제 단체 공동주최
- 피해 당사자의 증언과 연구자, 법률가, 기자 등 관계자들의 토론으로 진행
- 이 사건에 대해 한국 사회에서 본격적으로 조명하는 첫 시도로서 큰 의미가 있었음
포럼 진실과 정의
33
업무감사
보고
2015년은 한국사 국정화 파동을 계기로 민족의 역사가 왜곡되는 것에 대해 방관할 것인가 아니면 저항할 것인
가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에 전국민이 응답해야 했던 한 해였습니다. 또한 이러한 시련을 통하여 민족문제연구
소가 우리나라에서 얼마나 소중한 민족의 보배인가를 보여주었던 한 해였습니다.
다만 민족문제연구소의 주력사업인 역사관 건립 추진과 친일문제연구총서 발간사업에 괄목할 만한 진전이 없
어 아쉬움을 남긴 한 해였습니다.
1. 연구 및 편찬 부문
2015년에도 연구소 본연의 업무인 연구 부문에서 <일제침탈사 자료조사연구>에 따른 인명피해조사, 구술, 국
역 부문과 DB 구축 등 성과가 계속 축적(2015년 12월 현재 230만여 건)되고 검수되고 있음을 확인합니다. 특
히 (일본내각) 관보 자료의 조사 검색 등 눈에 띄지는 않지만 중요한 진전이 이루어지고 있었습니다.
일제식민통치기구사전과 재일조선인단체사전 편찬사업은 상당부분의 성과가 축적되어 곧 발간될 것을 예
상합니다. 그리고 화성지역 독립운동 관련 역사콘텐츠 개발 3차년도 사업도 마무리 단계에 이르렀음을 확인하
였습니다.
초고가 완성되어 출간을 앞두고 있는 항일음악 관련 자료집은 흥미있는 음악 분야 자료입니다.
친일인명사전(전3권) 발간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보완, 검수하는 중이지만 친일문제연구총
서로 기획한 단체사전 / 기구사전 / 해외편 / 보유편 등의 순차적인 출간이 순조롭게 진행되기를 기대합니다.
2016년에는 민족문제연구소 회원들과 연구소를 바라보는 국내외 많은 사람들의 열망과 기대를 충족하여 주시
기를 바랍니다.
2. 자료실 부문
2015년에는 자료기증 캠페인이 많이 활성화 되어, 예전보다 더 많은 개인과 단체의 자료기증이 있었습니다. 다
양한 경로로 지속적으로 소장유물이 늘어가고 있지만 중요한 것은 민족문제연구소 고유의 콘텐츠 확보를 통한
미래 역할의 확립에 있음을 늘 주지하고 있어야 하며, 여러 가지 사정으로 어렵더라도 민족문제연구소의 미래
자산인 <역사관>에 필요한 역사 자료의 확보를 위한 노력과 예산 배정은 더 늘려야 합니다. 그리고 감사장과
기증 확인서 등 자료 기증자에 대한 예우가 충실히 이행되고 있는 점을 평가합니다. 하지만 민족문제연구소 소
장 자료에 대한 목록화 / 아카이브화 작업은 중요한 일이며 비용과 인력을 더 투입하여야 합니다.
당연한 일이지만 주목할 만한 사항은 2015년에도 중요기관으로부터 친일 관련 조회가 지속적으로 있었고 특
히 교육부가 추진한 이달의 스승 선정과 관련한 최규동 사건 등과 여성가족부가 주관한 ‘어린이 홈페이지’ 수
록 역사인물 관련 행적조사 의뢰는 우리나라에서 친일 관련 사항을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유일
감사 최수전
34 민족문제연구소 2016년 정기총회
한 기관이 바로 우리 민족문제연구소임을 나타내는 사건들입니다. 새삼 민족문제연구소의 진가를 자타가 공인
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자부합니다.
2015년은 한일협정 50년과 해방 70년이었지만 메르스 여파 등으로 활발한 행사는 이루어지지 못하였습니다.
다만 학교로 찾아가는 독립운동 전시회나 서울역사박물관에서 열었던 광복 70주년 특별기획전 ‘남산의 힘’, 군
산근대박물관의 광복 70주년 ‘나라를 잃었던 자들아 그날을 기억하라’ 수원박물관의 ‘수원, 수원 사람들의 독립
운동’전 등에 자료 대여 등으로 기여한 점은 눈에 띕니다. 그리고 독일 본에서 열린 제39차 유네스코 세계유산
위원회 현장에서 ‘부(負)의 세계유산과 미래 가치’ 특별전을 개최하여 국제사회에 전범기업의 강제동원 사실을
홍보하고 이를 반영시킨 일은 주목할 만한 성과라고 하겠습니다.
3. 출판, 영상 구술 사업 부문
연구소의 출판 사업으로 전문학술지인 역사와책임이 2011년 창간 이래 2015년에는 출간이 지지부진하였습
니다. 이는 일제강점기 등에 대한 민족문제연구소의 독보적인 연구역량이 외적으로 표현되는 학문적 결과이며
민족문제연구소가 관련 학계에서 연구단체로서 위상을 확립하는 데 꼭 필요한 학술지입니다. 따라서 학술지로
서 위상을 확보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등재지 요건 충족을 위한 노력은 여러 가지 내외 사정으로 어려운 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향후의 위상을 고려하여 노력하여야 합니다. 활동단체로서 대중성을 감안하더라도 민족문
제연구소가 연구단체로서 존속하려면 그에 맞는 위상을 가져야 합니다.
그리고 2012년 발표한 <백년전쟁> 시리즈는 한국 현대사에 목마르고 접근하기 힘들었던 수많은 국민들 특
히 청소년들에게 신선한 감동으로 다가왔습니다. 여러가지 사정으로 다큐제작이 중단되고 있으나 이를 잇는
좋은 작품들이 지속적으로 나타나야 합니다. 좋은 작품들은 혁신적인 매체인 유튜브를 통해 더욱 확대, 확산
될 것입니다.
2015년 여성 광복군 지복영의 회고록 민들레의 비상 출간과 독립운동가 김예진 선생 부인 한도신의 회고록
재출간 추진 그리고 친일군인의 출간 추진은 대중들의 한국 현대사에 대한 관심을 끌 만한 기획입니다. 앞
으로도 생생한 증언과 기록 등 살아있는 역사와 이에 연관된 창작활동으로 깨어있는 시민들의 지속적인 관심
을 끌만한 작품들이 계속 나와야 합니다. 서울시의회에서 2015년 서울지역 중고등학교 585곳에 친일인명사전
을 보급하는 예산안을 통과시켰으며 2016초 일선 학교에 배포가 추진되고 있음은 고무적인 일이나 한편으로
당연한 일이기도 합니다. 민족문제연구소의 진정한 가치는 결국 많은 사람들의 마음을 울리게 되어 있습니다.
4. 교육 홍보 및 사무국 조직 관리 / 인터넷 부문
2015년에는 2013년 시작한 교육 / 홍보사업의 지속이 눈에 띕니다. 시민강좌와 역사기행 등 시민들에게 가까이
다가서려 하는 시도는 참가 인원의 다소를 떠나 지속적으로 하여야 더 많은 성과와 보람을 거둘 것으로 봅니다.
2014년은 민족문제연구소의 자립 기반을 위한 <진성회원 만명 달성>에 도달한 한 해였습니다. 이후 2015년
12월 말 현재 연구소 진성 회원은 11,974명(특별 회원 제외)에 달하였습니다. 그리고 민족문제연구소 상근 인
35
력풀의 제한을 넘어, 회원들이 갖고 있는 SNS 역량을 모아서 상황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생적인 자체
조직을 만드는 노력이 있어야 합니다. 비용 대비 효과가 좋으며 그리고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내며 보다 효
과적이고 친숙한 소통 경로가 되기 때문에 더욱 중요합니다. 이와 연관하여 친일인명사전과 ‘백년전쟁’ 같은
앱 개발과 확산에 좀 더 세심한 노력과 체계화된 홍보전략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대한민국의 보배인 민족문제
연구소 상근 직원들의 금연 노력은 2015년 초 담뱃값 인상에 따른 효과의 영향으로 진전이 있었던 해였습니다.
인터넷 보안 강화에 항상 신경써야 하며 주기적인 전기 안전 점검, 화재 예방 등에 유의하여야 합니다. 또한 다
른 시민단체에서 발생하는 성희롱 등과 같은 사건이 일어나지 않도록 성희롱 예방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
고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2015년에도 각 지부에서는 맹렬한 활동을 전개하였습니다. 국정한국사 저지운동에서 보여준 활약은 전국적이
어서 특히 주목을 받았습니다. 사무국의 지부 지원활동은 더욱 강화될 필요가 있습니다. 2015년 7월 24일 부민
관 폭파의거 70주년기념 의거 현장 재현 기념식, 기념공연은 민족문제연구소가 갖고 있는 역사적 콘텐츠를 비
주얼화한 흥미있는 기획이었다고 평가합니다.
5. 역사관 건립위원회 부문
역사관 건립에 관하여 가시화를 소망하고 있는 민족문제연구소 회원들에게 2015년은 많은 아쉬움이 남는 해였습
니다. 비록 강북구의 근현대사기념관 위탁 운영에 대한 협정 등으로 민족문제연구소의 외연이 넓어지는 효과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지금 현재 상황은 엄중하며, 2016~2017년으로 이어지는 국내외 경제 경착륙 우려로 인해
역사관 건립 과정인 부지 매입과 예산 투입은 당분간 경제 환경의 추이를 고려하여 신중하게 결정하여야 합니다.
6. 보추협 / 임종국선생기념사업회 및 연대사업 부문
태평양전쟁피해자보상추진협의회 사업과 임종국선생기념사업 그리고 조문기 전 이사장님 기념사업과 신흥무관
학교기념사업 등은 민족문제연구소의 지향에 부합하고 영역을 확대할 수 있는 중요한 사업입니다. 그리고 다음
스토리 펀딩 사업도 시작은 미약하지만 앞으로 반향이 클 수 있는 사업입니다. 퇴행적인 시대 상황인 역사 국
정화 파동에 대해 결연하게 대응하고 있음은 민족문제연구소의 존재 의미와 직결됩니다. 2015년 8월 10일 있
었던 영화배우 조진웅의 홍보대사 위촉은 시의적절한 시도였다고 생각됩니다.
2009년 전 회원의 열망과 임종국 선생님의 유지를 받든 친일인명사전이 간행된 이래 연구소는 한국뿐 아니
라 아시아와 전 세계로부터 주목받는 NGO가 되었습니다. 민족문제연구소는 이제 잘못된 한국의 역사 흐름을
바로잡고 미래 세대의 바른 역사 인식을 위해 노력하는 자타가 인정하는 대한민국의 가장 중요한 NGO입니다.
민족문제연구소의 가장 중요한 고유 사업인 친일문제연구총서 완간과 미래세대를 위한 ‘시민역사관’ 건립의
진전, 나아가 동북아의 평화를 위해 더욱 노력하는 2016년이 되기를 바랍니다.
36 민족문제연구소 2016년 정기총회
회계감사
보고
사단법인 민족문제연구소
회원 및 이사회 귀중
2016년 3월 12일
본 감사는 사단법인 민족문제연구소의 2015년 12월 31일로 종료되는 회계연도의 재무보고자료
를 감사하였습니다. 본 감사는 독립적인 입장에서 동 재무보고자료에 대하여 감사를 실시하고
그 적정성 여부에 대하여 의견을 표명합니다.
이를 위하여 본 감사는 전반사항에 대해서는 사단법인 민족문제연구소의 정관을 준수하였으며
재무보고자료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회계감사기준을 준수하였습니다.
본 감사의 의견으로는 상기 재무보고자료는 사단법인 민족문제연구소의 2015년 12월 31일로 종
료되는 회계연도의 재무현황 및 수지내역을 중요성의 관점에서 적정하게 표시하고 있습니다.
감 사
공인회계사 임 명 호
37
단위 : 원
과 목 제 20(당)기 제 19(전)기
자 산
Ⅰ. 유동자산 901,598,429 1,060,739,756
(1) 당좌자산 901,598,429 1,060,739,756
현금 172,550 479,920
보통예금 158,140,640 158,081,904
정기예 ·적금 530,000,000 530,000,000
미수수익 6,007,404 7,962,945
미수금 205,000,000 326,352,430
단기대여금 - 32,000,000
선급비용 327,265 313,157
가지급금 469,170
선납세금 1,481,400 5,549,400
Ⅱ. 비유동 자산 136,145,954 127,914,179
(1) 유형자산 9,067,483 9,210,406
차량운반구 20,954,326 1,000 20,954,326 1,000
감가상각누계액 20,953,326 20,953,326
비품 33,841,600 9,066,483 29,443,300 9,209,406
감가상각누계액 24,775,117 20,233,894
(2) 무형자산 1,978,471 3,603,773
소프트웨어 1,978,471 3,603,773
(3) 기타비유동자산 125,100,000 115,100,000
임차보증금 등 75,100,000 65,100,000
장기금융상품 50,000,000 50,000,000
자산 총계 1,037,744,383 1,188,653,935
부 채
Ⅰ. 유동부채 165,955,633 358,351,284
미지급금 35,129,805 29,148,620
예수금 5,955,440 4,712,970
퇴직급여충당부채 124,870,388 324,489,694
부채 총계 165,955,633 358,351,284
순 자 산
Ⅰ. 제약이 없는 순자산 291,788,750 250,302,151
Ⅱ. 제약이 있는 순자산 580,000,000 580,000,000
기본금 50,000,000 50,000,000
법인발전기금 530,000,000 530,000,000
순자산 총계 871,788,750 830,302,651
부채 및 순자산 총계 1,037,744,383 1,188,653,935
재무
상태표
• 제 20 기 : 2015년 1월 1일부터 2015년 12월 31일까지
• 제 19 기 : 2014년 1월 1일부터 2014년 12월 31일까지
38 민족문제연구소 2016년 정기총회
단위 : 원
과 목 제20(당)기 제19(당)기
제약없는 순자산의 변동
Ⅰ. 총 수 입 1,820,035,830 - 1,628,636,107
기부금수입(회원회비, 일반기부금) 1,470,074,944 1,119,062,324
역사관건립기금 1 - 143,774,217
용역사업수입 2 237,750,000 255,684,000
기타사업수입 3 38,254,774 56,213,420
공동수행사업수입 4 33,930,000 15,590,000
이자수익 13,044,882 34,993,396
잡이익 3,981,230 3,318,750
고유목적사업준비금수입 23,000,000 -
Ⅱ. 총 비 용 1,778,549,231 1,813,963,795
1) 사업비 233,188,479 - 281,983,332
회원사업비 143,480,100 166,047,002
기획사업비 29,252,979 76,519,580
연대사업비 60,455,400 39,416,750
2) 편찬 및 연구사업비 1,119,356,036 - 1,153,303,604
인건비 5 717,042,495 614,827,491
퇴직급여 49,744,300 374,263,440
저작권료 6 150,000,000 -
소모품비 23,525,211 18,433,150
여비교통비 1,131,030 1,947,590
자료구입비 37,885,775 11,338,540
도서인쇄비 765,500 3,153,550
4대보험 법인부담금 61,975,400 57,844,730
교육훈련비 - 5,102,660
통신비 5,918,420 8,572,720
회의비 6,562,680 5,718,120
지급수수료 28,221,805 36,551,783
운영
성과표
• 제20기 : 2015년 1월 1일부터 2015년 12월 31일까지
• 제19기 : 2014년 1월 1일부터 2014년 12월 31일까지
39
과 목 제20(당)기 제19(당)기
복리후생비 18,335,830 15,549,830
연구조사비 18,247,590 -
3) 프로젝트사업비 261,794,203 - 297,711,189
용역사업비 222,846,645 286,167,619
공동수행사업비 38,947,558 11,543,570
4) 일반관리비 140,390,833 - 80,965,670
세금과공과 789,690 875,180
지급임차료 110,459,000 53,394,000
지급수수료 6,491,951 2,292,020
보험료 1,000,442 849,591
수도광열비 9,003,910 9,171,090
감가상각비 4,541,223 8,059,098
무형고정자산상각 1,625,302 2,960,477
차량유지비 2,493,325 3,189,055
수선비 1,026,000 -
잡비 336,550 80,000
잡손실 2,623,440 95,159
5) 고유목적사업준비금전입 23,000,000
6) 법인세등 819,680
제약해제 등에 의한 변동
제약없는 순자산의 증감 41,486,599 - (185,327,688)
제약있는 순자산의 변동 - -
역사관건립기금 - (614,813,159)
순자산의 증감
순자산의 증가 41,486,599 - (800,140,847)
기초 순자산 830,302,151 1,630,443,498
기말 순자산 871,788,750 830,302,151
1. 역사관건립기금은 서울시교육청의 지적에 따라 시민역사관건립위원회로 이관하였습니다.
2. 연구프로젝트, 외부공모사업, 인물정보조회 등의 수입입니다.
3. 국정화반대신문광고모금, 답사 강좌 참가비 등입니다.
4. 한국전쟁기민간인학살피해자 유해발굴, 한일시민선언실천협의회 등 연대사업 관련 수입입니다.
5. 상근 연구자·활동가(33명) 급여 등 인건비입니다.
6.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에 지급한 친일인명사전 저작권료로 전액 역사관건립기금으로 적립됩니다.
41
2016년 사업계획
42 민족문제연구소 2016년 정기총회
사업방향
- 창립25주년 제2의 도약을 위한 기반 구축과 장기 발전계획 수립
- 동북아 과거사문제 해결과 시민사회 교류협력을 위한 네트워크 강화
- 전시·출판·교육사업 확대를 통한 역사대중화 주력
5대 핵심과제
• 창립25주년 기획 사업
- 창립25주년 기념‧식민지역사박물관 건립 후원의 밤 개최
- “우리사회 민주시민의 지표 1만 회원 의식조사”와 관련 심포지엄 추진
- “청년이 청년을 찾습니다” 청년 회원 확대 캠페인
• (가칭)‘식민지역사박물관’ 개관 준비
- 건립기금 모금 완료와 박물관 건립
- 전국 회원 대상, 연구소 25년 활동 자료 기증운동 전개
- 찾아가는‘식민지역사박물관’ 건립설명회 전국 순회 개최
- 일본 등 해외 근현대사 자료 수집 확대
• 역사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사업 추진
- 근현대사인물정보 데이터베이스 확대 개편
- 연구소 생산, 수집, 발간 기록물의 체계적 관리 시스템 개발
- 동북아 과거청산 데이터베이스 개발과 디지털자료 공유 국제네트워크 시스템 구축
• 친일문제연구총서 편찬
- 재일조선인단체사전 발간
- 일제협력단체사전 개정 증보판 편찬 추진
- 친일문제 대중서 발간
• 한·일 극우세력의 역사왜곡에 대한 대응
- 국정 역사교과서 왜곡 사례 분석과 국정제 폐지운동 전개
- 역사변조에 대한 전면 대응 및 친일파 기념사업 저지
- 일본 정부와 우익의 역사 도발에 대한 국제연대 구축
43
• 주요사업
사업명 기 간 내 용
재일조선인단체
사전
편찬사업
2016.1
~12
- 한·일 역사학자 공동으로 지난 5년간 추진했던 재일조선인단체사전 편찬사업
마무리
- 1~7월 번역 및 원고 교정・교열, 8~11월 최종 검수 및 편집, 12월 발간
일제협력단체
사전 : 국내 중앙편
개정증보판
2016.8~
2017.12
-2004년 12월 발간 당시 ‘독보적인’ 자료로 평가받음
-연구소, 외부기관 등의 자료‧DB 축적으로 개정 필요성 대두
-초판보다 엄밀한 집필기준 적용, ‘협력단체’ 엄선
-초판 구성 : 총 343개 단체
① 제1편 대한제국기(1904∼1910): 정치·사회(44), 경제(38), 교육·언론(10), 종
교(7) 등 총 99개 단체
② 제2편 일제강점기(1910∼1945): 정치·사회(80), 경제(54), 교육·언론(23), 종
교(38), 문화·예술(49) 등 총 244개 단체
조선총독부
고위 공직자
증언 자료집
(녹음기록) 발간
2016.1
~12
- 2007~11년 ‘일제 침탈사 조사·연구’ 프로젝트 성과물 중 조선총독부 고위 공직
자 녹음기록(미공개자료) 번역 출간
- 미간행 2~8권 중 2권(46배판 250쪽) 출간
- 번역완료. 1~10월 교열・교정, 10월 편집, 11월 발간
일본원로학자
구술자료집 발간 2016.1~8
- 2007~11년 ‘일제 침탈사 조사·연구’ 프로젝트 성과물 중 일본인 학자 8명의 한
국사관련 구술자료집(신국판 270쪽)
- 번역완료. 1~6월 교정·교열, 7월 편집, 8월 발간
대중서 발간사업 2016~
- 친일군인 등 친일문제 및 한국근현대사 주요 쟁점에 대한 대중서 발간사업
- 총 100여 권을 목표로 올해부터 순차적으로 추진
- 1~3월 기획, 4월부터 추진. 올해 3~4권 목표
• 근현대인물정보 DB 시스템 구축과 사전 검수
사업명 기간 내 용
근현대인물정보
데이터베이스(DB)
구축 및 검수
2016∼
- 연구소 역사정보 DB 개선
① 구축된 DB의 정확도 제고
② 사료 DB의 체계화
- 자료 디지타이징(Digitizing) 사전 조사
① 소장자료 전체를 대상으로 원본 확인의 효율성 제고
② DB 개선에 필요한 대상자료 우선 착수
- 국내외 자료 조사 및 수집
① 일제시기∼해방 이후 각 부문 관련 자료
② 친일 및 독립운동 관련 자료
- 신규 DB 입력 및 매뉴얼 작성
① 친일문제연구총서 편찬 사업을 위한 토대 구축
② 전문 인력 투입, 양적·질적 수준 향상
※ 인력 확충 및 예산 확보 필요
연구·편찬
44 민족문제연구소 2016년 정기총회
친일인명사전
검수 2016∼
- 개정증보판 및 보유편 발간을 위한 검수 작업
① 귀족·중추원·관공리·사법·경찰·친일단체 등 진행 중
② 종교·문학·음악(무용)·미술·연극영화·해외 등 특수분야는 전문분과 재가동
- 최신 연구성과와 추가 발굴자료 반영
① 누락·오기 등 개인정보 수정
② 서술의 일관성을 위한 통합 매뉴얼 작성
③ 검수 작업 중 보유편 추가 인물 정리
- 주요 자료 조사·검색
※ DB 구축 및 검수와 연계
• 교육홍보팀
1. 역사기행
- 교과서 문제와 관련된 주제로 기획답사 진행 : 군산·김제 답사 연1회 정례화 검토
- 지방 1~2회 / 서울 2회 예정
2. 강좌
- ‘식민통치기구 사전’ 발간 특별 강좌 + 관련 역사현장 답사(2회 예정)
- 역사현안과 관련한 시민강좌 개설
3. 민족사랑
- 매달 5일 전후 발간 목표
- 역사관 건립과 연구소 창립 25주년에 초점
- 미리보는 식민지역사박물관 : 표지에 칼라로 자료 부각
- 신설 : 내가 본 연구소 / 이달의 친일파
- 사건과 인물 : 연구실 ․ 편찬실 담당
4. 뉴스레터·SNS
- 뉴스레터 주 1회 발행 정례화
- SNS 위원회 조직
- 트위터 팔로워 10만 돌파 목표
• 기록정보팀
1. 기록관리체계
교육홍보
45
▪ 기록물 조사(3월~6월)
- 시민역사관 및 연구소 30년사 편찬을 위한 기록물 조사
- 부서별, 개인별 조사계획 수립과 기록물 전수조사
- 분석을 통한 출처별, 업무별, 유형별, 사업별 기록물 분류
▪ 기록관리체계 수립(7~10월)
- 부서별 직무분석, 개인별 사무처리 분석, 소장 기록물 및 데이터 분석
- 기록 생산체계 정비, 현용기록 관리, 기록물 이관 방안 마련
- 기록관리 규칙 제정, 매뉴얼 작성
- 부서별 기록관리 담당자 지정, 기록관리 교육 진행
▪ 기록물 정리(11월~12월)
- 출력 기록물 디지털화 계획수립 및 실시
- 미출력 데이터 출력 계획수립 및 실시
- 기록물 정리 및 이관방안 마련
- 디지털 자원 백업 방안 마련
- 인트라넷 - 민연DB - NAS 시스템 정보 연계 방안 마련
2. 영상
▪ 촬영
- 행사 / 강좌 ․ 답사 / 인터뷰 ․ 구술 / 집회 ․ 기자회견
▪ 제작
- 행사 상영용
- 이슈 ․ 홍보용(역사교과서국정화 반대 홍보영상, 시민역사관 등)
- 20세기 현장답사 시리즈물 : 편당 5분 내외, 월 1편 제작
- 역사다큐 기획 및 제작 : 30분 내외, 연 1편 제작
• 식민지역사박물관 건립 사업
1. 건립준비단계(1월~6월)
▪ 운영조직 정비
자료실
46 민족문제연구소 2016년 정기총회
- 법인 정비 / 법인 조직 구성
▪ 소장자료 현황 파악 및 수집(3월~6월)
- 자료 등록, 상세해설 및 정보화 사업
- 자료 기증 및 수집(~12월)
- 자료 복원·보존처리
▪ 임시역사자료관 이전 계획 수립
- 식민지역사박물관 건립 일정 확정
- 이전 준비
▪ 전시 기본계획 수립(4~6월)
- 전시 전문가 회의 구성 / 기본 콘셉트 구성 / 유물 분석
2. 건립단계(7~12월)
▪ 전시 콘텐츠 설계
- 전시 콘텐츠 구성 / 전문가 자문 회의 개최
▪ 홈페이지 구축
- 박물관 홈페이지 신설 / 자료검색 서비스
3. 개관준비단계 (2017.1월~)
- 소장품 전시 / 박물관 등록 / 특별전 등 개관 기념행사 준비
• 강북구근현대사기념관 위탁운영
1. 위탁운영
- 2월 위탁운영 계약, 위탁 운영 개시
- 인력 채용(3월 중 6명 : 명예관장, 학예실장, 시설관리, 업무보조 3명)
- 운영계획서 제출
2. 전시설계
- 전시 설계 시공(3월말~4월 중순)
- 콘텐츠 구성 협의
- 교육 프로그램 등과 연계한 구성
3. 독립민주통일 상징조형물 건립 협약식
- 일시 : 2016.3.2. 오후 3시
- 장소 : 강북구청 기획상황실
- 역사정의를 생각하는 네티즌들(오늘의 유머 / 웃긴대학 : 모금제안자 – 유정호·김윤민)이 모
금한 기금 3천만원 전달
47
- 강북구 부지 제공, 김운성‧김서경 작가 선정
4. 사업프로그램
- 개관 기념 특별전 기획
-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진 확보
- 교육 홍보 책자 발간
- 자원봉사자 조직
• 구술수집사업
1. 한국전쟁기 전북 임실 민간인학살 사건 피해자·유족 증언 수집
- 진실화해위원회 미신고 유족 등 70여명 증언 수집, 녹취록 작성
- 한국전쟁기 전북 임실 민간인학살 사건 보고서 편찬
- 전북 임실유족회 후원
2. 한국전쟁기 민간인학살 사건 피해자·유족 증언 추가 수집 사업
- 전북 고창유족회, 순창유족회에서도 구술수집 사업 의뢰
- 전남 나주 다도 학살사건 유족들 구술수집 사업 의뢰
• 회원사업
1. 연간 회원 참여 행사(답사, 전시회, 역사강좌 등) 진행
- 학교로 찾아가는 독립운동 이야기 전시회 및 친일항일음악회 / 신흥무관학교 옛터 답사(러
시아, 백두산 등) / 백범 어린이학교(청년백범 공동주최) / 제주 4‧3 역사 캠프 / 서전서숙 설
립 110주년 기념 학술회의 및 충북 진천 답사 / 울릉도·독도 탐방 / 각 지부별 지역 답사 지원
2. 여름수련회
- 6월 11일(토)~12일(일) 또는 18일(토)~19일(일), 장소 미정
- 2015년 메르스로 연기된 충북 제천 우선 고려 / 큰들문화예술센터의 찬조 공연
- 역대 최다 인원(400명) 참가 목표
3. “청년이 청년을 찾습니다” 청년회원 배가 운동
- 25살 청년의 나이가 된 연구소, 20대 청년 회원 배가에 주력
- 청년 활동 지원 사업 다각화 모색
사무국
48 민족문제연구소 2016년 정기총회
4. 우리사회 민주시민의 지표 1만 회원 의식조사와 관련 심포지엄 개최
- 1만 회원 대상 민주시민 의식 설문조사
- 설문결과 분석을 토대로 관련 심포지엄 개최
5. 지부·지회 개편
- 서울강북성북지부, 서울도봉노원지부, 서울강동송파지부, 경기용인지부, 경기화성지부, 경기
광명지부, 경남창원지부 창립 지원
- 중소도시 지회 설립 및 활동 지원(공주, 원주, 강릉, 오산, 평택, 안성, 당진 등
6. 지부·지회 역량 강화 지원
- 지부 실무자 역량 강화 워크숍 개최(권역별)
- 모범지부 활동 사례 전파
- 비영리민간단체등록 업무 지원
7. 회원가입·회비증액 운동
- 1+1 손잡고 오기 운동 전개
- 전화홍보(TM), 직접 우편(DM) 등 활용
• 공익사업
1. 친일인명사전 항일음악 자료집 보급
- 교육현장 조직적 보급 추진
- 연구소 발간도서 오디오북 제작 사회공헌 사업 추진
2. 민주주의국민행동, 다시민주주의포럼, 총선시민네트워크 등 연대기구 활동 참여
- 총선 국면을 맞아 여러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는 민주주의 회복 운동에 동참
- 지부 및 청년·대학생 단체와 연대
3. 중앙선 ‘신원역→몽양역’ 개명 운동 지원
- 몽양여운형선생 생가 앞 전철역명(신원역 → 몽양역) 변경 캠페인 추진
- 경기동북지부, 몽양여운형선생기념사업회, 양평지역 시민사회단체 등 관련 단체와 연대
49
도서명 내 용
일제식민통치
기구사전 1 :
통감부·조선총독부
친일문제연구총서 편찬사업 일환. 학계 최초 일제식민통치기구를 분석, 정리한 학술사전
구성 : 총론, 사전항목 245개, 부록, 색인
내용 : 각 기구의 설치 목적, 조직과 기능,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서술
항일음악 350곡집
(가제)
- 개항기∼일제시기 항일‧친일음악 자료집 기획. 항일음악 우선 발간
- 한국음악연구소 소장 노동은 교수가 원고 집필 및 검수
- 악보와 가사(현대문·원문), 간략 해설, 출전 등을 수록
- 구성 : ① 1860∼1900년대 92곡, ② 1910년대 101곡, ③ 1920년대 67곡, ④ 1930년대 43곡,
⑤ 1940년대 47곡
독립운동가
김예진 선생 부인
한도신 회고록
재출간
- 1996년과 2010년에 각각 돌베개, 쿰란출판사에서 출간되었던 한도신 회고록을 아들 김동수
씨와 교섭하여 재출간 합의
- 한도신 여사와 김예진 선생의 독립운동자료 및 사진자료를 보강하고 독립운동가와 사건에
대해 상세한 각주 추가
눈물로 쏟아낸 사연
-일본에 아버지를
빼앗긴 유족 23인의
삶을 말하다
- 2013년부터 강제동원 피해 유족 인터뷰 진행
- 대를 이어 지속된 강제동원 피해의 실상을 유족의 생생한 육성으로 증언
- 강제동원 피해를 가족의 삶으로 재조명하는 최초 ‘유족’증언집
- 강제동원 피해유족 23명의 구술 인터뷰와 관련 자료정리·편집
거리에서
국정교과서를 묻다
- 2015년 11월부터 2016년 1월까지 한국사교과서국정화저지네트워크에서 진행한 ‘학생·시민과
함께 하는 거리역사강좌’ 내용을 엮어서 펴낸 책. 이만열, 이이화, 한상권 교수 등 한국사학계
원로와 중진들이 학생과 일반인 눈높이에서 한국사교과서 국정화의 문제점을 조목조목 설명
- 주제 : 1948년, ‘대한민국’ 수립인가 ‘대한민국정부’ 수립인가 / 국정역사교과서, 무엇이 문제
인가 / 국정교과서가 지우려는 독립운동사 이야기 / 국정화가 전체주의다 : 독일역사교과서
이야기 / 역사교과서의 대안을 탐색한다
계간
내일을 여는 역사
공동발행
내일을 여는 역사는 2000년 3월 창간된 대중역사잡지
- 2016년 봄호(통권62호)부터 내일을 여는 역사재단과 민족문제연구소 공동발행
- 연구소는 이를 통해 올바른 역사인식의 대중적 확산에 기여하면서 연구소의 활동영역을 넓
혀나가고자 함
- 통권62호 주요 내용 : 특집1-기획좌담 해방 70년의 역사적 성찰 / 특집2-‘이명박근혜’ 정부
의 공약(公約)과 공약(空約) / 역사확대경-보부상, 그들은 누구인가? / ‘3·1혁명’ 정명(正
名) 회복의 의미 / 예인열전-19세기 예원의 천재, 김정희(2)
역사와 책임
9호~10호
반년간 과거사청산 전문학술지로 자리매김
발간 정례화 목표
출판
50 민족문제연구소 2016년 정기총회
• 추진목표
- 2017년 개관
- 2016년 10억원 모금
- 개관준비 완료
• 개관준비 단계
1) 재원 조달 계획
- 시민모금 : 15억원(현재 모금액 7억원)
- 통일시대민족문화재단 기본재산 : 4억5천만원
- 친일인명사전 저작권료 : 7억5천만원
- 기타 민족문제연구소 출연금 등 : 1억원
- 내일을여는역사재단 기본재산 : 10억원 ※ 현재 보유액 : 30억원
2) 부동산 조사
- 서울시내 40억 내외 건물(현 금은빌딩 규모) 조사중
- 건물구입가 30억 내외 + 리모델링 10억 이내 예산
- 3~5월 경매·공매 물건 집중 조사예정
3) 일본 시민사회와 협력 강화
- ‘「식민지역사박물관」과 일본을 잇는 모임’ 활성화 지원
- 공동대표 : 히구치 유이치, 히다 유이치, 서승, 우쓰미 아이코, 안자코 유카 5명
- 사무국 주소 : 고려박물관 / 홈페이지 http://rekishimuseum.jimdo.com/
- 후원모금계좌 안내 전단지 제작‧배포중
- 단체별, 지역별, 개인별 건립후원금 모금
- 강제동원 진상규명 활동, 전후보상재판운동 시민단체 관련 자료 등 자료 수집운동 전개
- 관서지방 설명회 개최 검토
2016년 특별기구 사업계획
시민역사관건립위원회
51
• 추진일정
연 중 모금운동 본격화 : 전력 투입 대국민 홍보 및 모금운동 전개
유물수집과 기증운동 전개
3월~5월
부동산 조사 실시
창립25주년 기념·식민지역사박물관 건립 후원의 밤 행사 개최
강북구 근현대사기념관 개관, 특별전 개최
6월~8월
식민지역사박물관 자문위·전문위 구성
식민지역사박물관 전시기획 시작
건물 매입(식민지역사박물관 건물 확정)
9월~12월
전시설계 및 자료 준비
시설 공사 발주 및 착공
12월 건립기금 모금 종료
2017년 박물관 등록 / 실무조직 점검 / 개관식 / 개관기념 특별전
• 사업계획
▪ 연구소 사반세기 - 역사정의실천운동 자료 수집 캠페인
- 전국 회원 대상 소장자료 기증 캠페인 전개
- 대상자료 : 친일파 기념사업 반대, 일제잔재 청산, 일본정부와 우익의 역사왜곡 반대 등 실천
운동 관련 성명서, 사진, 지부 소식지, 홍보물, 서명용지, 깃발, 기념배지 등 지부활동 기록물
- 기증방법 : 직접 방문 또는 우편 발송
- 기증 자료는 식민지역사박물관 전시콘텐츠와 교육자료로 활용
▪ 찾아가는 ‘식민지역사박물관’ 건립 설명회
- 지방 회원들에게 직접 찾아가는 설명회 개최
- 건립계획, 추진경과, 소장자료, 조감도 등을 통해 박물관 건립 취지와 의의를 소개
- 토크쇼, 공연, 현장‘진품명품’등 다양한 이벤트 개최
▪ 식민지역사박물관 아카이브 구축
역사정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개선
- 연구소 소장 자료 활용과 연구 활동의 효율성을 위한 DB시스템 재정비
- 연구소 생산, 수집, 발간 기록물 관리시스템 개발
- 역사관 아카이브(Archives) 구축
연구소 소장자료
상세 목록 작성 및
해제
- 소장자료의 상세 목록화 및 해제 작업
- 자료 등록 현황 : 6만여 점
※ 도서, 고도서(사진첩), 문서(지도류), 엽서, 명함, 족자, 레코드, 사진, 동전, 훈장, 우
표, 박물류 및 각종 국내외 컬렉션 관련 자료 포함
52 민족문제연구소 2016년 정기총회
동북아 과거청산
데이터베이스 개발과
네트워크 시스템 구축
국내외 일제 식민지 시기 관련 기록물, ‘전후보상운동’ 관련 시민운동 기록물 수집을 통
한 식민지 전문 아카이브 구축
디지털 자료 공유를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 구축
▪ 시범사업 – 강북구 근현대사기념관 위탁운영
- 개막 특별전과 기획전 진행
- 시민강좌, 청소년 강좌 개최
- 전시와 연계한 역사교육 보조 교재 개발
• 제10회 임종국상 시상식
- 11월 중, 한국언론회관(예정)
- 수상 후보자 추천(8월), 예심 ‧ 본심(10월) 진행 예정
• 제27주기 추모식
- 11월 중, 천안공원묘원 무학지구 철쭉 4-1
- 시민, 학생이 참여하는 천안지역 유적답사 등 대중사업과 병행해 진행
- 충남지부·천안지회·아산지회 공동주관
• 대일 과거사재판
- 현재 진행중인 8개 재판 지원 활동 지속
• 기획사업
▪ 강제동원 한국인 희생자의 유해실태 및 DNA 조사 사업
- 아베 정권, 전몰 일본군 유해 수집조사 사업 확대, 최근 유해 발굴 송환 관련 법안에서 국적
조항(‘구 일본군’을 변경)이 추가되며 한국인 희생자에 대한 조사를 원천적으로 불가능하게
하는 움직임
임종국선생기념사업회
태평양전쟁피해자보상추진협의회
53
- 2014년 4월 유해발굴사업에 한국 유족 참여, 발굴유해의 DNA보존 등을 요구하는 서한 전달
- 일본 군군재판지원회(후루카와 마사키), 신일철 재판지원회(우에다 케이시) 등과 함께 白眞
勲, 福島瑞穂 참의원 등과 협의하여 법안 수정을 위한 활동중
▪ 강제동원 희생자 자료조사 사업
- 피해자 행적조사는 ‘국가기록원 명부확인 → 우편저금조사, 후생연금조사 → 사업체 보유 자
료조사 → 각 지역의 화장, 매장인허가 증 확인’순서로 진행
- 일본 기관 조사를 위한 개인정보 수집 ․ 정리 ․ 발송, 유족 구술조사 등을 지속적으로 진행
- 우편저금 기록을 보유한 일본 유초은행과 지역 후생연금센타 등의 민영화로 장애 요인 발생
- 최근 공탁금을 일괄적으로 일본국의 자산으로 귀속시키려는 시도가 있음
- 일본 유초은행을 대상으로 한국인의 통장 원본을 요구하는 방안 검토
▪ 일본 현지 증언회 ․ 유네스코 문화유산 등재시설 기록 상황 감시 활동
- 아베 집권 이후 해석개헌, 안보관련 법 개정 등 급격한 우경화, 군사대국화 진행중
- 일본 시민단체와 연대하여 동북아 평화 실현을 위한 국제 연대활동 전개
- 일본의 대일과거사 관련 행사에 강제동원피해자, 유족이 참가하여 피해를 증언하고 문제해
결을 호소
- 강제동원진상구명네트’와 연대하여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시설의 안내판 설치 상황을 확인
하고 지자체에 개선요구하는 감시 활동 추진
▪ 인권, 평화, 미래를 위한 동아시아 역사 시민대회 개최
- 20세기 불행한 동아시아 과거사를 극복, 역사화해의 과제를 세계시민과 공유하기 위한 국제
대회 대최
- 강제동원 피해 생존자의 체험담을 기록으로 남김으로써 미래세대를 위한 전승자료화
- 일본 전문가, 학자, 시민단체와 함께 강제동원 현장 조사 활동 성과 공유
-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선정된 강제동원 시설에 대한 현지 감시 활동 전개
- 강제동원 구술, 자료, 참고문헌 등 관련 정보와 강제동원 시설의 현재 상황을 확인 할 수 있
는 웹페이지 구축
54 민족문제연구소 2016년 정기총회
• 조직강화
- 지역네트워크와의 연계
- 부문별 네트워크 연계
- 거리강연 지역 확대, 전국 순회강연, 역사책 읽기 대회 등 추진
• 총선 대응
▪ 한국사교과서 국정화 저지 총선 TF팀 구성
- 총선 시기 제정당 및 정치세력 그리고 시민사회의 역사교과서 국정화 저지 방안을 강구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대안 모색
- 역사교과서 정상화를 위한 법률 개정운동
교과서 발행체제 전환 / 사회적 교육과정위원회 신설 / 역사교과서 국정제 폐지
▪ 2016 총선시민네트워크와 연대
- 낙천 ‧ 낙선자 명단 발표
- 총선 후보에 역사교과서 국정제 폐지,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 확보 등 메니페스토 제안
▪ 선전
- 한국사 국정화 관련 망언 인사 / 역사훼손 인사 공개
- 3·1 역사골든벨 개최
- 정당과 제정치 세력에 저지넷 입장 전달
- 스티커 제작 배포 등 대중 홍보활동 전개
• 국정교과서 편찬 일정에 따른 단계별 대응 투쟁
- 집필진 및 편찬 심의회 명단 공개 촉구
- 국정교과서 집필 편찬기준 공개 토론회 조직
2016년 연대기구 사업계획
사무국 민족문제연구소
역사정의실천연대(한국사교과서국정화저지네트워크)
55
• 6학년 1학기 국정 사회교과서 분석 및 대응
- 초등학교 6-1 사회교과서는 국정화 고시 이후 첫 역사교과서로 향후 국정교과서의 서술방
향을 예측하게 함
- 2014년 9월 실험본에서 수백 개의 오류와 편향성을 지적받은 후 보완 과정을 거쳐 나온 것임
에도, 분석 결과 여전히 다수의 오류와 문제점 발견
- 초등 6학년 1학기 국정 역사교과서 폐지 투쟁 및 ‘빨간펜 학습지도’ 캠페인 전개
- 역사교육 정상화를 위한 교사·교육청 등 교육 일선의 실천 방안 제시
• 홍보
- 범국민 역사책 읽기운동 개최
- 거리강좌 단행본 발간
- 국정화 반대 동영상 제작, 소책자 제작 / 보급
- 국정화 저지 투쟁 과정 시리즈 기고
• 대중운동
- 복면 집필자 찾아내기 캠페인
- 초청강연
• 기획 학술사업
- 신흥무관학교 설립 105주년 기념식 및 학술회의
- 2016년 6월 10일, 장소 미정
- ‘서전서숙과 독립군 양성’을 주제로 진행
• 행사 조직사업
- 서전서숙 설립 110년 기념, 신흥무관학교 옛터 답사 진행(러시아, 백두산 등)
- 서전서숙 설립 110년 기념, 충북 진천 답사(보재 이상설 선생 유적지)
신흥무관학교기념사업회
56 민족문제연구소 2016년 정기총회
• 야스쿠니반대 도쿄 촛불행동
– 야스쿠니 문제에 대한 국제연대 강화를 위한 연례 행사
– 8월 6일(토), 도쿄 YMCA 예정
– 심포지엄, 유족 증언, 콘서트, 촛불시위, 부대행사(홍성담 야스쿠니 연작 전시)
– 야스쿠니무단합사 철폐소송 원고 유족 대표 참가
• 한국전쟁기 민간인학살 3차 유해발굴
- 민간인학살 피해자 유해를 인도적인 차원에서 발굴, 국가가 외면하고 있는 진상조사 활동을
시민사회가 지속, 사건의 실상을 밝히고 관련 입법을 촉구하는 계기 마련
- 2014년 1차 발굴(경남 진주), 2015년 2차 발굴(대전 산내)에 이은 연속사업
- 2015년 11월 15일 시굴 결과 유해매장지 확인, 유해 일부 발굴
- 일정 : 2016년 2월 24일~3월 7일 충남 홍성군 광천읍 담산리 산 92번지
- 충남지부 등 시민단체 한국전쟁기민간인학살유해발굴 홍성대책위원회 조직
- 개토제 : 2016년 2월 25일 오전 10시
- 예산 : 1,500만원(주관단체 분담금, 시민단체 및 시민 모금, 다음 스토리펀딩 활용)
한국전쟁기 민간인학살 유해발굴 공동조사단
야스쿠니반대공동행동 한국위원회
57
2016년도 예산안
단위 : 원
과목 21기(2016년) 산출근거
Ⅰ. 총수입 2,026,400,000
기부금수입 1,584,000,000 11,000명 X 12,000원(평균금액) X 12개월
용역사업수입 357,000,000 근현대사기념관 위탁운영 등 프로젝트사업수입
기타사업수입 40,000,000 여름수련회, 강좌, 답사 등 참가비
공동수행사업수입 35,000,000 한국전쟁기민간인희생자 유해발굴사업 기부금 등
이자수익 10,400,000 기본재산, 예금 등 예상이자수익
Ⅱ. 총비용 2,026,400,000
• 사업비 267,000,000
회원사업비 187,000,000 정기총회, 여름수련회, 창립25주년 등 행사진행
비, 회보 제작발송비, 지부 사업비, 회원사업비
기획사업비 45,000,000 임종국상시상식, 강좌, 답사비, 구술진행비
연대사업비 35,000,000 연대기구 분담금 등
• 편찬 및 연구사업비 1,220,000,000
인건비 850,000,000 상근자급여(35명 기준), 기타인건비
퇴직급여 52,500,000
소모품비 26,000,000
여비교통비 1,200,000
자료구입비 57,000,000 자료, 도서구입 등
도서인쇄비 800,000
4대보험 법인부담금 62,000,000
교육훈련비 5,000,000 직무능력향상교육 등
통신비 6,500,000 전화, 인터넷, 운송비 등
회의비 7,000,000
지급수수료 30,000,000 CMS·지로·신용카드 등 수수료, 기타 사업수행
관련 수수료, 회원관리솔루션 월관리비
복리후생비 20,000,000 야근식대, 경조비 등
연구조사비 52,000,000 DB시스템 구축비 등
홍보·출판비 50,000,000 계간 <내일을여는 역사> 공동발행 등
• 프로젝트사업비 392,000,000
용역사업비 357,000,000 근현대사기념관 위탁운영 등
공동수행사업비 35,000,000 한국전쟁기민간인희생자 유해발굴 등
• 일반관리비 147,400,000
세금과공과 800,000
지급임차료 116,000,000 사무실, 창고, 복사기 임차료와 관리비
지급수수료 6,800,000 방범용역, 금융관련업무, 등본발급 수수료 등
보험료 1,000,000
수도광열비 9,900,000
차량유지비 3,200,000
수선비 1,300,000
잡비 400,000
예비비 8,000,000
58 민족문제연구소 2016년 정기총회
01.03 일본군‘위안부’ 김학순·황금주 할머니 추모제(오후12시 천안 망향의동산)
01.10 광주지부 신년회(싸목싸목카페)
01.14 서울중부지부 청소년을 위한 서울지역 답사(오전10시30분 중명전)
01.15 역사연대 과거사특위 운영위원회(오후6시 4·9재단)
01.17 신흥무관학교기념사업회 강원 철원지역 답사
01.19 상근자 워크숍(오후2시 연구소)
01.20 한일시민선언실천협의회 운영위원회(오후4시 연구소)
01.21 제주지부 총회 및 함세웅 이사장 초청특강(제주지부)
01.22 친일 군인 출판기획회의(오후5시 연구소)
01.23 포럼 진실과정의 확대 운영위원회(~24일 부산)
01.23 태평양전쟁피해자보상추진협의회 ‘나눔의집’ 방문
01.28 대구지부 총회(오후7시 대구지부 사무실)
01.29 대전지부 총회(오후7시 푸른채식)
01.29 고양파주지부 총회(오후7시 일산서구청 소회의실)
01.29 충북지부 장경욱 변호사 초청강연 ‘간첩, 누가 그들을 조작하는가?’(하늘북카페)
01.29 화성지역 독립운동 관련 역사콘텐츠개발 학술용역 최종보고회(오후2시 화성시 향토박물관)
01.31 운영위원회 워크숍(~2월1일)
02.03 과천의왕지부 창립준비모임(오후7시 과천 전통국시)
02.04 대전 산내면 한국전쟁기민간인학살피해자 유해발굴 기자회견(오후2시 대전시의회 회의실)
02.04 2013 ‘뉴라이트’ 교학사 한국사 검정통과 무효화 및 채택저지 활동백서 발간보고회(오후7시)
02.05 조문기 선생 7주기 추모식(오전11시 화성매송초)
02.05 역사연대 과거사특위(오전11시 4·9재단)
02.05 회계감사(오후3시 연구소)
02.10 과천의왕지부 창립총회 및 임헌영 소장 초청 특강(오후7시 과천시민회관)
02.10 수원지부 총회(화성박물관 시청각실)
02.11 업무감사(오후7시 연구소)
02.13 인천지부 총회 및 임헌영 소장 초청 특강(오후7시 부평구청 중강당)
02.14 한일시민선언실천협의회 한일전략회의(~15일 경희대 청운관)
02.14 1분기 운영위원회(오후2시 연구소)
02.16 제40차 이사회(오후5시 연구소)
02.22 제2차 한국전쟁기민간인학살피해자 유해발굴작업(~3월1일 대전 산내면, 23일 오전10시 개토제)
02.24 서울남서지부 창립총회 및 함세웅 이사장 초청특강(오후7시)
02.25 서울중부지부 총회(오후7시)
02.27 경기안양군포지부 창립총회(오후7시)
03.01 대전 산내 골령골 한국전쟁기 민간인학살 유해발굴 현황 설명 기자회견(오전11시30분 대전 산내면)
03.03 부천지부 총회(오후7시 부천담쟁이문화원)
03.04 제2차 야스쿠니무단합사 철폐소송 원고 본인진술(오전10시 도쿄지방법원 103호 법정)
03.05 제37회 한일·일한의원연맹합동총회 대비 원내집회(오후3시 일본 참의원회관 B101회의)
2015년 활동일지
1월
2월
3월
59
03.06 충남지부 총회(오후7시 홍성읍 한우본식당)
03.07 2015년 정기총회(오후2시 서울시청 서소문별관 후생동 강당)
03.13 식민통치기구사전 편찬회의(오후4시 연구소)
03.14 진주지회 기미년 3.18 만세운동 길걷기 행사
03.16 한일시민선언실천협의회 운영위원회(오후4시 연구소)
03.19 유해발굴특별법초안 기획회의(오후7시)
03.21 안중근의사 105주기 추모식(오후2시 효창원)
03.21 일본강제동원진상구명네트워크 전국집회(야마구치현)
03.22 인천지부 주최 ‘백범 김구 선생 발자취 따라걷기’ 행사
03.24 민주주의국민행동 발기인대회(오후6시30분 프란치스코교육회관)
03.26 한국전쟁기 민간인학살 2차 유해발굴 평가회의(오전11시 4.9평화재단)
03.26 재일조선인단체사전 편찬회의(오후2시30분 연구소)
03.26 신흥무관학교기념사업회 대표단회의(오후6시)
03.27 신일철주금 손해배상청구소송 5차 심리(오전10시20분 서울중앙지방법원)
03.28 고양파주지부 행주나루 선상 만세시위 재현행사(오전10시 행주나루 일대)
03.30 대법원 긴급조치 국가배상 판결 규탄 기자회견(오후2시 대법원 앞)
03.31 “교육부는 ‘이달의 스승’ 논란에 대해 반성하고 원점에서 재검토하라” 논평 발표
03.31 역사정의실천연대 과거사특위(오후6시 법무법인 지향)
03.31 부천지부모임(오후7시 담쟁이문화원)
04.02 수원지부 후원 수원민주주의시민아카데미 1강 : 동학과 갑오농민전쟁-이이화(오후7시 수원시 가족여성회관)
04.04 제천·단양지회 백년전쟁 상영회(오후4시 제천영상미디어센터)
04.07 포럼 진실과정의 운영위원회(오후7시 법무법인 지향)
04.08 근로정신대 피해자의 (주)후지코시에 대한 손해배상청구소송 2차제소와 미쓰비시, 신일철주금의 재상고 사건에 대한
대법원 판결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오후1시30분 민변)
04.09 수원지부 후원 수원민주주의시민아카데미 2강 : 3․1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한시준(오후7시 수원시 가족여성회관)
04.10 서울관악·동작지부 함세웅 이사장 초청강연(오후7시 관악청소년회관)
04.11 대전지부 서울 역사탐방(~12일)
04.16 수원지부 후원 수원민주주의시민아카데미 3강 : 항일무장투쟁, 의병투쟁, 의열투쟁-이준식(오후7시 수원시 가족여
성회관)
04.16 세월호 참가 1주기 추모 문화제(오후7시 서울광장)
04.17 세월호 촛불 기네스북 도전(오후6시 서울광장)
04.17 임실 민간인학살 생존자·유족 구술조사(~19일)
04.18 참사 1주기 전국 집중 범국민대회(오후3시 서울광장)
04.20 한일시민선언실천협의회 운영위원회(오후4시 연구소)
04.23 수원지부 후원 수원민주주의시민아카데미 4강 : 일제말 좌우연합전선과 국내독립운동-박한용(오후7시 수원시 가족
여성회관)
04.25 해방70주년 특별기획답사 :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26일 군산 김제)
04.25 제천단양지회 제천 독립전쟁 유적지 답사(오전10시)
04.28 한일관계재설정캠페인 유스포럼 평화기행단 방한(~5월1일)
04.30 수원지부 후원 수원민주주의시민아카데미 5강 : 해방과 정부수립운동-이규태(오후7시 수원시가족여성회관)
05.01 제5회 빼앗긴 어버이를 그리며-강제동원피해자 합동추모제(오전11시 천안 망향의 동산)
05.02 서울동부지부 주최 우리동네 역사찾기 : 왕십리 옛길따라 근대를 가다(오후2시 동묘)
05.06 야스쿠니반대 독일 촛불행동(~13일)
05.07 안산시흥지부 함세웅 이사장 초청강연 : 세월호 참사지역 안산에서 민주와 통일을 말하다(오후6시30분 안산시청 대회의실)
4월
5월
60 민족문제연구소 2016년 정기총회
05.08 안산시흥지부 주회 사할린동포 어버이날 행사(오전10시 안산 고향마을아파트 대강당)
05.12 서울강남서초지부 정연주 전 KBS사장 초청강연(오후7시 반포 봄이만든으뜸삼계탕)
05.13 서울강서양천지부 모임(오후7시 목동역)
05.14 경기군포안양지부 모임(오후7시 안양3동 태능갈비촌)
05.15 울산지부 모임(오후6시 화봉동 머물고싶은곳)
05.15 신일철주금 2차소송 7차기일(서울중앙지방법원)
05.19 서울서부지부 모임(오후7시30분 신촌 시골집)
05.21 고양파주지부 이이화 선생 초청강연 및 사무실 이전 개소식(오후7시)
05.22 임실 민간인학살피해자 및 유족 구술조사(~23일)
05.25 경기동북지부 몽양탄신기념행사(오전10시 몽양여운형선생생가기념관)
05.26 야스쿠니합사철회 2차 소송 원고 구두진술(~28일 도쿄지방재판소)
05.28 부산지부 ‘주권유린 평화위협 한미일 군사동맹 거부한다’ 기자회견(오전11시 부산 일본총영사관)
05.29 역사연대 과거사특위(오전11시 4.9재단)
05.30 경기북부지부 항일유적답사(오전10시 연천·포천일대)
05.30 서울중부지부 우리동네 역사찾기 ‘경성을 쏘다’ : 김상옥선생 의거 현장 답사(오후2시)
06.02 RTV 중징계 1심판결 비판 법학·역사학계 공개 의견서 2심 재판부 제출
06.08 일본 지식인 225인 ‘2015년 일한 역사문제에 관해 일본의 지식인이 성명한다’ 담화 발표
06.10 민주주의국민행동 창립대회(오후2시30분 프란치스코 회관)
06.10 신흥무관학교 창립104주년 기념식 및 학술회의(오후3시 신촌 다래헌)
06.17 한일협정 체결 50주년 학술회의 : 한일협정 ‘65년체제’의 극복과 동아시아 평화(오후1시30분 프레스센터)
06.17 일본 전범기업 유네스코세계유산 등재 관련 독일 전시·세미나 기획회의(오전11시)
06.18 6·25전쟁 민간인학살피해자 2차 유해발굴 보고 및 입법토론회(국회 의원회관)
06.19 한일협정50년 한일관계재설정 도쿄집회(~22일 도쿄YMCA)
06.20 한일수교50주년 기념 심포지엄(도쿄 YMCA)
06.22 일본 전범기업 유네스코세계유산 등재 관련 대책회의(오후2시)
06.22 대법원 긴급조치 국가배상 판결 규탄 토론회(오후2시 프란치스코회관)
06.22 강제동원 희생자 유골조사 관련 일본 정부 교섭(오후2시 일본 국회 의원회관)
06.24 대전지부 독립운동가 김태원 공훈의혹진실규명시민공동조사단 조사결과 발표(대전지방보훈청)
06.26 한일협정50년·광복70년 특별전 ‘나는 싸우고 있다’ 개막(~7월26일 서울역사박물관)
06.27 일본 전범기업 세계유산 등재 반대 캠페인(~7월6일 독일 본 회의장 및 마리팀 호텔)
06.27 2분기 운영위원회(오후2시 연구소)
06.27 신일본제철 한국2차소송 8차심리(서울중앙지방법원)
06.30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회의 ‘부의 세계유산과 미래가치’ 독일 전시(~7월3일)
07.02 포럼 진실과 정의 공개강좌-김효순 기자의 “간도특설대”(오후7시30분 프란치스코 교육회관)
07.03 야스쿠니공동행동 한국위원회 회의(오후7시)
07.03 해방70년 지식인선언 기획회의(오후5시)
07.06 서울동부지부 모임(오후7시 봉평메밀묵)
07.07 ‘만세폰’과 친일인명사전 앱 공급 협약 체결
07.08 해방70년 지식인선언 준비위원회 1차회의(오후4시)
07.08 강북구 근현대사기념관 전시 콘셉트 회의(강북구청 소회의실)
07.13 유네스코세계유산회의 활동 평가회의(오후6시)
07.17 제41차 이사회(오후5시 연구소)
07.18 천안아산지회 주최 강연(오후3시 천암 함께함센터)
07.19 서울중부지부 여운형 선생 제68주기 추모식 및 북한산 산행(오전11시 우이동 묘소)
7월
6월
61
07.21 해방70년 지식인선언 준비위원회 2차회의(오전10시)
07.21 한일시민선언실천협의회 회의
07.23 역사교육과정 개정 토론회(오후2시)
07.24 부민관 폭파의거 70주년 기념식 및 재현극 상연(오후7시 서울시의회)
07.24 화성 매송초등학교 부민관 폭파의거 70주년 기념행사
07.25 서울서부지부 헐버트박사 묘소·이한열기념관 답사(오전10시)
07.25 부민관 폭파의거 70주년 특별기획 답사 ‘부민관과 태평로-협력과 저항의 현장을 찾아서’(오후2시 태평로 일대)
07.25 경기 포천지회 출범식(오후8시 포천 근로자종합복지회관)
07.27 신민부 결성 90주년 기념 항일유적지 답사(~31일 중국 하얼빈)
07.28 해방70년 지식인선언 준비위원회 3차회의(오후5시)
07.28 화성 독립운동역사콘텐츠개발 3차년도사업 연구자회의(오전10시 화성출장소)
07.29 2015년 한일 그리고 세계 지식인 공동성명 : 동아시아의 ‘과거로부터의 자유’를 위하여(오전11시 프레스센터)
07.30 2015 강정 평화대행진 : 함께 걷자 생명의 강정, 함께 살자 모두의 평화(~8월1일)
08.05 “해방70년, 전환의 시대에 역사와 헌법을 다시 생각한다-자유·평등·민주 그리고 평화를 염원하는 사람들의 선언” 준
비위 4차회의(오전10시 화성출장소)
08.06 제32회 어린이백범학교(~8일 강화 산마을고교)
08.07 야스쿠니반대 도쿄촛불행동(~9일 도쿄YMCA)
08.07 ‘2015 개정 역사과 교육과정’ 시안 검토 공청회(오후3시 서울대 사범대학)
08.10 영화 ‘암살’ 배우 조진웅 신흥무관학교기념사업회 홍보대사 위촉식(오후3시)
08.11 광복70주년 특별전 ‘끌려간 사람들의 이야기-전범이 된 조선청년들’(~9월30일 부산 백산기념관)
08.11 “해방70년, 전환의 시대에 역사와 헌법을 다시 생각한다-자유·평등·민주 그리고 평화를 염원하는 사람들의 선언” 기
자회견(오전10시 한국언론진흥재단 19층 기자회견장)
08.12 화성시 독립유공자후손·강제동원피해생존자와 함께하는 광복70주년 기념행사(오전10시40분 제암리 순국기념관)
08.13 영화 <암살> 상영회(국회 의원회관 대강당)
08.14 전후 70년, 동아시아포험-과거·현재·미래(도쿄 일본교육회관)
08.18 전북 임실 민간인학살 구술조사(~19일)
08.26 한국사교과서 국정화저지네트워크 1차회의(오후6시 전교조 대회의실)
08.27 민주연구단체협의회 워크숍(~28일)
08.27 <안녕 사요나라> 상영회 및 토크쇼(인디스페이스)
08.31 학교로 찾아가는 독립운동 이야기 광주전시 개막식(~11월20일)
09.01 한일협정 50년 특별강좌 1강 : 윤미향 <광복70년 일본군 ‘위안부’문제 해결을 향해 간다> 2강 : 안병우 <일본의 역
사왜곡과 역사 갈등의 극복을 위하여>(오후7시 프란치스코 교육회관)
09.02 한국사교과서국정화저지네트워크 2차회의
09.04 독립운동가후손·역사단체대표 한국사교과서 국정화 반대 기자회견(오전9시30분 국회 정론관)
이후 새정치민주연합 당대표·원내대표 국정화 관련 면담(오전10시), 새누리당 대표 항의서한 전달(오전10시50분),
정의당 원내대표 면담(오전11시)
09.04 2015 개정교육과정 총론 공청회(오후1시30분 교원대)
09.05 석주 이상룡선생 대한민국임시정부 초대 국무령 취임90주년 기념 답사(~6일 안동일대)
09.06 운영위원장단 나눔의집 방문(경기 광주 나눔의집)
09.07 박근혜정부의 첫 국정역사교과서 초등5-2 사회교과서 분석결과 중간발표(오전10시 흥사단강당)
09.07 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회 등 13,042명 국정화 반대선언(오후1시)
09.07 광화문 국정화 반대 1인시위(~11일)
09.08 한일협정 50년 특별강좌 3강 : 김민철 <한일협정 50년, 한일정부는 무엇을 했나>(오후7시 프란치스코 교육회관)
09.09 한국사학계 한국사교과서 국정화에 반대하는 역사·역사교육연구자 선언(오전10시 흥사단 강당)
8월
9월
62 민족문제연구소 2016년 정기총회
09.09 동암 차리석 선생 70주기 추모식(오전11시 효창원)
09.12 광주지부 놀부마을 행사(~13일 장성)
09.15 한일협정 50년 특별강좌 4강 : 김종수 <가해자가 실종된 대학살> 5강 : 배덕호 <역사속의 세월호-재일동포 그리
고 사할린의 한인들>(오후7시 프란치스코 교육회관)
09.16 신민부 90주년 기념강연 및 신흥무관학교역사기행동우회 모임(오후4시 신촌 다래헌)
09.16 인천지부 주최 봉오동전투 독립군사령관 최진동장군을 생각하는 밤(오후6시 부평아트센터)
09.16 한국사교과서국정화저지네트워크 4차회의(오후6시 전교조회의실)
09.17 ‘김용주, 과연 애국자였나’ 기자간담회(오전11시 연구소)
09.19 3분기 정기운영위원회(오후2시 연구소)
09.20 천안아산지회 반민족행위자 홍난파의 친일행적 단죄문 제막식(독립기념관 옆 광복의 동산)
09.21 한국사 국정화반대 전북 시민사회노동단체제정당 기자회견 및 교사선언(전북교육청 앞)
09.22 한국사교과서 국정화를 반대하는 부산 학부모 선언 기자회견(오전11시)
09.22 한국사교과서 국정화 반대 대전 시민사회 공동기자회견(대전교육청 앞)
09.22 한일협정 50년 특별강좌 6강 : 이국언 <아직도 머나먼 해방, 조선여자근로정신대> 7강 : 이희자 <야스쿠니에 빼앗
긴 내 아버지>(오후7시 프란치스코 교육회관)
09.23 한국사교과서국정화저지네트워크 5차회의(오후6시 전교조회의실)
09.24 NO!합사 2차소송, 시민역사관 협의 방일(~26일)
09.25 NO!합사 2차 소송 원고 구두진술(도쿄지방재판소)
09.25 추석 귀성객 대상 국정화 반대 유인물 배포(서울역)
10.01 한국사교과서 국정화에 반대하는 예비 역사교사 공동선언(오전11시 흥사단)
10.01 역사연대 과거사특위(오후5시 4.9재단)
10.02 충남교육청 후원 전시-학교로 찾아가는 독립운동이야기(~12월31일)
10.02 서울동부지부 주최 동대문 민주시민교육 공개강좌 1강 : 강치원 ‘창조적 공동체를 위한 원탁토론’(오후7시 경희대 청운관)
10.02 제40회 망향의동산 합동위령제(오전10시30분 천안 국립망향의동산)
10.02 긴급토론 ‘2015 개정역사과교육과정과 국정교과서 논란’(오후2시 국회 제9간담회실)
10.04 풍기 인삼축제 대한광복단기념사업회 주최 ‘일제만행 고발’전(~11일 영주)
10.05 제9회 임종국상 예심(오후5시 연구소)
10.06 김경천 장군 거주지 표석 제막식(오후2시 종로구 사직동)
10.06 UN역사교육지침 분석 토론회-역사교과서 편찬의 국제적 기준과 한국의 현실(오후4시 역사문제연구소 강당)
10.07 전국 동시다발 한국사교과서 국정화 반대 시민선언 기자회견
10.08 한국사교과서 국정화를 반대하는 민족문제연구소 회원 선언(한겨레신문)
10.08 서울동부지부 주최 동대문 민주시민교육 공개강좌 2강 : 우대식 ‘지역사회 시민의 역할’(오후7시 경희대 청운관)
10.13 역사정보시스템 DB구축 기획회의(오후2시 연구소)
10.15 신흥무관학교기념사업회 독립운동 전적지 답사(~18일 서안 연안 일대)
10.16 신일철주금 2차 소송 10차 심리(오전10시20분 서울중앙지법 동관 562호)
10.16 서울동부지부 주최 동대문 민주시민교육 공개강좌 3강 : 김창수 ‘청년노동 날개를 달다’(오후7시 경희대 청운관)
10.19 포럼 진실과정의 주최 재일동포 정치범 사건 40년 기념토론회-우리는 왜 ‘간첩’이 되었나?(오후1시30분 프레스센터
기자회견장)
10.21 역사교과서 국정화 행정예고 철회를 촉구하는 한국사학계 원로 기자회견(오전10시30분 흥사단)
10.21 연구소 주관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철회를 위한 촛불문화제
10.22 제9회 임종국상 본심(오후7시)
10.23 서울동부지부 주최 동대문 민주시민교육 공개강좌 4강 : 이호 ‘풀뿌리운동의 어제와 오늘’(오후7시 경희대 청운관)
10.31 서울동부지부 주최 동대문 민주시민교육 공개강좌 5강 : 이순우 ‘동대문 역사 찾아 동네 한바퀴’(오후2시 동대문 일대)
11.03 역사교과서 국정화 고시 강행 규탄 긴급 기자회견(오전11시30분 세종로 정부청사 앞)
10월
11월
63
11.03 역사교과서 국정화 고시 강행 규탄 촛불(오후6시 파이낸스빌딩 앞)
11.06 후지코시 한국2차 소송 1차 심리(오후2시 서울중앙지법 동관 3층 367호)
11.07 임종국 선생 26주기 추모식(오전11시 천안공원묘역 무학지구 철쭉 4-1)
11.07 역사교과서 국정화 반대 4차 범국민대회(오후5시 청계광장)
11.11 제9회 임종국상 시상식(오후7시30분 한국언론회관 19층 기자회견장)
11.13 신일철주금 2차 소송 선고(오전10시 중앙지방법원 동관 562호)
11.14 시민역사박물관 일본건립지원위원회 결성식(오후1시30분 일본 도쿄)
11.20 한일협정 체결 50년 학술회의 : 한일협정 65체제의 극복과 동아시아 평화
11.20 화성지역 독립운동 관련 역사콘텐츠개발 3차년도 사업 중간보고서 제출(오전10시)
11.20 후지코시 한국2차소송 2차심리(오후2시 서울중앙지법 동관 3층 367호)
11.21 역사교과서 국정화 저지 거리역사강좌 1강 : 이만열 ‘1948년, “대한민국” 수립인가 “대한민국정부” 수립인가’(오후2시
광화문 파이낸스빌딩 앞)
11.26 후지코시 도쿄 본사 앞 항의집회 및 선전행동(~29일)
11.28 역사교과서 국정화 저지 거리역사강좌 2강 : 조광 ‘무엇이 문제인가, 국정역사교과서’(오후2시 광화문 파이낸스빌딩 앞)
12.01 한국사교과서국정화 위헌성 관련 헌법소원 기자회견(오전11시 민변사무실)
12.01 역사정의실천연대 과거사특위 3차 유해발굴 관련회의(오후3시 4.9재단)
12.02 수요 촛불문화제(오후7시)
12.04 학술포럼 ‘화성지역 독립운동 관련 역사콘텐츠개발의 현황과 과제’(오후2시 화성시향토박물관)
12.04 2차 민중 총궐기대회(오후3시)
12.05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저지를 위한 5차 범국민대회(오후1시)
12.05 역사교과서 국정화 저지 거리역사강좌 3강 : 이준식 ‘국정 교과서가 지우려는 독립운동사 이야기’(오후2시 광화문 파
이낸스빌딩 앞)
12.08 야스쿠니합사철폐 2차 소송 원고 구두변론(오후1시30분 도쿄지방재판소)
12.09 안중근 ‘청소년 독립·민주·평화음악회’(오후7시30분 성남아트센터 콘서트홀)
12.09 신흥무관학교기념사업회 대표단회의(오후5시)
12.09 수요 촛불문화제(오후7시)
12.11 화성지역 독립운동 관련 역사콘텐츠 개발 3차년도 사업 중간보고서 및 실적물 제출(오전10시)
12.11 함신부와 주기자의 현대사콘서트(오후7시 대전 기독교연합봉사회관)
12.12 서울중부지부 대한민국임시정부 환국70주년 기념답사(오후1시 효창원)
12.12 함신부와 주기자의 현대사콘서트(오후3시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
12.12 역사교과서 국정화 저지 거리역사강좌 4강 : 한상권 ‘대한민국의 정체성 제헌헌법’(오후2시 광화문 파이낸스빌딩 앞)
12.15 한일시민선언실천협의회 운영위원회 및 송년모임(오후5시)
12.16 수요 촛불문화제(오후7시)
12.16 서울동부지부 송년회(오후7시)
12.18 한국사교과서국정화저지네트워크 참가단체 워크숍(오후2시)
12.19 4분기 정기운영위원회(오후2시 연구소)
12.19 역사교과서 국정화 저지 거리역사강좌 5강 : 하일식 ‘국정교과서와 상고사 부풀리기’(오후2시 광화문 파이낸스빌딩 앞)
12.22 한국사 국정교과서 고시 헌법소원 제기 기자회견(오전11시 헌법재판소 앞)
12.23 수요촛불문화제(오후7시)
12.26 역사교과서 국정화 저지 거리역사강좌 6강 : 이동기 ‘국정화가 전체주의다 : 독일 역사교과서 이야기’(오후2시 광화
문 파이낸스빌딩 앞)
12.28 이사회(오후5시 연구소)
12.30 한일 외교장관 일본군위안부 합의 규탄 수요집회(오후12시)
12.30 수요 촛불문화제(오후7시)
12.31 평화의 소녀상 수호 청년학생 격려방문(오전11시)
12.31 광주지부 등 광주시민단체 한일 위안부 합의 규탄 및 전면 무효선언 촉구 기자회견(광주시청 앞)
12월
64 민족문제연구소 2016년 정기총회
함세웅(전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
강덕상(재일한인역사자료관장) 강만길(전 상지대 총장) 김삼웅(전 독립기념관장) 김석범(재일
문학가) 김시업(성균관대 명예교수) 김우종(재중 사학자) 김윤수(전 국립현대미술관장) 김창
국(전 친일반민족행위자재산조사위원회 위원장) 김태영(경희대 명예교수) 김호일(중앙대 명예
교수) 김홍명(조선대 명예교수) 김효순(포럼진실과정의 공동대표) 리중화(재중 저술가) 박석
무(다산연구소 이사장) 박영석(전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 박현서(한양대 명예교수) 백낙청(서
울대 명예교수) 변철호(재중 언론인) 서승(일본 리츠메이칸대 특임교수) 서중석(성균관대 명예
교수) 성대경(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위원장) 송기인(전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
위원회 위원장) 심정섭(독립운동사 연구가) 염무웅(문학평론가) 이만열(전 국사편찬위원회 위
원장) 이연복(서울교대 명예교수) 이우성(퇴계학연구원 원장) 이이화(역사학자) 이해학(야스
쿠니반대공동행동 한국위원회 공동대표) 전기호(전 일제강점하강제동원진상규명위원회 위원장)
조동걸(국민대 명예교수) 조정래(소설가) 주섭일(언론인) 최만립(전 대한올림픽위원회KOC 부
위원장) 최병모(변호사) 최삼룡(재중 문학평론가) 최염(경주 최부자 주손) 한상범(전 의문사진
상규명위원회 위원장) 현기영(소설가)
대표 박재승(전 대한변호사협회 회장)
김한규(서울지방변호사회 회장) 김희수(법무법인 현) 박영립(법무법인 화우) 양태훈(법무법
인 해마루) 이덕우(법무법인 창조) 이민석(대양법률사무소) 이석태(세월호특별조사위원회 위
원장) 최병모(법무법인 씨엘) 장홍록(법무법인 해마루) 정만순(법률사무소 일신) 정철승(법무
법인 더펌)
임헌영(민족문제연구소 소장)
강신석(세자시강원 원장) 김여선(제주대 교수) 신명식(전 내일신문 편집국장) 여인철(운영위원
장) 윤경로(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장·전 한성대 총장) 윤종일(서일대 교수) 이동수(동영산업 대
표) 이정학(서해농장 대표) 임추섭(광주교육희망네트워크 상임대표) 임태경(대경KC&C 대표)
장완익(태평양전쟁피해자보상추진협의회 공동대표·변호사) 조세열(법인 사무총장) 최병문(영진
학원 원장) 황의병(삼립공업사 대표)
임명호(공인회계사) 최수전(상계백병원 내과 교수)
임헌영
민족문제연구소 조직구성
이사장
지도위원
고문변호사단
상임이사
이사
감사
소장
65
위원장 | 여인철
부위원장 | 문선 박기호 송진복 안김정애 이덕수 이민우 정한봄 홍소연
운영위원 | 고장오(경기군포안양지부) 김방원(서울서부지부) 김순흥(광주지부) 김재광(경기북
부지부) 김재운(서울동부지부) 김재호(전북지부) 김진한(충북지부) 김희원(경기동북지부) 박
건(서울강서양천지부) 이종민(부산지부) 송승호(제주지부) 송진복(서울관악동작지부) 신대광
(경기안산시흥지부) 오홍석(대구지부) 최창옥(경북북부지부) 이달호(경기수원지부) 이덕수(경
기성남광주지부) 이민우(인천지부) 이순옥(대전지부) 이영국(서울남서지부) 정한봄(서울강남
서초지부) 최무희(서울중부지부) 최영봉(경기고양파주지부) 최일남(경기부천지부) 최종진(충
남지부) 홍석경(경기과천의왕지부)
*전국 27개 지부, 일본 도쿄지회, 정읍․제천단양․진주․천안․아산․춘천지회, 공주지회(준) 활동 중
사무총장 | 조세열
교육홍보실 | 실장 : 박한용(책임연구원) / 기록정보팀장 : 임선화, 영상기록 담당 : 오경아 / 교
육팀장 : 방은희(역사정의실천연대 사무국장) / 홍보팀장 : 송민희
사무국 | 국장 : 방학진 / 회계팀장 : 송혜원, 회계담당 : 김주호 / 대외협력팀장 : 김영환 / 회원
사업담당 : 김병구 신다희 / 편집담당 : 손기순
연구실 | 실장 : 박수현(친일인명사전편찬위 사무국장, 책임연구원) / 선임연구원 : 권시용 노기
카오리 박광종 조한성 / 연구원 : 김혜영
편찬실 | 실장 : 이용창(책임연구원) / 책임연구원 : 유은호 / 선임연구원 : 강은정 김덕영 김
선호 이명숙
자료실 | 실장 : 김승은(책임연구원) / 책임연구원 : 이순우 / 자료팀장 : 강동민(연구원) / 안미정
태평양전쟁피해자보상추진협의회 사무국 | 상임공동대표 : 이희자 / 집행위원장 : 김민철(책임
연구원) / 간사 : 김진영(선임연구원)
강북구 근현대사기념관 파견팀 | 명예관장 : 이준식 / 학예실장 : 윤봉석 / 최인담 곽승호
화성지역 독립운동 관련 역사콘텐츠개발 사업 파견팀 | 신효승 이혜영
운영위원회
집행부
(상근자)
이사회
총회
상임이사(소장)
자문위원 감사
지도위원
운영위원회
고문변호사
집행위원회
사무총장
실국장회의
사무국 연구실 편찬실 교육홍보실 자료실
시민역사관건립위원회
역사정의실천연대
통일시대민족문화재단 산하기구 태평양전쟁피해자보상추진협의회
연대기구 사무국 : 민족문제연구소
야스쿠니반대공동행동 한국위원회
포럼 진실과정의
임종국선생기념사업회
신흥무관학교기념사업회
3·1혁명100주년기념사업추진위원회
이사장
민족문제연구소
기구표
민족문제
연구소
02462 서울시 동대문구 왕산로 283(청량리동 금은빌딩 3층)
대표전화 : 02-969-0226 누리집 : www.minjok.or.kr